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diment organic content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3초

On The Bi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Chinhae Bay in September 1983

  • YANG Dong Beom;HONG Jae Sang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5-205
    • /
    • 1988
  • Distribution of organic materials In the surface sediments was investigated in September 1983 in Chinhae Bay System. Bottom waters containing less than 1ml/l of dissolved oxygen were found in Masan Bay, and in part of Kohyonsong Bay and Wonmunpo Bay. Organic carbon content in the surface sediments of Masan Bay was about 25mg/g and it decreased with increasing distance from the inner Masan Bay. Mean organic carbon contents in Wonmunpo Bay and Kohyonsong Bay were 25.48 and 31.39mg/g, respectively, which are higher values than those in Masan Bay where large amount of domestic and industrial wastewaters art discharged into the surface water and extensive phytoplankton occurs almost year round. Mean organic nitrogen and pheophyton contents were also the highest in Kohyonsong Bay amont eight subareas. In Masan Bay, settling of organic materials on the surface sediments seemed to be not significant because of active tidal mixing and relatively small size of particulate materials. In Kohyonsong Bay and Wonmunpo Bay large fecal pellets produced in shellfish farms could be easily settled down on the sediment because of weak current regime. DO content in the bottom waters were low in the organic material rich areas, and that suggests biodegradation of organic materials in the surface sediments could be an important oxygen consuming process during the study period of September 1983.

  • PDF

Correlation Analysis of General Parameters and Metals in the Lake Sediments of Geum River Basin

  • Lee, Jun-Bae;Cho, Yoon-Hae;Huh, In-Ae;Khan, Jong-Beom;Oh, Da-Yeon;Yang, Yoon-Mo;Gil, Gi-Beom;Lee, Soo-Hyung;Cheon, Se-Yeok;Lee, Bo-Mi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84-696
    • /
    • 2017
  • An investigation of grain size, organic compounds and metal distribution in lakes from Geum river basin (Republic of Korea) was conducted in two years (2014 and 2015). The samples of sediment were collected from the 3 lakes (12 sites). The samples were analyzed the concentration of metals (Pb, Zn, Cu, Cr, Ni, As, Cd, Hg, Al, and Li) and general indices including grain siz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determined using general indices and metal concentrations respectively. The organic qualities of sediments were improved in 2015 compared with 2014. The concentrations of metals were lower than Sediment Criteria of Lakes in Korea. The significan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presented only sand-clay, clay-water content, COD-TOC, Cu-Ni, Cd-Li, Zn-Li, and Cr-Ni of general and metal parameters in 2014, 2015 and both of two years.

통영 인근 가두리 양식장 지역의 저서동물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Fauna under Marine Fish Culture Cages near Tong-yong, Southern Coast of Korea)

  • 박흥식;최진우;이형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
    • /
    • 2000
  • 본 조사는 1995년 8월부터 1996년 2월까지 계절별로 3차례에 걸쳐 통영주변 가두리 밑의 환경 및 저서동물 군집조사를 통해 가두리 운영에 따른 저서생물 군집구조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지역의 가두리 밑은 주변 해역과 유사한 퇴적상과 용존산소량을 나타낸 반면 높은 유기물 함량을 나타냈다. 종 수의 경우 가두리 밑이 대조구에 비해 적었지만 서식밀도에서는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가두리 밑의 경우 Capitella capitata 와 Nebalia bipes등이, 대조구의 경우 Lumbrineris longifolia와 Amphioplus sp.가 우점 종을 나타냈다. 특히 가두리 밑에서는 Asterina pectinifera와 Asterias amurensis 등 표서성 초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양도에서 가두리 밑은 계절적인 차이를 보인 반면, 대조구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군집구조에서 가두리 밑과 대조구는 상이한 구조를 나타냈다. 본 조사결과 가두리 양식은 유기물 증가와 시설물에 의한 유해 패각 가입 등 생물학적 영향에 의해 가두리 밑 저서환경과 저서동물 군집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Butyltins in Surface Sediments of Kyeonggi Bay, Korea

  • Kim, Gi-Beum;Tanabe, Shinsuke;Koh, Chul-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3권3호
    • /
    • pp.64-70
    • /
    • 1998
  • Forty sediment samples from Kyeonggi Bay, Korea were analyzed for butyltins, including tributyltin (TBT), dibutyltin (DBT), and monobutyltin (MBT) to determine their distribution and source in this area. Total butyltin concentrations in Kyeonggi Bay sediments ranged from 0.8 to 297 ng/g dry wt. with a mean value of 38 ng/g. The highest butyltin concentration was found in the innermost site in Incheon Harbor basin. The mouth of Han River had higher butyltin levels in sediments compared to open ocean. Butyltin levels correlated well with organic carbon content of sediment, but the major factor was the distance from the source area where antifouling paints were used for vessels and marine structures. Butyltin concentrations in the study area were lower than those reported for bays in other parts of the world. Considering the high toxic potential and sediment/water partition coefficient of TB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ssess its biological effect in the marine ecosystem of Kyeonggi Bay.

  • PDF

Most Probable Number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중랑천 하상토양의 혐기성 세균의 수와 수질과의 상관 관계

  • 박두현;김병홍;임시근;최영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4-370
    • /
    • 1996
  • Sediments collected from the Jungnang-cheon and its tributaries were used to enumerate anaerobic bacteria by most probable number (MPN) methods. A simple method was developed to detect ferrous ion in the culture fluid in order to count the number of iron ion reducers, and sulfate-reducing bacteria (SRB) and methanogens were detected by the presence of FeS precipitate in the culture or methane in the head space, respectively. The numbers of iron reducer was in the range of 10$^{7}$ - 10$^{8}$ /g in the sediment of the stream containing higher organic content than the tributaries. The sediments of tributaries were analyzed to contain iron reducers less than 10$^{7}$ cells/g. With one exception the numbers of SRB and methanogens were less than 10$^{3}$ cells/g in the sediment.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organics in the sediment support the growth of iron reducers, which out-compete SRB and methanogens.

  • PDF

비식생 갯벌에서 퇴적물 입도에 따른 블루카본 저장 특성: 함평만과 동대만 (Characteristics of Blue Carbon Stock by Particle Size of Sediments in Unvegetated Tidal Flats : Hampyeong Bay and Dongdae Bay)

  • 박경덕;강동환;소윤환;조원기;김병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1-189
    • /
    • 2023
  • In this study, sediment cores from unvegetated tidal flats in the Hampyeong Bay (west coastal wetland) and Dongdae Bay (south coastal wetland) were sampled, the blue carbon stock in the sediments was calcul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ue carbon stock were analyzed based on particle size of the sediments. The sediments in the Hampyeong Bay tidal flat had large particle size and low mud content, and the Dongdae bay tidal flat had small particle size and high mud content. The organic carbon content and blue carbon stock in the sediments were higher in the Dongdae tidal flat than in the Hampyeong Bay tidal flat.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function, in both the Hampyeong Bay and Dongdae Bay tidal flats, the sediments had the smaller particle size and higher mud contents the higher the organic carbon content and blue carbon stock. The sediments with smaller particle size had the larger specific surface area, so were feasible to adsorb and store more organic matters.

점착성 유사의 침강속도, 크기, 밀도 측정 플랙탈 차원 분석 (Measurement of Settling Velocity, Size and Density and Analysis of Fractal Dimension of Cohesive sediment)

  • 손민우
    • 생태와환경
    • /
    • 제44권1호
    • /
    • pp.58-65
    • /
    • 2011
  • 본 연구는 간단한 실험실 실험을 통하여 점착성 유사의 덩어리인 플럭의 침강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플럭의 밀도와 프랙탈 차원을 결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상업용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플럭이 침강되는 모습을 촬영하였고, 이후 이미지 분석을 통해 플럭의 침강속도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기물의 많이 포함된 Lake Apopka 정착성 유사는 플럭의 크기와 침강속도가 비례하는 관계를 가지는 것에 비해 무기질인 카올리나이트는 반비례하거나 거의 상관성을 가지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플럭 밀도의 경우 Lake Apopka는 거의 일정한 데 비해 카올리나이트는 플럭의 크기 증가에 반비례하여 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었고 프랙탈 차원도 유사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Lake Apopka 점착성 유사와 카올리나이트 사이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차이점은 유기물 함유에 따라 자기유사성올 가지는 프랙탈 구조체를 구성하는지 여부에 따른 것으로 이해된다. 즉 프랙탈 이론을 따르는 카올리나이트의 경우는 플럭의 크기가 증가하는 동시에 밀도가 감소하여 반비례 관계를 보이는 반면 Lake Apopka의 유기질 점착성 유사는 이러한 경향성을 띠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 경향성에 따라 플럭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밀도가 감소하는 카올리나이트의 침강속도에 비해 플럭의 크기 증가할 때 일정한 밀도가 유지되는 Lake Apopka의 점착성 유사가 침강속도와 플럭 크기 사이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침강속도와 유사 크기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고령토 등의 무기질 점착성 유사가 지배적인 자연환경에서는 모래 등의 비점착성 유사의 경우와 다른 관점에서 침강속도를 고려하고 이 특성이 유사의 이송 및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할 필요가 있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해양 퇴적물내 총탄소 및 유기탄소의 분석기법 고찰 (Methodological Comparison of the Quantification of Total Carbon and Organic Carbon in Marine Sediment)

  • 김경홍;손승규;손주원;주세종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35-242
    • /
    • 2006
  • 해양의 퇴적물내 함유된 총탄소와 유기탄소의 정확한 정량적 이해는 저서환경해석을 위한 기본적인 자료이다. 원소분석기(CHN Analyzer)는 정량적인 탄소분석을 위해 개발되었고 현재 퇴적물내의 탄소성분 분석에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는 기기이다. 원소분석기의 정확도와 정밀도는 Acetanilide($C_8H_9NO$), Sulfanilammide($C_6H_8N_2O_2S$)와 표준하구 퇴적물인 BCSS-1를 이용하여 점검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 원소분석기는 탄소 및 질소 분석 시 오차백분율이 3.28% 이하의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상대표준편차가 1.26% 이하의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탄소분석에 많이 이용되는 탄소분석기(Coulometeric Carbon Analyzer)와 원소분석기 사이의 탄소분석 비교에서 다양한 퇴적물내에서 측정된 총탄소량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2=0.9993$, n=84). 두 기기로부터 얻어진 값은 서로 중요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aired t-test, p=0.0003). 이러한 두 기기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는 유기탄소 분석 비교 실험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R^2=0.8867$, n=84, p<0.0001; paired t-test, p=0.0006). 탄산염 연니 같은 무기 탄소량이 높은 퇴적물 분석시 오차가 크게 나타날 가능성도 있지만, 일반적인 해양퇴적물의 유기탄소 분석 시에는 원소분석기를 이용하여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얻어진 유기탄소분석 방법은 일반적인 퇴적물의 유기탄소분석에 적용될 수 있으며, 분석 소요시간의 단축과 높은 정밀도 및 정확도로 반복적인 유기탄소분석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방조제 건설이후 아산만 대형저서동물 군집 구조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Macrobenthic Communities after Dike Construction in Asan Bay, Korea)

  • 유옥환;이형곤;이재학
    • 환경생물
    • /
    • 제29권4호
    • /
    • pp.326-344
    • /
    • 2011
  • 아산만 인근해역은 최근 20여년 넘게 실시된 각종 방조제 공사가 저서동물의 군집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충분치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화옹방조제 건설 이후 아산만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대형저서동물 채집은 2007년 8월과 2008년 2월에 아산만 주변 해역 22개의 정점에서, 스미스 맥킨타이어 그랩(Smith McIntyre Grab, 표면 면적: 0.1$m^2$)을 이용하였다. 화옹방조제 주변에서 유기물 함량은 상대적으로 높았고, 수심이 낮았으며, 퇴적물 입자는 방조제 주변에서 펄의 함량이 높았다. 그러나 방조제에서 남양만 외측으로 갈수록 수심이 깊어지고 모래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317 종이였으며, 평균서식밀도는 1,155 개체 $m^{-2}$로 지금까지 조사된 결과와 비교했을 때 매우 높았다. 본 조사에서 퇴적물내 유기물 오염이 진행된 지역에서 다량 출현하여 예비 오염지시종으로 알려진 다모류 $H.$ $filiformis$가 가장 우점하였으며, 세립질 퇴적물이 많이 분포하고 유기물 함량이 높은 화옹방조제 주변에서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다. 반면에 오염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는 다모류 $A.$ $arctica$와 극피동물인 $A.$ $squamata$ 등은 화옹방조제에서 먼 거리에 위치한 아산만 내측과 남양만 외측에 서식밀도가 높았다. 대형저서동물의 군집은 방조제에 인접한 지역과 그 외 지역으로 크게 구분되어졌으며, 퇴적물의 입자 (펄 함량 또는 평균입도)와 균질상태 그리고 유기물함량 등이 군집구조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아산만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방조제 건설 이후 유기물 함량의 증가와 퇴적상의 변화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영산강유력(榮山江流域) 퇴적층(堆積層)의 수직적.공간적(垂直的.空間的) 발달(發達) 연구(硏究) (A Vertical and Spatial Study of Sediment Deposits Developing Along Yeongsan River)

  • 은고요나;유환수;김동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40-552
    • /
    • 1997
  • 영산강 유역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퇴적층에 관해 과학적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 영산강을 따라 13개 지점에서 시추가 수행되었다. 퇴적층은 가장 하류에 위치한 YS 1에서 22.0m, YS 2에서 20.0m, YS 3에서 18.5m, YS 4에서 12.0m, YS 5에서 3.0m, YS 7에서 5.5m, YS 8에서 3.0m, YS 9에서 5.9m, 그리고 가장 상류인 YS 10에서 5.0m까지 발달하고 있다. 퇴적층의 성분별 특성은 YS 4를 경계로 상류지역은 거의 사질을 포함한 자갈층이 우세하며, 하류지역인 YS 1$\sim$YS 3에서는 $11m{\sim}16m$ 정도의 두꺼운 니질층이 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사질층과 사질층 아래에 자갈을 포함한 사질층이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시추공별 유기탄소의 평균함량은 YS 1에서 가장 낮은 0.5%인 반면 상류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YS 8에서 최대인 0.9%이다. 반면에 탄산염은 YS 2에서 14.2%로 가장 높고, YS 9에서 가장 낮은 2.8%이다. 결과적으로 유기탄소와 탄산염 함량의 공간적인 변화는 서로 상반적인 경향으로 나타난다. 입도분석 결과에 의하면, 강 상류지역에 퇴적층은 상대적으로 자갈의 함유량이 많은($48.8%{\sim}14.1%$) 반면 니질은 감소하고, 하류쪽으로 갈수록 자갈의 함유량이 적어지고 니질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퇴적층의 성분별 공간적인 분포는 입도와 퇴적물 특성에 따라 자갈을 포함하고 있는 층과 포함하지 않고 있는 두개의 층으로 대분될수 있는데, 이러한 층의 경계는 YS 1$\sim$YS 4까지는 뚜렷하지만 상류지역의 퇴적층에서는 나타나지 않거나 모호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