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thinning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6초

Scientific Evidence for the Addictiveness of Tobacco and Smoking Cessation in Tobacco Litigation

  • Roh, Sungwo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1권1호
    • /
    • pp.1-5
    • /
    • 2018
  • Smokers keep smoking despite knowing that tobacco claims many lives, including their own and others'. What makes it hard for them to quit smoking nonetheless? Tobacco companies insist that smokers choose to smoke, according to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Moreover, they insist that with motivation and willpower to quit smoking, smokers can easily stop smoking.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addictive disease called tobacco use disorder, with an assessment of the addictiveness of tobacco and the reasons why smoking cessation is challenging, based on neuroscientific research. Nicotine that enters the body via smoking is rapidly transmitted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causes various effects, including an arousal response. The changes in the nicotine receptors in the brain due to continuous smoking lead to addiction symptoms such as tolerance, craving, and withdrawal. Compared with other addictive substances, including alcohol and opioids, tobacco is more likely to cause dependence in smokers, and smokers are less likely to recover from their dependence. Moreover, the thinning of the cerebral cortex and the decrease in cognitive functions that occur with aging accelerate with smoking. Such changes occur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the brain in proportion to the amount and period of smoking. In particular, abnormalities in the neural circuits that control cognition and decision-making cause loss of the ability to exert self-control and autonomy. This initiates nicotine dependence and the continuation of addictive behaviors. Therefore, smoking is considered to be a behavior that is repeated due to dependence on an addictive substance, nicotine, instead of one's choice by free will.

획의 방향 코드 조합에 의한 오프라인 필기체 숫자 인식 (Off-line Handwritten Digit Recognition by Combining Direction Codes of Strokes)

  • 이찬희;정순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12호
    • /
    • pp.1581-1590
    • /
    • 2004
  • 본 논문은 한 가지 특징 요소로서 획 방향 코드들만을 사용하는 강건한 오프라인 필기체 숫자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입력된 숫자 이미지에 대하여 일반적인 8방향 코드를 생성하고 이 코드들의 조합을 다층 신경망에 학습하고 각 숫자를 인식하게 한다. 8방향 코드들은 다양하게 표현된 숫자들의 자기구성 그래프(SOG*:Improved Self-Organizing Graph) 세선화 결과에 의해 만들어지고 이 코드의 사용은 2개 이상의 특징점들을 처리하는 기존의 복합적인 단계들을 단순화시킨다. 실험결과는 모든 숫자 데이타베이스의 어떤 이미지들에 대해서도 인식률이 일관성 있게 98.85% 이상임을 보여준다.

명아주(Chenopodium album)와 바랭이( Digitaria sanguinalis)의 경쟁이 에너지 분해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nergy Allocation on Competition of Chenopodium album and Digitaria sanguinalis)

  • Park, Bong-Kyu;Kim, Ok-Ky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9권1호
    • /
    • pp.73-78
    • /
    • 1986
  • The effects of density and soil nutrient regime on competition between individuals in pure and mixed populations of two annuals. Chenopodium album and Digitaria sanguinalis were investigated at the level of enegy allocation. Seedling emergence of two species was extremely high (>90%) in both pure and mixed culture irrespective of the density and nutrient regime, but percentage of seedling establishment or fertile plant became gradually low with increasing density owing to 'self-thinning'. The mean plant dry weight was significantly reduced with increasing density and decreasing soil fertility. The dry matter production of D. sanguinalis in mixture was markedly greater than in pure culture under medium and high density. Also, as considered the number of seed production as reproductive alloc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number of seed production per plant showed a similar tendency.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 sanguinalis had a greater competitive advantage than C. album and energy allocations to variious organs were regulated by plastic response rather than determined genetically.

  • PDF

Relation of mortality to DBH and available area in naturally germinated Pinus densiflora populations

  • Kato, Jun;Degawa, Yousuk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2호
    • /
    • pp.105-111
    • /
    • 2014
  • To elucidate whether small diameter at breast height correlates with tree death in an overcrowded tree population, we analyzed self-thinning occurring over the course of 37 years in naturally established Pinus densiflora populations in Sugadaira, central Japan. As trees grew, their diameters at breast height increased and the number of trees consequently decreased. Spatial distribution, which was initially clumped, changed accordingly, first becoming random and finally uniform. We calculated the "available area" of individual trees to elucidate the contribution of this parameter to tree mortality. Small diameter at breast height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tree death, with a slight correlation observed between tree death and small available area of individual trees.

한국산 보리수나무 개체군의 종자에 의한 정착과 라메트에 의한 유지 (Establishment by Seeds and Maintenance by Ramets in Elaeagnus umbellate Population)

  • You, Young-Han;Kim, Kyung-Bunm;An, Chung-sun;Kim, Joon-Ho;Song, Seung-Da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203-211
    • /
    • 1994
  • The establishment by seeds and the maintenance by ramets of the autumn olive (Elaeagnus umbellata) popula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Namhansansung Provincial Park, Jungbu-myun, Kwangju-gun, Kyunggi-do. Seed production and germination rate were 3, 300 $seeds{\cdot}m^{-2}{\cdot}yr^{-1}$ and 52%, respectively. The ramet formation in the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4 types: stump type, creeping root type, lateral root type and secondary creeping root type. The subterranean creeping roots were 0.1~1.0 m in length, 4.5~14.0 mm in diameter and 0.06~0.2 m in soil depth. The number of ramets formed from a node was 1~21. The subterranean roots spread $5~509cm^2{\cdot}plant^{-1}{\cdot}yr^{-1}$, which began to be produced from 7~9 year-old individuals. The number of stems was 1~67 per stump, which was reduced by self-thinning from 2 to 14 year-old trees.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tem diameter$(D_{30})$ showed a reverse J-shaped curve, suggesting that this population be maintained perpetually by their own ramets.

  • PDF

포도재배 농업인의 근골격계 증상 관련 인간공학적 위험요인 (Ergonomic risk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in the vineyard workers)

  • 이용호;이재훈;이경숙;김경란;이수진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2-13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materials of a developmental counterplan by assessing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characteristics of work-related ergonomic risk factors.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of 64 vineyard workers was investigated by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the vineyard workers' tasks wer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during 9-month period by observing and videotaping methods to identify the ergonomic risk factors. The preval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of female(84.4%)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male(62.5%) and a total prevalence rate was 73.4%. There was no different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between age over 60 years and under 60 years. The prevalence rates of musculoskeletal complaints for each body part were 48.4%, 42.2%, and 35.9% for the wrist, legs/knee, and shoulder, respectively. In postural risk analysis, 7 works(REBA score) represented the high risk tasks such as delivering harvest boxed(12), picking cluster(11) and so on. The main works(exposure score) were orderly ranked as picking cluster(1590), pruning branch(388), and cluster thinning(327). The risk factors of vineyard work were identified as follows: shoulder flexion(${\geq}45^{\circ}$), wrist Flex./Ext.(${\geq}15^{\circ}$), hand force(power/pinch-grip), and prolonged standing(${\geq}4hr$). The engineering solutions including an improvement of hand tools, working process, and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applied to the high risky tasks in order to resolve the ergonomic problems. The administrative solutions such as improving a distribution of resting time, an exercise cure, an early recognition of symptoms and rehabilitation might be another solution for reducing musculoskeletal symptoms in vineyard workers.

새로운 털 없는 녹색 미니 참다래 '스키니그린' ('Skinny Green', a Novel Hairless Green-fleshed Baby Kiwifruit)

  • 곽용범;최학순;채원병;정명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708-710
    • /
    • 2010
  • '스키니그린'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성된 세번째 털 없는 미니 참다래 품종이다. 교배모본은 한국에서 수집된 야생 다래($Actinidia$ $arguta$)와 수품종 토무리($A.$ $deliciosa$) 사이의 교잡에서 선발된 중간계통인 KN8903이며, 부본은 한국의 산에서 수집된 야생 다래($A.$ $arguta$)이다. 이 품종의 주요 특징은 과중이 19.3g으로 한 입에 먹을 수 있는 과실크기와 과피에 털이 없고 얇아 껍질째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과육의 색은 녹색이며, 당도와 산함량은 각각 $16.7^{\circ}Brix$와 0.91%이다. 수확은 주로 10월 중순에 이루어지며, 자가결실성이 없는 품종으로 정상적인 착과를 위해서는 인공수분이 필요하다. 또한 풍산성으로 적절한 적과 작업이 필요하다.

남강댐의 운영수위와 버들류 군락의 상호관계 (Correlation between Salix Communities and Water level in Namgang-Dam)

  • 정혜련;김기흥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767-771
    • /
    • 2012
  • 남강댐은 평지에 위치하여 댐 높이가 낮고 댐운영 수위의 편차가 작기 때문에 계획홍수위 아래 완경사 비탈면이 갈수기인 3월부터 5월 사이에 장기간 노출되어 5월 전후에 발아하는 식생 특히, 버들류가 이입, 성장하여 대규모 군락을 이루고 있다. 현재 형성된 대규모의 버들류 군락은 댐수질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자기솎음질(self-thinning)에 의해 고사한 버들류의 유목으로 인하여 댐운영에 많은 애로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버들류 군락 형성과 댐운영수위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버들류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댐운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버들류의 이입시점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의 남강댐 건설 직후인 1979년, 2003년 2010년의 항공사진과 수심측량에 의한 지형도를 이용하여 버들류 군락의 확장 경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버들류의 이입시점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방형구를 설치하여 버들류의 밀도 및 흉고직경을 조사하고, 성장추에 의한 수령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강댐 연안대에 분포하는 버들류는 총 17종이며, 출현빈도가 높은 종은 선버들(Salix nipponica), 버드나무(Salix nipponica), 왕버들(Salix gracilistyla), 등으로서 선버들(Salix nipponica)이 우점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강댐 연안대에 분포하는 버들류의 수령을 조사한 결과 수령은 약 9년~10년, 흉고직경 10~15cm, 수고 7~8m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댐운영수위와 버들류의 수령을 분석한 결과 2002년 5월 댐수위 38.5~41.0m 일 때 연안대의 수면부근에서 1단계로 이입, 정착한 것으로 보이며, 2004년 및 2005년 5월경에 댐수위 36m일 때 2단계로 이입, 정착하여 현재 대규모 군락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남강댐 버들류 군락의 형성은 버들류의 발아기에 댐수위 부근의 습지에서 발아환경이 최적인 온도와 저토환경에서 일시에 이입,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남강댐과 같이 평야부에 위치한 댐에서 댐운영 및 댐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버들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버들류의 발아기에 댐운영 수위를 최대한 높여 현재의 버들류 군락에 의하여 발아, 성장이 불가능하도록 하거나 아니면 댐운영 수위를 낮추어 발아해도 홍수기 동안 장기간의 침수에 의하여 고사되도록 하는 댐운영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

하천 하안대에서 입지 연령에 따른 선버들과 왕버들의 생물량 변화 (Changes in Biomass of Salix subfragilis and S. chaenomeloides with Stand Ages in a Riparian Zone of a Sand-bed Stream)

  • 조형진;진승남;조현석;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3호
    • /
    • pp.149-155
    • /
    • 2017
  • 버드나무 속 식물은 하천 복원시 사용되는 대표적인 생물재료이고 하천에서 주요 관리대상이 되는 식물이다. 낙동강의 모래하천 하안에서 선버들과 왕버들의 수령에 따른 생장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들의 생물량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을 유도하고 입지 연령에 다른 이들 군집에서 밀도, 줄기 높이, 기저면적 및 생물량을 조사하였다. 선버들은 발아한 후 3년과 왕버들은 6년까지 줄기 밀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자기 솎음이 강하게 일어났다. 두 식물의 줄기 높이는 선버들은 수령 15년에 7.5 m까지 왕버들은 수령 13년에 14 m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지상부 생물량은 생장초기에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선버들은 수령 13년에 17 ton DM/ha까지 왕버들은 수령 13년에 1,110 ton DM/ha까지 증가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유도된 버드나무 속 식물의 상대생장식을 이용하면 이들 식물의 생물량을 객관적으로 추정할 수 있어서 하천에서 수목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도 용인 지역 전나무 임분의 구조 및 천연 갱신 (Stand Structure and Seedling Recruitment of Abies holophylla Stands in Yong-In Area, Gyeonggi)

  • 박필선;전윤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153-162
    • /
    • 2010
  • 본 연구는 경기도 용인 지역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 임분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 지역 전나무 임분의 지속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용인시의 정수리, 대대리, 호동 지역 전나무 임분에서 매목조사를 실시하고, 관목층의 구조와 치수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산림 관리나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정수리와 대대리 임분에서 전나무는 중요도 40%로 임분을 우점하고 있었으며, 연속적인 연령과 직경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반면 호동 지역 임분은 간벌과 택벌 등의 산림 작업이 이루어졌던 지역으로 전나무가 흉고직경 10-45 cm 범위에 분포하나 대부분 25-30 cm 직경급에 몰려 있고, 단일수관층을 가지고 있었다. 전나무의 연령과 흉고직경의 상관 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긴 하였으나 높지 않았고($R^2$=0.2, P=0.03), 비슷한 연령대라도 다양한 흉고직경 값을 가졌다. 정수리 임분의 연속적인 직경 분포와 다층수관구조는 전나무가 조림 후 지속적으로 갱신이 이루어져 왔음을 보여주었다. 전나무의 치수는 ha당 2000-33000본까지 발생하였으나, 2-5 cm 직경급의 전나무는 ha당 70-150본 정도로 치수 단계에서 유령목으로 자라나는 동안의 생존율은 낮았다. 지속적인 천연갱신과 연간 약 0.6 cm의 직경생장율은 조사 지역의 환경이 전나무 서식에 비교적 적합한 지역임을 나타낸다. 또한 전나무 임분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여 내음성 수종인 전나무를 대상으로 한 택벌림 경영의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