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imicro Kjeldahl method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탈지미강 단백질의 가수분해 및 분해물의 특성 연구 (Proteolysis of Defatted Rice Bran Using Commercial Proteases and Characterization of Its Hydrolysates)

  • 김창원;김현석;김병용;백무열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1호
    • /
    • pp.41-47
    • /
    • 2011
  • 쌀부산물인 탈지미강을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8가지 protease를 최적화된 조건에서 단일 혹은 혼합 처리하여 수용성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단백질을 Lowry, Kjeldahl 그리고 Gravimetric method 등 총 3가지 방법으로 분석을 한 결과 Protamex, Alcalase, Protease N이 가장 높은 분해율을 나타냈다. 3가지 방법에서 모두 Protamex, Alcalase, Protease N이 가장 높은 분해율을 나타내었고, Gravimetric method의 경우 다른 두 분석방법인 Lowry, Kjeldahl method에 비해 더 높은 단백질 함량을 보였다. 또한 위의 단일처리결과를 바탕으로 3가지 protease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단일효소처리에 비해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은 protease의 경우 가수분해 할 수 있는 특정 peptide 혹은 amino acid가 있는데 각각의 protease가 분해하지 못하는 peptide 혹은 amino acid를 서로 분해해줌으로써 상승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효소처리를 하여 얻어진 단백질의 사이즈를 알아보기 위해 SDS PAGE를 한 결과 어떠한 밴드도 형성이 되지 않았고 이는 분해된 단백질이 marker의 최소 사이즈인 15 kDa보다 작기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일반 단백질보다 사이즈가 작은 polypeptide나 amino acid로써 분해된 것을 뜻하고 실제로 섭취하였을 때는 신체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trypsin이나 chymotrypsin의 분해 없이도 쉽게 흡수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효소의 종류가 많을수록 총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짐으로써 식품첨가물로써 활용도가 높은 단백질가수분해물로 분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쌀 시럽박의 단백질 가수분해 특성 (Hydrolysis of Rice Syrup Meal Using Various Commercial Proteases)

  • 김창원;박진우;최혁준;한복경;유승석;김병용;백무열;김영록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09-315
    • /
    • 2011
  • 쌀 부산물인 쌀 시럽박을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8가지 protease로 최적화된 조건에서 단일 혹은 혼합 처리하여 수용성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단백질을 Lowry, Kjeldahl 그리고 Gravimetric method 등 총 3가지 방법으로 분석을 한 결과 Protease M, Protease N, Protease A이 가장 높은 분해율을 나타내었다. 3가지 방법에서 모두 Protease M, Protease N, Protease A가 가장 높은 분해율을 나타내었지만, 특히 Gravimetric method의 경우 다른 두 분석방법에 비해 더 높은 단백질 함량을 보였다. 또한 위의 단일처리 결과를 바탕으로 3가지 protease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단일처리와는 달리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효소 처리를 하여 얻어진 단백질의 사이즈를 알아보기 위해 SDS-PAGE를 한 결과 어떠한 밴드도 형성이 되지 않았고, 이는 단백질이 마커의 최소사이즈 15 kDa보다 작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아미노산분석의 경우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Protease M을 단일 처리하였을 때와 비슷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Protease M의 경우 단백질을 분해할 때 peptide와 amino acid를 동시에 생성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Protease N의 경우는 peptide만을 생성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Protease M을 처리하였을 때 총 아미노산의 함량이 Protease N에 비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서 효소를 혼합하였을 때도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같은 것으로 판단된다. 효소 처리 후 생성된 총 단백질 함량은 효소를 혼합할수록 증가하였지만 아미노산의 함량은 단일과 비교하였을 때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것 또한 Protease M의 특성으로 인해서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며 상대적으로 효소를 혼합할수록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지 못한 polypeptide가 단일 처리에 비해 다량 존재 할 것으로 판단된다.

모유영양아의 수유기간별 단백질, 칼슘, 마그네슘과 인 섭취량 (Protein, Ca, Mg and P Intakes of Breast-fed Infants during Lactation)

  • 김을상;금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9호
    • /
    • pp.942-949
    • /
    • 2003
  • This study was longitudinally conducted to evaluate the intakes of protein, Ca, Mg and P of exclusively breast-fed infants compared with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RDA) for Korean infants. Twenty Korean lactating women and their infants during the first 3 months of lactation in Incheon area were participated. Protein, Ca and Mg, and P contents in the milk were determined using semimicro Kjeldahl (N ${\times}$ 6.38) ,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nd colorimeter, respectively, and also the milk consumption of the infants was measured by the test-weighing method. Protein contents of the milk were 1.96, 1.63, 1.51, 1.25 and 1.16 g/100 ml, and protein intakes of the breast-fed infants were 9.00, 9.85, 9.17, 8.97 and 7.76 g/day at 7, 15, 30, 60 and 90 days postpartum. The average protein intake per body weight of the breast-fed infants was 1.84 g/kg/day. The average intakes of Ca, Mg, P were 172.1 mg/day, 15.2 mg/day and 91.4 mg/day,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Ca/P ratio was 1.91.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tein and Ca, protein and p, and Ca and P contents whil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g and P, The body weight of breast-fed infants increased normally from 3.6 $\pm$ 0.41 g at birth to three month during lact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breast-fed infants in Incheon area consume almost adequately protein, Ca and P from the milk compared with RDA for Korean infants.

모유영양아의 수유기간별 에너지, 단백질, 지질과 유당 섭취량 (A Longitudinal Study on Energy, Protein, Fat and Lactose Intakes of Breast-Fed Infants)

  • 김을상;이종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7호
    • /
    • pp.771-77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protein, fat, lactose and energy in the human milk and the intake of human milk and those nutrients in breast-fed infants from 16 lactating women in Seoul area during the first 5 months postpartum. Daily human milk intake was determined by test-weighing method and the milk from 16 mothers was analyzed for protein (semimicro Kjeldahl, N $\times$ 6.38), fat (milk checker), lactose (HPLC). Energy was calculated by Atwater and milk factor. The mean intake of human milk to the 5th month of lactation was 668 $\pm$ 186 $m\ell$/day. Mean protein contents of the human milk at 0.5, 12, 3, 4 and 5 months postpartum showed 1.48, 1.35, 1.17, 1.11, 1.15 and 1.10 g/100 $m\ell$ respectively. Lipid and lactose contents of the human milk during the first S months postpartum averaged 3.38 g/100 $m\ell$ and 6.79 g/100 $m\ell$. Energy contents at 0.5, 12, 3, 4 and 5 months postpartum showed 64.2, 66.1, 68.3, 60.1, 58.9 and 61.2 g/100 $m\ell$ respectively. Protein intake of infants from the human milk was 8.22 g/day which was 54.8% of Korean RDA. Lipid and lactose intake of infants were 23.0 and 45.6 g/day. Energy intake of infants was 422.3 kcal/day which was 84.4% of Korean RDA. Total energy content was almost same value regardless of Atwater or milk factor but the energy ratio was some different. Protein and solid contents decreased the course of lactation but lactose content was less chang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e research were required for the RDA.

곰국의 맛성분에 대한 가열 시간 및 향미채소의 영향 (Effects of herbs on the taste compounds of Gom-Kuk (Beef soup stock) during cooking)

  • 조은자;양미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483-489
    • /
    • 1999
  • 향미채소의 첨가가 쇠고기 곰국이나 스프스톡(soup stock)의 맛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양지머리 고기 국물의 단백질 용출량, 유리 아미노산, 핵산 관련 물질을 측정하고 더불어 색도 측정과 관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양지머리 스프스톡의 조단백질, 유리 아미노산, 핵산 관련 물질 용출량은 대체로 가열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2) 파(Go), 당근(Ca), 그리고 양파+당근+셀러리(A)를 첨가한 스프스톡의 조단백질 용출량은 향미채소를 첨가하지 않은 스프스톡의 용출량보다 많았다. 3) 유리 아미노산 용출량은 파 첨가 스프스톡(Go$_{5}$)에서 가장 많았으며 특히 arginine, alanine, glycine, threonine, glutamic acid가 많았다. 셀러리(C$_{5}$)와 양파 ( $O_{5}$)첨가 스프스톡 중의 유리아미노산은 향미채소 무첨가(B$_{5}$) 스프스톡보다 적었다. 4)파 첨가 5시간 가열 시료의(Go$_{5}$의 5'-IMP, inosine, hypoxanthine 농도는 다른 향미채소 첨가 스프스톡보다 높았으나 셀러리(C$_{5}$)와 양파( $O_{5}$) 첨가 스프스톡의 5'-IMP, inosine, hypoxanthine 농도는 향미채소 무첨가(B$_{5}$) 스프스톡보다 낮았다. 5) Hunter scale로 측정한 색도는 마늘 첨가(G$_{5}$) 스프스톡의 L값이 가장 낮았으며 셀러리(C$_{5}$)와 당근(Ca$_{5}$)첨가 스프스톡의 L값은 B$_{5}$값과 비슷하였다. 6) 관능 검사 결과 스프스톡의 색, 향,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향미채소 첨가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