•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evaluation of salinity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3초

꼬마 새송이버섯 장아찌의 품질특성에 설탕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gar Conten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shrooms (Pleurotus eryngii) jangachi)

  • 전은례;정난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44-450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ptimize the level of sugar added (20 (control), 15, 10, 5%) during the preparation of soy sauce-salted mushrooms (Pleurotus eryngii) jangachi without affecting the degree of preference. The salinity and sugar content during storage of soy sauce-salted mushrooms (Pleurotus eryngii) jangachi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level of sugar added decreased. The moisture content was found to increase as the level of sugar added decreased. Additionally, the pH increased, while hardness decreased as the level of sugar added decreased during 3 weeks of storage. The L value (lightness)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until the addition of 10% sugar, while the a value (redness) and b value (yellowness) increas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vitamin C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as sugar content decreased. Upon sensory evaluation of mushrooms (Pleurotus eryngii) jangachi, the highest value in appearance was observed for the 5 and 15% treatments, while 5% had the highest flavor value, 15 and 10% had the highest taste values, 10 and 15% had the highest texture values, the control and 5% had the greatest clarification values, and the 15 and 10% groups had the greatest overall accept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ugar level of 15% can be used without significantly affecting the overall acceptance.

들깻잎을 첨가한 토마토 소스의 품질특성 및 기호도 조사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Tomato Sauce with Added Perilla Leaf)

  • 김세한;공석길;박대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66-771
    • /
    • 2013
  • Tomato sauce is widely known as a health food, In this study perilla leaf was added to a tomato sauce and the resulting functional improvements were assessed. The moisture of the tomato sauce WITH 2% added perilla leaf was 89.52%, the highest observed likewise, sample pH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2% perilla leaf, to the highest pH of 4.71, (p>0.001). Lightness L value of the control group was the highest at 40.70, and the redness a value and yellowness b value were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at 15.77, and 17.70, respectively. The highest salinity was foung with 2% perilla leaf, 0.96, and the sugar content with 2% perilla leaf, was 9.57. The reducing sugar was highest in the control with 63.08. The change in the total bacterial counts was measured during 9 days of storage at $4^{\circ}C$, When perilla leaf was added to, the tomato sauce, no microorganisms were detected until 0~1 days of storage. After five days of storage, microorganisms were detected in the group with 2% perilla leaf. The control group ($1.8{\times}10^5$ CFU/ml) had the highest levels of microorganisms. As the amount of perilla leaf, the total viable count of microorganisms detected was less. In the acceptability test results, the color 6.9 of the 1.5% treatment group, received the highest evaluation. Flavor and taste of the 2% perilla leaf treatment group were highly appreciated at 6.1 and 6.6, respectively. The ranking of overall acceptability was 1.5%>1%>0.5%>10%>2% of perilla leaf; 2% perilla leaf was the most underrated. Based on these results, up to 1.5% perilla leaf could be added to tomato sauce and the commercial potential could be very high.

Impact of partial substitution of NaCl by KCl, and MgCl2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oked sausages during storage

  • Jin, Sang-Keun;Hur, Sun-Jin;Yim, Dong-Gy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0호
    • /
    • pp.1666-1673
    • /
    • 2020
  • Objective: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ree salting treatments (control, 100% NaCl; T1, 60% NaCl and 40% KCl; T2, 50% NaCl, 40% KCl, and 10% MgCl2) on meat quality of sausages during storage. Methods: Various types of curing salts were used for processing of salamis.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sausages were analyzed during 4 weeks of ripening. Results: The pH values and salinity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control, while they were the lowest in T2 at 4 weeks (p<0.05). Control and T1 had les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han T2 at 2 weeks (p<0.05). The volatile basic nitrogen levels in T1 were similar to control and lower than T2 at 2 and 4 weeks (p<0.05). Moreover, T1 samples were redder and had a higher saturation index (C) value when compared to the others. T2 showed greater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Control was comparable to T1 for sensory attributes. Conclusion: Sodium chloride may be partially substituted with potassium chloride without negatively influencing meat quality of sausages up to 4 weeks of storage. These results could help to develop low-sodium sausages.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 조미가공품의 관능 및 영양특성 (Sensory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Seasoned Broughton's Ribbed Ark Scapharca broughtonii Product)

  • 강상인;윤인성;최관수;김주성;이정석;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42-350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nsory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seasoned broughton's ribbed ark Scapharca broughtonii product (S-BRA). Based on 100 g,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S-BRA was 68.9 g moisture, 16.1 g crude protein, 4.0 g crude lipid and 4.0 g ash. The salinity was 2.2 g. Based on the results of a taste-intensity test using an electronic tongue, S-BRA had a stronger umami taste and less sourness than the control (BRA prepared with commercial seasoning sauce) (P<0.05). In a sensory evaluation, S-BRA scored higher for appearance, taste, flavor, and texture compared to the control.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based on 100 g of S-BRA was 16.04 g,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and arginine. The S-BRA was higher in calcium, phosphorus, potassium, iron, and zinc than the control. The fatty acid content based on 100 g of S-BRA was 3,242 mg, and the major fatty acids were 16:0, 20:5n-3 and 22:6n-3.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BRA had greater nutritional value than the control.

삼채뿌리분말 첨가 김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llium hookeri root powder added)

  • 유보람;김유진;장자영;최학종;김현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63-870
    • /
    • 2013
  • 본 연구는 삼채뿌리분말을 첨가하여 김치의 맛과 저장성을 증진시키는 김치를 개발하고자 품질특성을 관찰하였다. 삼채뿌리분말 0.1%, 1%, 5%를 첨가하여 $4^{\circ}C$에서 8주 동안 저장하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pH, 산도, 염도, 환원당, 미생물의 변화 및 관능특성을 살펴보았다. 삼채뿌리의 비타민 $B_1$및 비타민 C의 함량은 각각 0.04 mg/100 g 및 5.76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삼채 뿌리의 비타민 $B_1$의 함량은 마늘보다는 적고 양파와 비슷한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삼채뿌리분말 첨가 김치의 pH의 측정결과 초기의 pH는 비슷하였으나, 저장기간 중 삼채뿌리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일반김치는 삼채뿌리분말을 첨가한 김치에 비하여 대체적으로 낮은 pH를 보였으며, 삼채뿌리분말 5% 첨가한 김치의 pH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도의 측정결과 pH 변화와 비슷하였으며, 삼채뿌리분말첨가 김치의 염도는 대체로 2.23%를 유지하였다. 환원당 함량의 측정 결과 삼채뿌리분말 0.1%, 1%, 5% 첨가 김치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군에서 환원당 함량이 지속적으로 감소되었고, 삼채뿌리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환원당 함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숙성 중 총 균수 및 젖산균수 변화는 숙성 초기에 급격히 증가한 후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면 외관, 맛, 전반적인 기호도 에서 삼채뿌리분말 1% 첨가 김치의 평가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삼채뿌리분말을 첨가한 김치의 pH가 높고 천천히 감소되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숙성 지연 등의 저장성과 기호성이 좋은 삼채뿌리분말 1%를 첨가하여 김치를 개발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제조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껍질붙은 냉동바지락(Tapes philippinarum)의 껍질 개패율 및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Opened Rat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Baby-clam In-shell Tapes philippinarum Prepared by Different Processing Method)

  • 박시영;강경훈;이재동;윤문주;강영미;성태종;권수현;추이권;김정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743-749
    • /
    • 2016
  • We compared two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for preparing high quality frozen in-shell baby clam products. In the first method, sand and mud were removed from the clams, then they were vacuum packed in polyethylene film, boiled at $97^{\circ}C$ for 6 min, and snap frozen in a cold air blast freezer (sample 1). The second processing method was similar, except the boiling process was excluded (sample 2). Both frozen products were boiled for 4 min, and then shucked and minced. Various quality metrics, such as the opening rates of shells, chemical composition, pH, volatile basic nitrogen (VBN), salinity, thiobarbituric acid (TBA), amino-N, total amino acids and free amino acids were measured, and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The opening rates of shells of sample 1 and sample 2 were 98.3% and 4.67%, respectively.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sample 1 and sample 2 was 75.2% and 78.7% moisture, 19.7% and 16.2% crude protein, 2.45 and 2.2% crude lipid, 2.8% and 2.1% ash, and 2.1% and 1.9% salinity, respectively. The L, a, b and ${\Delta}E$ values were similar: 48.6 and 49.2, 3.9 and 3.9, 15.7 and 15.5, and 50.7 and 50.1 for sample 1 and sample 2, respectively. The sensory evaluation score of sample 1 was higher than that of sample 2. Sample 1 was deemed to be superior to sample 2; therefore, we determined that the boiling process is needed for manufacturing high-quality frozen clam products.

명태를 첨가한 김치의 품질특성 (Effects of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salted cabbage))

  • 성정민;최해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72-781
    • /
    • 2009
  • 명태를 $0.5{\times}0.5\;cm^2$ 로 잘라 절인배추의 무게 비로 6, 12, 18% 첨가한 김치를 제조한 후 $10^{\circ}C$에서 20일간 발효숙성시키면서 4일 간격으로 pH, 산도, 염도, 환원당, 젖산균의 변화, 색도, 아미노산, 관능 등 품질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pH와 환원당은 발효가 진행될수록 전 실험군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명태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pH와 환원당의 값이 높았다. 산도는 발효가 진행되어 갈수록 전체적으로 높아지는 변화를 보였는데 명태 첨가군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염도는 저장기간별로 차이가 없었지만 첨가량에 따라서는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여 명태첨가량이 많을수록 염도가 낮아졌다. 젖산균의 수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점차 높아져 명태를 가장 많이 첨가한 18% 첨가군은 8일째에, 나머지군은 12일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인 후 다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색도에서는 명태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명태 자체의 연한 황백색이 영향을 주어 L값, a값 및 b값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발효가 진행되면서 L값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a값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b값은 서서히 증가하여 숙성 8~9일에 최고에 달하였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다. 유리 아미노산은 명태첨가량에 따라 유리 아미노산의 총량이 증가하였고 발효가 진행 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로는 외관, 조직감, 맛, 전반적인 선호도는 6%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비린향미는 명태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강도가 높았으나 숙성 적숙기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짠맛, 신맛, 숙성된 맛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김치를 제조할 때 6%의 명태를 첨가하는 것이 외관과 조직감, 맛이 좋으며, 비린향미가 다소 있기는 하지만 중간 이하 수준으로 기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풍부한 유리 아미노산의 용출로 인해 발효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우수한 품질의 김치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숙성조건에 따른 양파장아찌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Onion Jangaji during Aging)

  • 강난숙;김준한;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96-803
    • /
    • 2008
  • 일시에 대량 수확되는 양파의 소비를 촉진시키고자 숙성온도를 달리하여 양파장아찌를 제조하고 이화학적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담금액의 당도는 숙성 37일에 $16.0%{\sim}16.7%$로, 양파장아찌육의 당도는 대략 15.0%정도 이었다. 담금액의 염도는 숙성 37일에는 $3.30%{\sim}3.37%$이였다. 담금액의 pH는 숙성 37일까지 $3.84{\sim}4.05$로, 양파장아찌육의 pH는 숙성 37일까지 $3.93{\sim}4.31$이었다. 담금액의 색도는 적색도의 경우 숙성 37일에 $1.73{\sim}2.20$으로 감소하였다. 황색도의 경우 숙성 최종일에 $0.03{\sim}0.54$이였다. 양파장아찌육의 표면색도 값은 백색도의 경우 숙성 최종일까지 $22.13{\sim}43.75$이였다. 적색도의 경우 실험군 중 $10^{\circ}C$의 경우 숙성기간 최종일에 5.478로 가장 낮은 값을, 황색도의 경우 $0^{\circ}C$의 경우숙성기간 11일째에 6.31이였다. 담금액의 산도는 숙성 최종일까지 $0.014%{\sim}0.023%$로, 양파장아찌육의 산도는 숙성 최종일까지 $0.045%{\sim}0.023%$이였다. 담금액의 탁도(%T)는 숙성 최종일까지 $0.47{\sim}0.86$으로, 양파장아찌육의 %T는 숙성 최종일까지 $2.19{\sim}2.41$이였다. 조직감의 경우는 견고성은 실험군 중 $20^{\circ}C$의 경우 984.50이였다. 부숴짐성은 숙성기간 14일째에 $20^{\circ}C$에서 929.94로 가장 높은 값을, 접착성은 실험군은 숙성기간 9일째에 $10^{\circ}C$에서 675.64로 가장 높은 값을, 탄력성은 숙성기간 9일째부터 숙성기간 16일째까지는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감소하였다. 씹힘성은 대조군은 숙성최종일에는 -1518.21이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양파장아찌의 외관적인 색의 경우 $10^{\circ}C$ 실험군이 2.83으로, 향은 $20^{\circ}C$ 실험군이 2.83으로, 맛은 $0^{\circ}C$ 실험군 3.07로 가장 높은 점수를, 아삭거리는 정도는 $10^{\circ}C$ 실험군이 3.57로 높은 점수를,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체적으로 3.7정도의 관능적 점수를 얻었다.

나트륨 함량에 따른 시판 배추김치의 품질과 관능적 특성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imchi according to sodium contents)

  • 황은선;김효성;김수현;고현주;이미영;윤은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13-41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나트륨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일반김치와 저염김치의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여 저염김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조 초기의 염도는 일반김치가 1.99%, 저염김치가 1.56%로 저염김치가 일반김치에 비해 낮은 염도를 나타냈다. 저장기간에 따른 염도의 변화는 제조 초기와 비교할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반김치와 저염김치의 제조 초기의 당도는 두 김치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김치 제조 5일째에는 당도가 급속히 감소하였고, 저장 10일 이후에는 당도의 감소가 완만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염김치의 pH는 5.11로 일반김치의 pH 5.56보다 다소 낮았다. 김치 제조 후 5일차부터는 일반김치 및 저염김치에서 pH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저염김치의 pH가 일반김치에 비해 더 낮게 나타났다. 김치 제조 1일차의 산도는 일반김치와 저염김치가 각각 0.21과 0.22%로 저염김치가 다소 높은 산도를 나타냈다. 김치 저장기간에 비례하여 일반 및 저염 김치 모두 산도가 증가하였다. 김치 제조 초기의 젖산세균 수는 일반 및 저염김치에서 7.5 log CFU/g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김치 제조 후 5일차에서 가장 높은 젖산세균 수를 나타냈으나, 저장기간 10일 이후에는 젖산세균 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았고 도리어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 나트륨 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김치의 기호도를 평가하였을 때 색(외관)에 대한 선호도는 일반김치가 저염김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에 대한 강도를 평가한 결과, 일반김치에 비해 저염김치의 짠맛과 젓갈맛 강도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단맛은 일반김치보다 저염김치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저염김치는 일반김치와 비교할 때, 품질특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원료 배합비를 달리하여 제조한 메밀 속성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uckwheat Soksung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aterial Formula)

  • 엄현주;강혜정;박정미;김상희;송인규;윤향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36-1241
    • /
    • 2013
  • 본 연구는 장류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속성장을 발굴하여 장류 소비확대와 장류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메밀을 이용한 속성장을 제조하였고, 그 실용화와 대량화를 위하여 메밀의 배합비, 염도 및 수분함량을 결정하고자 하였으며, 제조 후 다양한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4 종류 속성장의 초기 수분함량은 52~64% 수준으로 다양하였고,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이 조금씩 감소하여 숙성 70일째는 53~58%를 나타냄으로써 시료 상의 아주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메밀 속성장의 pH는 숙성 70일째 5.1~5.6의 값을 나타내었고, 총산의 경우 0.6~0.8%의 범위로 염 함량이 낮은 된장일수록 높은 산도를 보였다. 총 미생물 균수는 70일째까지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1~3 log cycle 정도 균수가 감소하였다. 초기 발효기간엔 모든 시료에서 44~89 mg% 분포로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을 보이다 숙성이 진행될수록 함량이 꾸준히 증가하여 152~213 mg% 함량을 나타내었다. 발효 70일 된 메밀 속성장의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처리 간에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구와 실험구 C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B, D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메밀 속 성장은 찐콩과 메밀을 8.5:1.5의 비율로 만든 메주를 10% 염도에서 메주의 1.5배의 수분을 첨가하여 만드는 것이 메밀의 함량을 낮추면서 관능적인 면과 다양한 생리활성 면에서 차이가 적은 상업용 메밀 속성장의 배합비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