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인 50세 이상 성인과 노인을 위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mputeriz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Program for Evaluat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Korean Elderly)

  • 최혜미;이해정;박선주;김정희;김초일;장경자;임경숙;김경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77-28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for subjects aged 50yr and over an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is SQ-FFQ. Dietary intake was assessed using SQ-FFQ that included 98 commonly consumed flood items selected from the results of the Korean Health and Nutritional Survey, 1998. Subjects (n = 2,660) aged 50yr and over were recruited from 7 metropolitan cities and 8 small cities. Each subject was interviewed using this SQ-FFQ developed in our laboratory and 24hr-recall method. Excluding incomplete data, Data from 1,149 subjects were used in this validity study. The nutrient intakes assessed by this SQ-FFQ were validated by comparing with the results from 1 day 24-hour recall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wo methods were 0.71, 0.64, 0.53, and 0.43 for energy,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respectively for all subjects.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Kappa values for energy,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were 0.79, 0.72, 0.70, and 0.64, respectively. The percentage for misclassification of the lowest quartile into the highest quartile or vice versa was 1.25-1.39% for all nutrients. Therefore, this SQ-FFQ seems to be useful in assess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subjects in Korea.

The estimation of cholesterol intake in elderl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hort,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 Nindya, Triska Susila;Mahmudiono, Trias;Rachmah, Qonita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1호
    • /
    • pp.95-103
    • /
    • 2021
  • Purpose: High intake of cholesterol leads to cardiovascular disruption. Estimating the actual intake of cholesterol can be beneficial for nutrition intervention. This research aimed to develop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to estimate cholesterol intake and analyz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SQ-FFQ was developed by sorting high cholesterol food items in Indonesian food database and food items' availability. A total of 30 older adults were randomly chosen from Public Health Center in Jagir District, Surabaya, Indonesia to test its validity. Reliability test was done by measuring the same developed SQ-FFQ in one-month period, while validity test was done by comparing SQ-FFQ results with 6-days food record. Statistical analysis used for reliability test was paired t-test,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and Cronbach's α to measure the internal consistency. Meanwhile, validity of developed SQ-FFQ was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Bland-Altman. Results: Reliability of 2 administered SQ-FFQs showed a good agreement based on paired t-test analysis (p = 0.200), ICC (0.609), and Cronbach's α (0.757). Strong agreement was found in most of food items, but agreements for egg yolk and fried duck were poor.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ose food items (p = 0.001 vs. p < 0.001, respectively) with mean difference were -25.3 mg and 46.2 mg. Validity of developed SQ-FFQ2 compared to 6-days food diary records also found a strong agreement based on paired t-test and the Bland-Altman analysis. Conclusion: This baseline research provides a reasonably valid and repeatable measure of cholesterol intake estimation that can be widely used in nutrition and public health study, especially in Indonesia. No study has been conducted in Indonesia on the development of tools to estimate the cholesterol intake.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 대상 식사조사를 위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marriage 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김정현;김오연;이민준;박은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1호
    • /
    • pp.76-94
    • /
    • 2021
  • 본 연구는 결혼으로 한국에 이주한 다문화여성의 영양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SQ-FFQ를 개발하고 이 조사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SQ-FFQ는 결혼이주여성 대상 선행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의 SQ-FFQ 및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다소비, 다빈도 식품목록과 영양소별 섭취량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급원식품들을 고려하여 41개의 식품항목으로 선정하였다. 1회 섭취 분량은 0.5인분, 1인분, 1.5인분의 3개의 구간으로 나누었고 섭취빈도는 지난 1년 동안 평균적으로 얼마나 자주 먹었는지를 10개의 구간으로 분류한 SQ-FFQ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조사지의 재현성 및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과 대전 일부 지역의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방문한 35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SQ-FFQ (2회) 및 3일 식사 기록지를 조사한 후 1, 2차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간의 영양소 섭취량 차이 및 SQ-FFQ와 3일 식사기록 간의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1-2주간격으로 조사한 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재현성을 검토한 결과 에너지와 다량영양소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섭취량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비타민 A, 리보플라빈, 칼슘, 칼륨의 경우 1차 조사의 평균 섭취량보다 2차 조사의 평균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약간 높았다. 1차 및 2차 조사에서 도출된 동일 영양소 섭취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동일 영양소 섭취량 간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r = 0.453-0.885). 식품섭취빈도 조사와 3일 식사기록의 결과 비교를 통한 타당도 검증 결과, 식사 기록법보다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에서 에너지, 탄수화물, 탄수화물, 비타민 C, 티아민, 엽산, 비타민B12, 칼슘, 나트륨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 식품섭취빈도법이 식사기록법보다 다소 과대 추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차 식품섭취빈도조사와 식사기록법의 상관관계는 대부분의 영양소에서 유의적으로 나타났는데, 식물성 지방이 0.602로 가장 높았고, 총 섭취 에너지, 탄수화물, 지방, 티아민의 상관계수도 0.512-0.599로 다른 영양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비타민 A와 C, 칼슘, 철, 나트륨 등의 영양소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결혼이주 다문화여성의 식생활 및 영양소 섭취실태를 파악하고자 개발된 자기기입식 SQ-FFQ는 신뢰성이 검증된 조사도구이며 에너지와 주요 영양소의 섭취 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는 최종 3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도출된 것으로 향후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일부 영양소의 섭취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조사식품 항목에 대한 조정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며, 특히, 미량영양소의 경우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정성적인 조사를 병행하는 등의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산출을 위한 분석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위한 근거자료들이 더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인을 위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개발 및 타당도 연구 (Development and relative validity of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adults)

  • 김소혜;이정숙;홍경희;염혜선;남연서;김주영;박유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1호
    • /
    • pp.103-119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영양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고 이 조사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빈도가 높고 영양소별 섭취량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급원 식품을 참고하였고 비슷한 영양소별, 지방 함량, 조리 방법 등을 고려하여 88개의 식품항목으로 선정하였다. 1회 섭취 분량은 0.5인분, 1인분, 1.5인분의 3개의 구간으로 나누었고 섭취 빈도는 지난 1년 동안 평균적으로 얼마나 자주 먹었는지를 9개의 구간으로 분류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조사지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대학병원의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111명을 대상으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와 3일 식사 기록지를 동시에 조사한 후 두 조사방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녀 모두에서 식사기록법보다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에서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 식품섭취빈도법이 식사 기록법보다 다소 과대 추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조사방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의 spearman 상관 계수를 보면 평균 0.402이었고, 포화지방산이 0.121로 가장 낮았고, 열량이 0.583으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이 각각 0.583, 0.500, 0.466으로 다량영양소가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알코올도 0.527로 유의적인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지금까지 보고된 국내의 여러 연구에서 제시한 상관성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다량영양소와, 열량, 섬유소, 알코올, 그리고 칼슘, 인, 칼륨, 마그네슘, 아연 등 미네랄 등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이러한 영양소와 관련 있는 만성질병과의 역학연구에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상관관계가 낮게 보인 비타민과 지방산 종류의 섭취측정에는 어려움이 있다.

Association between diets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adults aged 50 years or older

  • Kim, Kyoung Yun;Yun, Jung-M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5호
    • /
    • pp.415-425
    • /
    • 2018
  • BACKGROUND/OBJECTIVE: As aging progresse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also increases. Cognitive function is not generally correlated with diet, and there is debate over that association. Thu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ntake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adults aged 50 years or older. SUBJECTS/METHODS: Between July 2017 and March 2018, 324 adults aged over 50 years from Gwangju Sun-Han hospital participated in a dietary survey. The frequency of food intake and related information were collected using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and determining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level for 276 participants.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ntake and cognitive function was assessed by perform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Depending on the MMSE score, the participants' age, education level, inhabitation status, medications, alcohol consumption, sleep duration, physical activity, and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sco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Moreover, those participant characteristics were associated with either decreased or increased odds ratios (OR) for the risk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Based on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intake of 112 detailed food item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20 food types, intakes of cooked white rice (< 2 times/day compared with ${\geq}3$ times/day) (P < 0.05), properly cooked rice with other grains and legumes (P < 0.001), fruits (P < 0.05), milk (low fat and normal) (P = 0.044), liquid-type yogurt (P = 0.019), and curd-type yogurt (P = 0.015) were found to significantly decrease the OR for the risk of MCI. CONCLUSIONS: Associations were significant between the risk of MCI and the intake of certain food types. Specifically, a moderate intake of cooked white rice and an adequate intake of whole grains, fruits, milk, and dairy products were associated with reduced risks of MCI among adults aged over 50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