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e of presence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2초

차분 진동형 가속도계 전기적 모델링 및 실험적 검증 (Electromechanical Modeling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Differential Vibrating Accelerometer)

  • 이정신;임재욱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17-525
    • /
    • 2011
  • 차분 진동형 가속도계는 입력 가속도에 따른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는 공진형 센서이다. 이 때 가속도계 전기적 동역학의 수학적 모델링 및 구조 특성의 실험적 검증이 정밀한 제어기 및 높은 양질계수를 가지는 구조 설계에 앞서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차분 진동형 가속도계의 공진자, 전극 모듈 및 전치증폭기 등의 전기적 모델링을 제시한다. 이러한 모델링 기법은 공진 주파수, 유효 질량, 유효 강성, 양질 계수 등을 측정함으로써 실험적으로 검증된다. 또한 모델링을 통해 예측된 진폭과 측정된 전치증폭기 출력의 직접적인 비교는 본 연구의 유효성을 보여준다.

메타버스 텔레워크 도입과 효과의 향상에 관한 연구: 인지된 업무생산성, 직무성과,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Effectiveness of Metaverse Telework: Focusing on Perceived Work Productivity,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 유해초;이상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1-47
    • /
    • 2024
  • With the spread of COVID-19, non-face-to-face social exchanges around the world have increased, leading to a rise in the demand for telework. The recent advancement in technology has facilitated the emergence of metaverse platforms, with telework utilizing the metaverse gaining significant popularity. Such metaverse telework is signaling innovative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yet sufficient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work productivity,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metaverse telework users. To achieve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individual factors (self-management tactics, sense of belonging, social presence, IT complexity) and situational factors (perceived workload, organizational support, metaverse telework environment, and flexible work arrangements). Out of the total responses, 358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luding any insincere responses. The SPSS 27.0 software was employ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This study proposed effective strategi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elework within the metaverse.

일원변량모형에서의 임의의 분포에 대한 NINQE 추정량의 효율성 (Efficiency of MINQE for arbitrary underlying distribution under one way random effects model)

  • 이장택
    • 응용통계연구
    • /
    • 제6권2호
    • /
    • pp.355-370
    • /
    • 1993
  • 일원변량모형에서 처리효과와 오차항의 분포가 임의의 분포를 따를 때, NINQE 추정량의 효율성을 MSE와 편의 판정기준아래에서 ANOVA, MIVQUE, REML, ML 추정량과 비교하여 알아 본다. 그리고 역행렬의 계산이 필요하지 않는 간편한 MIVQUE 추정량, REML 추정량과 ML 추정량의 계산 방법이 주어진다. 또한 MINQE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사전추측값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결론적으로 MINQE 추정량은 비록 편의는 다른 추정량들에 대해서 크지만, 모든 분포에 대해서 MSE의 판정기준아래에서 가장 효율성이 높으며, 변량인자들이 따르는 분포의 첨도가 클수록 그 효율성은 증가한다.

  • PDF

약한 다진 신호에 알맞은 결정 기준: 1부. 결정 기준과 결정 영역 (Decision Criterion for Weak M-ary Signals: Part 1. The Criterion and Decison Regions)

  • 박소령;구진규;오정호;권형문;송익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9A호
    • /
    • pp.705-713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약한 다진 신호에 알맞은 검파기준을 제안한다. 제안한 검파기준은 신호 세기가 0에 가까울 때 잘못 확률을 가장 작게 한다. 먼저, 1부에서는 새로운 검파기준을 제안하여 자세히 살펴보고, 제안한 검파기준이 지니고 있는 몇 가지 흥미로운 성질을 밝히며, 결정 영역의 보기를 다룬다. 2부에서는 제안한 검파기준을 바탕으로 간섭이 충격성일 때 초광대역 다중접속 시스템에 알맞은 검파 기법을 샅펴본다.

온라인 상의 적대적 행동에 정보과부하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ormation Overload on Hostile Behaviors Online)

  • 진상형;이철;장영빈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9-197
    • /
    • 2019
  • 온라인 상에서의 사용자 행동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어떤 메커니즘에 의해 사용자들이 적대적인 행동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많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는 무엇이 사용자의 적대적인 행동을 야기하는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악성 댓글 같은 플레이밍(Flaming)과 지각된 위험, 익명성, 기대 감정 반응(Expected Emotional Reaction) 등의 인지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관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가 이루어 졌고, 모든 변수들이 플레이밍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정보 과부하(Information Overload)가 지각된 위험과 플레이밍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사용자들이 경험하는 정보 과부하를 줄이는 것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건전하게 유지하는 방법일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3D 영상 시청시간 요인이 수용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3D Stereoscopic Video Running Time on Audience Perceptions)

  • 이민주;정동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51-564
    • /
    • 2012
  • 미디어 이용자는 미디어에 노출되는 순간 다양한 심리적 반응을 겪게 된다. 3DTV 콘텐츠 역시 미디어 이용자가 그것을 시청하면서 여러 가지 심리적 지각을 하게 되는데, 본 연구는 3D 영상의 시청 시간 변인에 따른 수용자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즉 3DTV 음악 프로그램을 본 수용자들이 시청시간(20분 vs. 40분)에 따라 3D 영상의 긍정적 요소인 인지된 특성과 인상, 프레즌스, 즐거움과 부정적 요소인 피로도와 부자연스러움을 느끼는데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4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한 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변량분석, 다변량공분산분석, 그리고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특성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근접감, 선명도, 메시지 전달력 등 하위 차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 중 메시지 전달력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인상과 관련해서는 시청시간별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요인 중에서는 화려함과 창의감이 시청시간 변인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프레즌스의 경우, 시청시간별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특히 하위차원인 시간관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즐거움에서는 시청시간 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정적 요소에서는 시청시간 별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 차원인 부자연스러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현실에 관한 사용자 관점의 이론과 실제 (User-based Theories and Practices on Virtual Reality)

  • 정동훈
    • 정보화정책
    • /
    • 제24권1호
    • /
    • pp.3-29
    • /
    • 2017
  • 본 연구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360도 동영상 등 다양하게 사용되는 차세대 실감미디어에 대한 사용자 관점의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한 때, 3D 영상의 광풍이 불더니 곧 초고화질(UHD) TV가 그 자리를 차지하고, 지금은 가상현실이 실감미디어를 대표하는 그리고 차세대 먹거리 산업이라는 표현으로 미래 혁신 산업의 핵심 키워드로 자리하고 있다. 가상현실이 이렇게 산업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함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풍요성, 상호작용성, 프레즌스, 신체소유감, 사용자 경험 그리고 시지각과 같은 가상현실과 관련된 여섯 개의 이론적 접근을 통해 학술적 이해와 더불어 현장에 적용 가능한 가능성을 담아내고자 한다. 이 여섯 개의 이론은 3D 영상과 같은 실감미디어 연구에 많이 사용되는데, 미디어 풍요성과 상호작용성은 긍정적 또는 부정적 태도를 형성하는 주요한 요인이고, 프레즌스는 몰입을, 사용자 경험은 총체적 심리적 반응을 그리고 시지각은 '본다'라는 경험이 뇌의 활동과 더불어 얼마나 복잡한 과정을 겪는지 설명한다. 특히 신체 소유감은 그간 미디어 연구에 적용된 사례가 많지 않으나 가상현실 연구에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이론으로 추후 실감미디어 연구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가상현실과 관련된 사용자 관점의 주요 이론은 가상현실을 연구하는 연구자는 물론, 하드웨어와 콘텐츠 제작자에게도 많은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국소적 부하와 전신적 부하가 슬관절 위치 감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nee joint position sense following local and general load protocols)

  • 황윤태;박래준;최진호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7권3호
    • /
    • pp.429-44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knee joint position sense following local and general load protocols in 25 healthy male subjects. Proprioception of the knee joint was evaluated by measuring absolute angular errors at matching angles before, after and between 2 different types of load protocols. Proprioception tests(on the dominant knee) were performed in which proprioception of the passivepassive reproduced and active-active reproduced knee position was measured. Local load was provided with maximum isokinetic knee extension-flexion on the isokinetic dynamometer(Cybex), and general load was 10 minutes running on a treadmill. Peak torque(knee extension and flexion) and heart rate(beats per minute) was evaluated as an indicator of local and general fatigue during load protoc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pasive-pasive reproduced knee position test, significant difference in absolute angular errors after general load protocol was detected compared with that before general load protocol(P<.05), significant difference in absolute angular errors after local load protocol was detected compared with that before local load protocol(P<.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bsolute angular errors of general load protocol was detected compared with that of local load protocol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bsolute angular errors of local load protocol was detected compared with that of general load protocol(P>.05). 2. For active-active reproduced knee position test, significant difference in absolute angular errors after general load protocol was detected compared with that before general load protocol(P<.05), significant difference in absolute angular errors after local load protocol was detected compared with that before local load protocol (P<.05). Also, significant difference in absolute angular errors of general load protocol was detected compared with that of local load protocol(P<.05), significant difference in absolute angular errors of local load protocol was detected compared with that of general load protocol(P<.05). 3. A significant decrease of peak torque of knee extensors and flexors was seen after local load, although heart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5). No significant change of peak torque of knee extensors and flexors was seen after general load(P>.05), although heart rate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P<.05). The previous study revealed that knee proprioception is significantly altered when the muscle mechanoreceptors are dysfunctional due to muscle fatigue, although the joint mechanoreceptors have no significantly effect on knee proprioception when the presence of knee muscle fatigue.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study in that muscle weakness of the knee could not be seen after general load. This study shows that general load may diminish motor control by the central nervous system. Proprioceptional decline without muscle weakness of knee after general load suggests a change in the proprioceptional pathway without influence from muscle mechanoreceptors.

  • PDF

Multisensory based AR System for Education of Cultural Heritage

  • Jeong, Eunsol;Oh, Jeong-eun;Won, Haeyeon;Yu, Jeongm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61-6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문화유산 교육을 위한 다중 감각 (시각 청각 촉각) 지원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3D프린트 된 유사유물 모델을 AR 타깃으로 활용하고, 증강하는 가상객체에는 실제유물 기반으로 구현된 3D그래픽을 매핑한다. 사용자는 3D프린트 된 모델의 촉감을 느끼면서 AR유물학습을 진행할 수 있어 다중 감각을 통한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된다. 기존 문화유산 교육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본 시스템은 시각 및 청각뿐만 아니라 촉각을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설계되었다. 또한 이 시스템은 3D모델을 사용하여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제공하여, 주로 휴대전화와 태블릿의 2D 디스플레이에 터치 또는 클릭 모션으로 상호작용하는 기존 시스템보다 훨씬 사실적인 경험을 주도록 구성되었다. 사용자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본 유물교육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우수한 현존감 및 학습 몰입감을 제공하였으며, 타깃의 사용성 평가에서는 본래 유물과 모양이 유사한 3D 프린트 된 타깃의 사용성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시청자의 후각정보 수용 특성에 따른 영상분류와 실감증대를 위한 제안 (Video Classification Based on Viewer Acceptability of Olfactory Information and Suggestion for Reality Improvement)

  • 이국희;최지훈;안충현;이형철;김신우
    • 감성과학
    • /
    • 제16권2호
    • /
    • pp.207-220
    • /
    • 2013
  •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시각, 청각, 촉각정보의 제시방식에 대해서는 많은 진보가 이루어 졌다. 반면 후각은 정의하기 어렵고 다루기 까다롭기 때문에 관련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후각정보를 통한 영상실감증대 연구의 첫걸음으로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수용도를 조사한 후 이에 근거하여 다양한 영상을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영상에 냄새가 존재하는지 (냄새존재여부), 그 냄새가 실감을 증대시키는지 (실감증대효과), 영상과 함께 해당 냄새를 경험하고 싶은지 (냄새제시선호)라는 세가지 질문을 선정하였다. 각 질문들에 높은 혹은 낮은 점수를 받을 만한 다양한 장르의 영상 (51)개를 수집한 후, 참가자들에게 하나씩 영상을 시청하게 한 후 위의 세가지 질문에 대해 7점 척도로 평정하게 하였다. 영상분류를 위해 두 질문씩 쌍으로 묶어 각 질문의 척도를 2차원 평면의 X, Y축으로 설정한 후 평정값을 이용하여 영상분류를 위한 산포도를 구성하였다. 2차원 평면의 서로 다른 사분면에 위치한 영상군집들은 영상실감증대를 위한 후각정보 제시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