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ling duration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9초

방사선과 자외선에 대한 고추 식물체 및 배양세포의 생장반응과 Capsidiol 생합성 유전자의 발현 차이 (Differential Growth Response and Gene Expression in Relation to Capsidiol Biosynthesis of Red Pepper Plant and Cultured Cells by γ-Ray and UV Stress)

  • 안정희;김재성;정정학;오세명;권순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201-206
    • /
    • 2003
  • Differential responses of red pepper plant and cultured cells to enhanced ${\gamma}$-ray($^{60}$ Co) and ultraviolet(UV) stress were investigated. In seed treatment, 1 Gy of ${\gamma}$-ray increased seedling dry weight up to 19.1%, but 50 Gy treatment markedly ingibited seed germination and subsequent growth of seedling. UV treatment to seed did not change the germination ability of seeds and the growth of seedlings regardless of duration of UV treatment until 24 hrs. In case of UV treatment to seedlings, plant injury was seriously progressed even after the seedlings were returned to no UV condition, and eventually all the leaves showed chlorosis by the stress. However, progress of plant injury by ${\gamma}$-ray stress slower than that caused by UV stress, and even at the high dose of ${\gamma}$-ray 50 Gy, did not caused the cholrosis of stressed plant leaf. Amount of electrolytes leakage from plant leaf by UV treatment for 24hrs was increased up to 28.8 folds in comparison with untreated control, whereas that of 50 Gy of ${\gamma}$-ray was increased only 1.2 folds. UV stress induced the production of capsidiol, antimicrobial phytoalexin, by activation of gene expression involved in capsidiol biosynthesis, such as sesquiterpene cyclase and cyclase and cytochrome P450 hydroxylase in the leaf and cultured cell, but ${\gamma}$-ray stress induced neither the production of capsidiol nor expression of the genes.

Development of efficient protocol for screening of rice genotypes using physiological traits for salt tolerance

  • Kim, Sung-Mi;Reddy, Inja Naga Bheema Lingeswar;Yoon, In Sun;Kim, Beom-Gi;Kwon, Taek-Ryo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89-189
    • /
    • 2017
  • Salinity is one of the major abiotic stresses that severely affect crop production throughout the world; especially rice plant which is generally categorized as a typical glycophyte as it cannot grow in the presence of salinity. Phenotypic resistance of salinity is expressed as the ability to survive and grow in a salinity condition. Salinity resistance has, at least implicitly, been treated as a single trait. Physiological studies of rice suggest that a range of characteristics (such as low shoot sodium concentration, compartmentation of salt in older rather than younger leaves, high potassium concentration, high $K^+/Na^+$ ratio, high biomass and plant vigour) would increase the ability of the plant to cope with salinity. Criteria for evaluating and screening salinity tolerance in crop plants vary depending on the level and duration of salt stress and the plant developmental stage. Plant growth responses to salinity vary with plant life cycle; critical stages sensitive to salinity are germination, seedling establishment and flowering. We have established a standard protocol to evaluate large rice germplasms for overall performance based on specific physiological traits for salt tolerance at seedling stage. This protocol will help in identifying germplasms which can perform better in the presence of different salinity treatments based on single trait and also combination of different physiological traits. The salt tolerant germplasm can be taken forward into developing better varieties by conventional breeding and exploring genes for salt tolerance.

  • PDF

민들조개 Gomphina melanaegis 방류지역의 민들조개 개체군 분포 분석 (Analysis of Population Distribution on Stocking Area of Sandy Beach Clam, Gomphina melanaegis)

  • 이주;이채성;김수경;김완기;조규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163-1170
    • /
    • 2009
  • The clam, Gomphina melanaegis, which is commonly called the sandy beach clam because of its habitat, is a valuable organism in the sandy coast of East Sea, Korea. It is frequently observed in large populations between 0.5 and 5 meters. We have released 50,000 seedling, ranging from the diameter of approximately 3 mm, 2007, and 1,000,000 seedling, ranging from the diameter of approximately 0.2 mm, plus 100,000 adult individuals, ranging from the shell length of approximately 20~40 mm, 2008 at Jinha beach. The spawning period of G. melanaegis, was from June to August, and the main spawning occurred in July.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population distribution on the stocking area of sandy beach clam, G. melanaegis.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and ring radius in each ring was investigated as a regression l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ell length and shell height of released young clam was SH=1.0105SL-4.7764 ($R^2=0.790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ell length and total weight of released young clam was $TW=0.0013SL^{2.3966}$($R^2=0.71$). It draws a deduction that the ring of this clam was produced once a year during the duration between June and August.

Variation in seedling growth inhibition due to Maleic Hydrazide treatment of rice(Oryza sativa) and ragi(Eleusine coracana) genotypes and its relationship with yield and adaptability

  • Das, Swarnalata;Sinha, Susil Kumar;Misra, Rama Chandra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215-222
    • /
    • 2008
  • Multilocation trials on 36 rice(Oryza sativa) genotypes of 3 different maturity groups were conducted at four different locations of Orissa for 3 years and 30 ragi(Eleusine coracana) genotypes of 2 different maturity groups were evaluated in thre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3 years. Grain yield data were subjected to stability analysis following linear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adaptability and stability parameters, i.e. b, and $S^2d$ Stability of performance of genotypes was also estimated by two other stability parameters viz., ecovalence W and AMMI stability value ASV. The rice and ragi genotypes of different duration groups showed wide variation in their mean yield, b, $S^2d$, W and ASV parameters. Seeds of the 36 rice and 30 ragi genotypes were treated with 500 and 100 ppm aqueous solution of maleic hydrazide(MH) for 24 hours, respectively to study MH-sensitivity. Sensitivity of genotypes to MH treatment was estimated in terms of seedling growth inhibition index(SGI). The rice and ragi genotypes showed wide differences in their MH-sensitivity in terms of SGI. Relationship of MH-sensitivity of genotypes with their yielding ability, adaptability and stability of performance was tested by contingency $x^2$ test. Low sensitivity of rice and ragi genotypes to MH in terms of SGI appeared to be good indicators of high yielding ability of genotypes. Also, low and high MH-sensitivity of genotypes would be a good indicator of better adaptability to rich and poor environments, respectively, in ragi but not in rice. Low MH-sensitivity of genotypes could be the good indicator of stability of yield performance in rice but not in ragi.

  • PDF

수도의 유초기 냉해에 관한 연구 1. 유묘기 엽령별 냉해발현 및 회복양태 (Studies on the Chilling Injury of Rice seedlings. 1. Characterization of Chilling Injury & Recovery Different Leaf Stages)

  • 권용웅;김주헌;안수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24
    • /
    • 1979
  • 수도 유초의 초분별 냉해발견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품종 진흥, 철원 001, 통일, 유신을 재료로 주간 $26^{\circ}C$ 13시간 (광도 20,000 lux) / 야간 $18^{\circ}C$11시간의 인공기상실에서 생장한 유초를 초령 1, 2, 3, 4, 5 엽기에 각각 처리기간을 2, 4, 6, 8 일간으로 달리하여 주간 11$^{\circ}C$ 13시간 (광도 20,000lux) / 야간 6$^{\circ}C$11시간의 저온처리를 한 후 주간 26$^{\circ}C$/ 야간 18$^{\circ}C$ 조명실로 옮겨 파종일로부터 30일간 생장시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온처리 후 냉해에 의한 유초의 고사 현상은 처리후 3일간에 종료되었으며 초령별 유초생존율은 Japonica 품종 진흥은 모두 100%, 철원 001는 2엽기와 3엽기에 각각 8일간 저온 처리구에서만 95% 정도이었고 그 밖에는 100%이었으며, $Indica{\times}Japonica$교배품종들은 품종, 초령, 기간별로 내냉성이 달랐는데 제 1, 2, 3, 4, 5 엽기 별로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는 저온처리 최장기간은 통일의 경우 4, 6, 1, 4, 8 일이었고 유신은 6, 6, 1, 4, 2일이었다. 2. 저온처리 종료후 과온에 3일간 냉해를 발견시켰을 때 진흥과 철원 001는 1~5 엽기 모두에서 8일간 처리를 하여도 냉해로 인해 엽신이 고사하지 않고 6~8일간 처리할 경우 극미한 백반이 다소 형성될 뿐이었으나 통일과 유신은 엽신의 황적변고사현상이 심하였는데 처리기간이 길수록, 노엽일수록 심하였고 완전전개한 신엽이 처리후 엽면적의 10% 이하 고사하는 범위의 내냉한계는 4일 미만의 저온이었다. 3. 저온처리기간중에는 모든 품종이 각엽기 모두 초장의 신장이 거의 정체 되었으며 처리종료 후에는 신장을 재개하였으나 각엽기 모두 저온기간이 길수록 신장속도가 감소되었으며, 진흥은 1, 4, 5 엽기, 철원 1 호는 1, 4 엽기, 유신은 1 엽기에 2일간 처리할 경우에만 무처리구와 같은 정도로 회복되었고, 그밖에는 저온기간중 생장이 정체된 차이를 보상하지 못하였다. 4. 파종후 30일간 생장한 묘의 건물중은 저온처리후 엽신이 정상이었고 표생존율도 95% 이상이었던 처리구의 묘에서도 감소가 있었으며 건물중이 무처리구묘의 90% 이하가 되지 않는 저온처리한계기간 (최대가역장해기간)은 제 1, 2, 3, 4, 5 엽기별로 진흥 2, 3, 4, 4, 4 일간, 철원 001 4, 1, 1, 2, 1 일간, 통일 2, 0.5, 0.5, 1, 2 일간, 유신 4, 1, 0.5, 1, 1 일간이었다. 5. 냉해에 의한 엽신변색고사와 초장신장억제는 실용상 중요한 묘고사율 및 묘건물중과의 관계가 뚜렷하지 않았고 품종 및 묘령별 내냉성의 차이를 분화시키지 못하였으나 묘고사율은 뭄종간 내냉성의 차이를 충분히 분화시켰으며 묘건물중은 외견상 냉해치상이 없을 경우에도 감소되고 품종간 차이를 보였으므로 유묘내냉성검정은 고사율과 건물중증가억제율 두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6. 저온처리 및 내냉발견 후에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는 최장처리기간과 생존묘의 묘대말기 건물중이 무처리구의 90% 이하가 되지 안흔ㄴ 최장처리기간은 품종별 묘령별로 각각 달랐음로 이둘 두 요인의 값을 곱하여 내냉성종합평점으로 표시하면 진흥은 1, 2 엽기, 철원 001는 2, 3 엽기 통일과 유신은 3엽기에 약하였고 최저기온 $0^{\circ}C$, 최고기온 $15^{\circ}C$, 평균기온 $8^{\circ}C$의 온도조건하에서 육묘할 경우 비가역적 생장조해를 받을 위험이 없는 최장저온기간으 대체로 보아 진흥 3일, 철원01 2일, 통일과 유신 각각 1일이었다. 7. 주간 $11^{\circ}C$/야간 $6^{\circ}C$의 저온조건하에서 유묘기내냉서의 품종간 차이를 가장 잘 분화시키는 방법은 묘령 2~3 엽기에 6일간 저온처리한 후 10일간 상온에서 발견시키고 고사율과 건물생장억제율을 조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NaCl 스트레스에 따른 벼 유식물의 뿌리 수분흡수와 엽록소형광의 변화 (Changes in Root Water Uptake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of Rice (Oryza sativa L. cv. Dongjin) Seedling under NaCl Stress)

  • 전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4-161
    • /
    • 2008
  • 염분에 대한 벼 유식물의 생리학적 광화학적 반응을 잎의 상대수분함량, 엽록소 형광 및 뿌리의 수분흡수를 통하여 연구하였으며, 벼 유식물이 농도가 다른 NaCl에 노출되었을 경우, 500 mM 이상의 농도와 4일, 5일간 스트레스를 준 처리구에서 식물체의 외관상 심각한 장해 징후가 나타났다. 500 mM에서는 5일간, 1,000 mM에서는 4일간 스트레스를 준 처리구와 NaCl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 간의 광합성 Fv/Fm에서 유의성이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러나 뿌리 수분흡수에서는 Fv/Fm에 비해 스트레스 기간이 짧은 2일에서도 수분흡수의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NaCl에 노출된 식물에서 잎의 상대수분함량은 외부 염분의 농도가 증가하구 스트레스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잎의 상대수분함량 결과에서 1,000 mM 농도로 1일간 처리된 경우(88%)와 비교했어 2일 이상 NaCl를 처리한 경우들(58-67%)에서 보다 낮은 수분함량을 보였다. NaCl 스트레스는 4일과 5일간 처리한 경우 etiolate된 벼 유식물의 광 유도 녹화과정에서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심하게 억제하였다(각각의 $R^2$=0.812과 0.918). 염분 스트레스 기간과 NaCl농도가 증가되었을 때, NaCl의 농도가 같음에도 잎의 Fv/Fm보다는 뿌리의 수분흡수가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아 잎에서의 장해보다는 뿌리에서의 반응이 먼저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삼지구엽초 실생 및 지하경번식 특성 (Characteristics of Seedling and Rhizome Propagation in Epimedium koreanum NAKAI)

  • 노준현;김영진;최강준;김세원;김승경;김종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5-160
    • /
    • 2003
  • 삼지구엽초는 그 효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자생지의 무분별한 채취로 멸종위기에 있으나 이에 대한 대책은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삼지구엽초의 보존과 작물화를 위해 실생 및 지하경번식 특성을 구명하여 효율적인 번식 체계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삼지구엽초의 삭과는 개화 후 40일 가량 성숙된 후에 낙과되며, 낙과시 미성숙배를 가진 종자이었으며 종자는 250일 이상 노천매장하여 파종할 경우 발아온도 $20^{\circ}C$에서 출아일수가 8일이었고 신근장은 0.46 cm이었다. 2. 삼지구엽초의 생장은 근삽 후 60일까지는 지상부의 생장이 이루어지고, 그 이후는 지하부가 생장하는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근삽에 적합한 유기물 시용량은 우분 발효퇴비 2,000 kg/10a에서 가장 좋은 생육을 보였다. 3. 유기물 종류와 시용수준에 따른 icariin 함량은 부엽토 3,000 kg/10a 시용시 자생지와 유사한 생육을 보였으나, 유기물 시용 확보 면에서 우분 발효퇴비 시용이 유리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4. 근삽묘의 성묘율 향상을 위하여는 모래와 펄라이트를 각각 50% 혼용하는 것이 밭흙보다 유리하였고 화학비료를 시용할 경우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생육이 불량하여 성묘율이 감소하였다 5. 양액을 이용한 근삽 시 ${\frac{1}{2}}$원시액에 팽화왕겨 배지를 이용하는 것이 양호하였다.

벼 직파재배 유형에 따른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Grain Yield under Different Direct Seeding Cultures in Rice)

  • 최원영;김상수;신현탁;조수연;최선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4-21
    • /
    • 1997
  • 본 시험은 직파재배 유형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을 밝히고자 동벼와 농안벼를 공시하여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직파재배 유형간 입수수는 건답평면세조파에서 가장 많았고 무논골뿌림재배에서 적었다. 2. 초기의 경수 증가 속도는 어린모 기계이앙재배가 빨랐으며 유교경비율은 직파재배가 이앙재배보다 낮았다. 3. 출수일수는 직파재배가 어린모 기계이앙재배보다 동진벼는 2∼13일, 농안벼는 10∼18일 길었다. 4. 뿌리의 표층 분포 비율은 담수표면산파>담수표면조파>무논골뿌림>건답평면세 조파>어린모 기계이앙재배 순으로 높았다. 5. 제4절간의 굵기는 재배유형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제4절간의 간벽두께는 어린모 기계 이앙재배가 직파재배보다 두꺼웠고 줄기 매몰깊이는 어린모 기계이앙>건답평면세 조파>무논골뿌림>담수표면 조파>담수표면산파 순으로 깊었다. 6. 중심고는 직파재배가 어린모 기계이앙재배보다 높았고 모멘트는 어린모 기계이앙재배가 낮았으며 도복지수는 어린모 기계이앙재배가 가장 낮았고 무논골뿌림, 건답평면세 조파, 담수표면조파, 담수표면산파 순으로 낮았다. 7. 도복은 농안벼에서는 발생하지 않았거나 매우 경미하였으나 동진벼는 담수표면직파>담수표면조파>무논골뿌림>건답직파=어린모 기계이앙의 순으로 도복발생이 심하였다. 8. 수량 구성요소와 수량성은 품종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나, 어린모 기계이앙 재배와 직파재배, 그리고 직파재배와 유형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 PDF

저장온도 및 삽목용토가 감국 삽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Rooting Media on Growth of Cuttings in Chrysanthemum indicum L.)

  • 양수진;이시영;이한나;임정대;정일민;송홍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79-485
    • /
    • 2016
  • Background: Planting vigorous cuttings that quickly develop shoots and roots is essential to the biological and economic success of producing medicinal flower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duration on seedling capacity in the propagation of Chrysanthemum indicum L.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oting media on the growth of C. indicum L. after cutting. Methods and Results: Returning cuttings to supplemental cold storage ($2.0{\pm}1.0^{\circ}C$) may extend duration of cutting viability 6 weeks, returning cuttings to supplemental warm storage ($25.0{\pm}1.0^{\circ}C$) is not recommended. The treatment of the growing media experiments, which were conducted in the 2014 planting seasons, included sawdust, river sand, topsoil + sawdust, topsoil + poultry manure, sawdust + river sand, river sand + poultry manure, topsoil + river sand + poultry manure, topsoil + poultry manure + river sand + sawdust. Result indicated that the topsoil + poultry manure media performed best and supported the highest number of branches (3.47), branch length (26.39), and number of leaves (88.63).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old storage and the topsoil + poultry manure growth media was superior in supporting the early establishment of C. indicum cutting, this result will have a tremendous influence on propagation of this species.

벼 2기작 재배를 위한 조기재배 환경에서 벼 생육 및 수량변화 (Growth and Yield in Early Seasonal Cultivation for Rice Double Cropping in Southern Korean Paddy Field)

  • 구본일;최민규;강신구;박태선;김영두;박홍규;고재권;이변우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20-530
    • /
    • 2011
  • 이앙시기에 따른 생존율은 이앙된 벼가 0℃이하의 저온을 경과하면 생존율이 급격하게 저하되지만, 1~2회 저온에 노출되었을 경우 생존이 가능하여 야간 저온이 0℃를 벗어나는 시기부터 조기재배 이앙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손 등(1983), 정 등(2000)의 4월 15일을 벼 2기작 재배의 적정 이앙시기로 제시한 것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벼 2기작을 위하여 조기재배용으로 육묘한 묘는 육묘일수가 길고 육묘기간을 대부분 가온된 온실 안에서 유지함에 따라 식물체가 도장하고 연약해져 이앙 후 식물체의 줄기가 부러지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관행 육묘상자에 파종량을 줄여서 생육을 진전시키는 것은 이앙시 뿌리 절단에 의해 이앙후 활착이 늦어지므로 저온기에 이앙을 위해서는 폿트육묘 방법이 효과적이었다. 벼 조기재배에서 육묘 이앙 후 주간의 지엽전개가 완료되기까지 생육일수와 적산온도는 관행 육묘상자로 육묘하여 이앙한 것에 비해 폿트육묘의 경우 생육기간 및 적산온도가 감소하였으나 폿트의 크기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폿트 육묘의 크기를 키워 벼 이앙시 생육단계를 달리한 경우 1~2일의 추가적인 생육일수 단축효과가 있었다. 이것은 이앙시 모의 생육량 차이보다 뿌리가 잘리지 않은 상태에서 빠르게 활착하여 본답 생육을 빨리 진행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출수기까지의 생육일수와 적산온도는 저온피해를 받은 이앙 시기에서 크게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익산에서 4월 10일과 4월 20일의 출수기 차이는 2일 정도로 조기재배에서 이앙시기를 앞당겼을 때 생육기간은 크게 단축되지 않았다. 벼 품종별 출수기는 진부올벼가 7월 4일로 가장 빨랐고 둔내벼와는 2~3일의 출수기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는 손양(1983)등이 밀양에서 4월 15일에 철원 36호 등 4품종을 공시하여 7월 6일~7월 18일에 출수하였던 것에 비해 2~14일 빨랐다. 저온피해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진부올벼의 가장 빠른 출수기는 6월 30일 또는 7월 1일경일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관행 벼 육묘상자로 육묘시 6월 말 또는 7월 초에 출수하여 8월 5일경 수확하고 8월 10일 이전에 이앙하는 벼 2기작 시스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벼 폿트육묘 재배시 4월 15일 이앙된 진부올벼의 경우 5~7일 출수기가 단축되었다. 폿트육묘 재배에 의한 출수기 단축은 저온 피해를 적게 받은 경우에 효과가 컸고, 둔내벼에 비해 진부올벼의 출수기 차이가 컸다. 저온피해를 받아 생존율이 떨어지는 경우는 400 kg/10a 이하로 수량이 감소하였고, 저온에도 불구하고 잎이 고사하지 않으면 400 kg/10a 이상의 수량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손양(1983) 등이 4월 15일 이앙에서 얻은 400 kg/10a 전후의 수량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4월 15일에 이앙하여 저온피해를 상대적으로 적게 받은 경우에 쌀 수량은 평균 432 kg/10a, 4월 10일 이앙에서는 375~412 kg/10a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