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ing timing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1초

적색광 처리시기 및 광도가 오이 및 토마토 플러그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imings and Light Intensities of Supplemental Red Light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ucumber and Tomato Plug Seedlings)

  • 장성호;전익조;박용철;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73-179
    • /
    • 2003
  • 본 연구는 오이와 토마토의 플러그 묘 공정육묘시 발생하는 도장 억제를 위한 적생광 처리시기와 광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몰 휴, 야간 및 일출 전 적색광 처리시기에 의한 묘의 도장억제는 일몰 후 처리가 오이와 토마토의 초장을 각각 21.3%와 14.2%로 가장 크게 억제하였고, 경경의 굵기도 가장 두꺼웠다. 엽록소함량은 토마토에서만 일몰 후 처리된 플러스묘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적색광 초리시기에 의한 두 작물의 건물중을 보면, 대조구에 비해 지상부 건물중은 일몰 후와 일출 전 적색광 처리에 의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오이와 토마토 플러그묘의 T/R율은 일몰 후 처리에서 타 처리에 비해 가장 작았으며 조ㅈ직의 충실도는 밀몰 후 처리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광도별 처리에 의한 초장은 오이와 토마토 플러그묘 모두에서 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장은 감소하였다. 하배출, 절간장 및 엽면적도 초장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두 작물 모두 경경과 엽록소함량 및 조직의 충실도는 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율은 광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오이는 2 및 8 ${\mu}mol{\cdot}m^{-2}{\cdot}s^{-1}$의 적색광 처리구에서 토마토는 8 ${\mu}mol{\cdot}m^{-2}{\cdot}s^{-1}$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T/R율을 나타내었다.

Effects of 5-Aminolevulinic Acid on Growth and Inhibition of Various Plant Species

  • Kuk, Yong-In;Lim, Gyeong-Seob;Chon, Sang-Uk;Hwang, Tay-Eak;Guh, Ja-Oc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7-13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f 5-aminolevulinic acid(ALA) on the growth of several crops and weeds, by applying a seed soaking treatment, foliar treatment, and application timing, while comparing biological activity between ALA produced by chemical synthesis (Synthetic-ALA) and extracellularly-accumulated ALA by overexpressing the hemeA gene isolated from Bradyrhizobium japonicum(Bio-ALA). Seed soaking treatment of ALA in barley (five cultivars) and wheat (five cultivars) had not shown positive effects at lower concentrations, 0.05 to 0.5 mM as well as negative effects at higher concentrations, 1 to 30 mM. In rice, there also was no positive effect by seed soaking treatment of ALA at lower concentrations, although the rice became damaged by an application of 5 and 10 mM ALA. Growth in barley cultivars, Ganghossalbori, Naehanssalbori, Songhakbori, Saessalbori, and Daehossalbori were increased up to 14%, 19-51 %, 17-64%, 18-23%, and 22-38% by ALA foliar application at lower concentrations, 0.05 to 0.5 mM,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growth in barley cultivars was inhibited by ALA foliar application at higher concentrations. Barley responded more positively to ALA foliar application than wheat and rice. The growth stimulation caused by ALA seed soaking treatment was less than by ALA foliar treatment. ALA treatment at the 1.5-leaf stage increased growth of barley by 19-58%, while pretreatment to seeds, post-emergence treatment at 3 days after seeding, 3-leaf stages, and 5-leaf stages had not shown positive effects. Thus, the positive effects of ALA on barley were dependent greatly upon the timing of application and its concentration. Monocots weeds were more sensitive to ALA foliar treatment than dicotyledonous weeds. A monocot weed, Setaria viridis L. was the most susceptible plant to ALA while a dicotyledonous weed, Plantago asiatica L. was the most toleran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iological activity between bio-ALA and synthetic ALA on barley, wheat, rice, and weed, Ixeris dentate tested was observed. Thus, ALA produced by microorganisms would be a potent substance to be used effectively in agricultural production.

Impact of Energy and Access Methods on Extrahepatic Tumor Spreading and the Ablation Zone: An Ex vivo Experiment Using a Subcapsular Tumor Model

  • Jin Sil Kim;Youngsun Ko;Hyeyoung Kwon;Minjeong Kim;Jeong Kyong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0권4호
    • /
    • pp.580-588
    • /
    • 2019
  • Objective: To evaluate the impact of energy and access methods on extrahepatic tumor spreading and the ablation zone in an ex vivo subcapsular tumor mimic model with a risk of extrahepatic tumor spreading. Materials and Methods: Forty-two tumor-mimics were created in bovine liver blocks by injecting a mixture of iodine contrast material just below the liver capsule. Radiofrequency (RF) ablations were performed using an electrode placed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hepatic surface through the tumor mimic with low- and high-power protocols (groups 1 and 2, respectively).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ablation. The presence of contrast leak on the hepatic surface on CT, size of ablation zone, and timing of the first roll-off and popping sound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s: With parallel access, one contrast leak in group 1 (1/10, 10%) and nine in group 2 (9/10, 90%) (p < 0.001) were identified on post-ablation CT. With perpendicular access, six contrast leaks were identified in each group (6/11, 54.5%). The first roll-off and popping sound were significantly delayed in group 1 irrespective of the access method (p = 0.002).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ablation zone of the liver specimen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p = 0.247). Conclusion: Low-power RF ablation with parallel access is proposed to be effective and safe from extrahepatic tumor spreading in RF ablation of a solid hepatic tumor in the subcapsular location. Perpendicular placement of an electrode to the capsule is associated with a risk of extrahepatic tumor spreading regardless of the power applied.

일본잎갈나무 천연갱신지의 종자 결실 및 벌채 유형별 종자 비산 특성 (Seed Fructification and Seed Dispersal Characteristics by Harvest Types in Natural Regeneration Sites of Larix kaempferi)

  • 정준모;김현섭;정상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295-307
    • /
    • 2021
  • 본 연구는 일본잎갈나무 인공림에서 천연하종갱신을 이용한 후계림 조성 방법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6년 경기도 가평에 모수작업과 개벌작업을 실시하여 시험지를 조성하고, 2014년에 조성된 경상북도 봉화의 시험지와 함께 천연갱신지의 종자결실 및 종자낙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결실이 좋은 해에 V영급 일본잎갈나무의 개체 목당 종자 수는 690,340립이며, 모수가 ha당 25본인 일본잎갈나무 천연갱신지에서는 ha당 1,380만립의 종자가 결실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종자의 비산은 9월부터 시작되었으며, 11월까지 낙하된 종자의 발아율은 종자품질 기준인 4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갱신유형별 종자 낙하량은 보잔목작업, 모수작업, 개벌작업 순이었고, 보잔목작업이 종자의 균등한 비산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본잎갈나무의 천연갱신을 위한 벌채와 갱신상 조성 시기는 종자가 비산하는 9월 이전이 효과적이고, 보잔목작업이 균일한 종자공급에 유리한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기상요인이 농산물 유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추 유통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Meterological Factors on the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Focused on the Distribution of Chinese Cabbages)

  • 이현정;홍진환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7권5호
    • /
    • pp.59-83
    • /
    • 2012
  • 농업은 타 산업 대비 기상환경에 큰 영향을 받는 산업이다. 기상 상태는 수시로 변화하며,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인다. 또한 이러한 지역적 특성은 그 지역의 농산물의 재배환경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기상이 농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농작물의 생산에만 초점이 맞춰져, 농작물이 생산에서 유통과정에서 기상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농작물인 배추를 중심으로, 기상요인이 농산물 유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배추는 우리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식재료이면서, 기상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 품목이다. 기상이변으로 배추의 가격이 폭등하게 되면 서민가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생산과 유통단계별로 기상요인이 배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배추의 재배유형별 거래량과 거래가격에 대한 실거래 데이터와 재배시기와 판매지역에 따른 기상요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배추의 도매시장 거래량과 거래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배추의 생산지 기상요인보다 판매지역 기상요인의 영향이 배추의 거래량과 거래가격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기상요인을 고려한 출하시기와 반입량에 대한 정책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농산물 수급에 대한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체제가 구축된다면, 기상변화에 민감한 농산물의 가격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방사선 감수성 측정법으로서 MTT 법 시행 시의 최적 조건에 대한 연구 (The Optimal Condition of Performing MTT Assay for the Determination of Radiation Sensitivity)

  • 홍세미;김일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63-170
    • /
    • 2001
  • 목적 : 방사선조사후 세포의 생존 분획은 세포집락 측정기법으로 확인하는 것이 표준이나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생존 세포의 tetrazolium염의 자색 formazan 침전물로의 환원시키는 능력에 그 기반을 둔 MTT 기법을 사용하여 세포집락 측정기법을 대체하기 위한 기법으로서의 유용성과 그 실행상의 최적조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 PCI-1, SNU-1066, NCI-H630, RKO등의 세포주에 0, 2, 4, 6, 8, 10 Gy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세포집락 측정 기법과 MTT기법으로 세포 생존 분획을 조사하였다. 세포집락 측정기법은 $25\;cm^2$ 폴리스티렌 배양 플라스크에 방사선량에 따라 다른 수의 세포를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 후 방사선을 조사하였고 이를 $10\~14$일 동안 배양 후 염색하여 생성된 세포집락의 수를 측정하였다. MTT기법은 침전물의 용해과정이 필요없는 Premix WST-1 시약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MTT기법은 각각의 세포주에서 세포수와 흡광도간의 선형관계와 최적 실험조건을 확인한 이후 시행하였다. 이 기법은 방사선을 조사받은 세포에서는 지수적 성장을 회복한 이후와 방사선을 조사받지 않은 세포는 4회 이상의 세포분열을 거친 후에 시행하였다. 세포집락 측정기법 및 MTT기법을 통하여 얻은 세포 생존율을 구한 후 이를 지표로 비교하였다. 결과 : 각 기법으로 얻은 세포 생존율의 표준편차는 $5\%$ 내외였다. 2가지 방법으로 구한 세포 생존율은 t-test로 비교하였을 때 $0\~4\;Gy$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회귀분석 결과는 선형적 관계가 있었다$(R^2=0.975-0.992)$. MTT 기법의 시행에 최적인 세포수는 배양효율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배양효율이 $30\%$ 이상이면 300개 이하가, $30\%$ 미만인 경우는 $500\~1,000$개가 적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MTT기법은 6 배가시간 경과 이후에 시행하는 것이 세포집락 측정기법과 가장 근접하였으며 적어도 4 배가시간 이후에 시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에 따르면 배가시간이 3일 이하인 세포주가 세포 민감성 측정방법으로서 MTT 기법이 세포 집락 측정 기법을 대체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결론 : 이상에서, MTT기법을 이용하여 방사선조사 후의 세포생존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예비실험을 통해 각 세포주에서의 최적의 조건을 찾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 조건하에서 MTT기법을 시행해야만 방사선에 의한 세포 민감성 측정에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수도(水稻)의 발근(發根)에 미치는 묘대가리시용(苗垈加里施用)의 영향(影響) (Effects of the time, and the rate of potassium fertilization at nursery stage on the rooting activity in paddy rice plant)

  • 이은웅;이춘영;권용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9권
    • /
    • pp.119-124
    • /
    • 1968
  • 묘대(苗垈) 가리시용(加里施用) 시기(時期) 및 시용량(施用量)의 차이(差異)가 수도(水稻)의 근생장(根生長) 및 후기생육(後期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고저 수도품종(水稻品種) "재건(再建)"을 공시(供試)하여 pet 시험(試驗)을 하였다. 시험처리(試驗處理)로써는 파종(播種) 직전(直前)과 파종(播種) 후(後) 30일(日)에 각각(各各) 염화가리(鹽化加里)를 $0{\sim}100gK_{2}O/3.3m^2$ 율(率)로 시용(施用)하고, 40일묘(日苗)를 1 주일(週日) 간격(間隔)으로 3회(回)에 걸쳐 계속 전근(剪根) 후(後) 재식(栽植)하고 각각(各各) 주일(週日) 후(後)에 발근상태(發根狀態) 및 그밖의 실용형질(實用形質)에 대(對)하여 조사(調査)하였으며, 제(第) 3 회(回) 전근(剪根) 후(後) 일부(一部)는 완전재식(完全栽植)하여 수량형질(收量形質)에 관(關)하여 조사(調査)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성묘율(成苗率)은 가리(加里)를 기비(基肥)로 소량(小量) 시용(施用)한 경우에 높았으며, $75gK_{2}O/3.3m^2$ 이상(以上) 시용구(施用區)에서는 현저(顯著)히 감소(減少)하였다. 2. 성묘(成苗)의 초장(草長), 경수(莖數), 엽수(葉數) 및 묘중(苗重)은 모두 가리시용량(加里施用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증대(增大)되었으나 기비(基肥)로 시용(施用)한 경우에는 $50gK_{2}O/3.3m^2$, 묘대말기(苗垈末期)의 시용(施用)에 있어서는 $75gK_{2}O/3.3m^2$를 정점(頂點)으로 감소(減少)하였다. 3. 가리시용량(加里施用量)이 많을 수록 전근(剪根) 후(後)의 발근수(發根數)가 현저(顯著)히 증가(增加)되었고 전근(剪根)을 거듭할수록 이러한 경향(傾向)은 더욱 뚜렷하였으며, 대체(大體)로 그 한계시용량(限界施用量)은 $50{\sim}75gK_{2}O/3.3m^2$ 정도(程度)이었다. 4. 전근(剪根) 후(後) 신생근(新生根)의 최장근장(最長根長)도 통계적(統計的) 유의차(有意差)는 없지만 발근수(發根數)와 비슷한 경향(傾向)을 보였다. 5. 전근묘(剪根苗)의 초장(草長), 경수(莖數) 및 지상부(地上部)와 근부(根部)의 중량변이(重量變異)도 발근수(發根數)와 동조적(同調的) 경향(傾向)이었다. 6. 수수(穗數), 정조량(精租量) 및 고중(藁重)은 처리간(處理間) 차이(差異)는 크지 않지만 역시(亦是) 이앙묘(移秧苗)의 생육상(生育狀)과 동조적(同調的) 경향(傾向)을 보이고 묘대(苗垈) 가리시용량(加里施用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삼소(參少) 증대(增大)되었으나 $100gK_{2}O/3.3m^2$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무처리구(無處理區)와 비슷한 정도(程度)로 감소(減少)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