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retory canal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6초

무당거미(Nephila clavata L. Koch) 병상선(甁狀腺)의 미세구조(微細構造) I. 대병상선(大甁狀腺)의 분비관(分泌管) (Ultrastructure of the Ampullate Gland in the Orb Web Spider, Nephila clavata L. Koch I. Excretory Duct of the Large Ampullate Gland)

  • 문명진;김창식;김우갑
    • Applied Microscopy
    • /
    • 제18권2호
    • /
    • pp.77-90
    • /
    • 1988
  • The ultrastructure of the excretory duct of the large ampullate gland in the orb web spider, Nephila clavain L. Koch are studied with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excretory ducts of the large ampullate glands connected with the large spinning tubes(spigots) on the anterior spinnerets are basically composed of three superposed types of the layers which are inner cuticles, monolayered epithelial cells and peripheral connective cells.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uticles and internal textures of the epithelial cells, the long excretory ducts are subdivided into three(distal, middle and proximal) portions. Especially, at the distal portion of the ducts near the spinning tubes, the electron lucent subcuticles which had the functions of water removal and orientation of silk fibers are well distributed, whereas at the middle and proximal portions these layers disappeared and instead of these, endocuticles are developed. The endocuticle contains two types of bands, which are electron dense and electron lucent. And along the length of the cuticular stem in the excretory duct, these two alternating bands are twisted spirally. In the cytoplasm of the columnar epithelial cells of the distal portion, rough endoplasmic reticula and Golgj complexe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the cuticular materials are well developed. Between the adjacent epithelial cells, specialized septate junctions and desmosomes are formed along the plasma membranes. At the proximal portion of the duct, densely accumulated secretory materials appeared, and these are released to the inner canal by the apocrine secretion.

  • PDF

탈회냉동건조골에 대한 성견의 치수조직반응에 관한 연구 (A HISTOPATHOLOGIC STUDY ON THE PULPAL RESPONSE TO DEMINERALIZED FREEZE-DRIED BONE IN DOGS)

  • 정문용;이창섭;박주철;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18-332
    • /
    • 2000
  • 탈회냉동건조골과 교원질을 치수치료제로서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규명하기 위하여, 성견의 치아를 대상으로 치수절단술을 시행하여 치수조직의 염증반응, 재생성 상아질의 형성 등 치수조직반응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체중 10kg 내외의 4마리의 성견 치아에 소독된 round bur을 이용하여 5급 와동을 형성한 후 치수절단술을 시행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수산화칼슘으로 치수 복조을 시행하고 IRM으로 밀봉하였으며, 실험군으로는 교원질과 탈회냉동건조골을 이용하여 복조한 후 대조군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밀봉하였다. 실험동물은 3일, 1주일, 2주일, 4주일 경과 후 관류 고정으로 희생되었으며, 조직표본을 제작한 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치수 조직 반응을 관찰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든 군에서 치수괴사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대조군과 실험 2군에서는 1주일 후부터 염증이 소실되었으나, 실험 1군에서는 2주까지 염증소견을 보이며 절단된 치수 측벽의 조상아세포들도 배열이 불규칙하였다. 2. 대조군에서는 2주부터 불완전한 상아질교가, 4주 경과 후에는 골양상아질과 완전한 상아질교가 관찰되었으며, 1군에서는 섬유성피막은 형성되었으나 조상아세포와 상아질교의 형성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2군의 경우 2주 경과 후 탈회냉동건조골 주위에 분화된 조상아세포들에 의해 형성된 상아전질과 재생성 상아질이 관찰되었으나 상아질교의 형성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3. 대조군과 2주군에서 1주일 경과 후에 크고 호염기성 핵을 갖는 세포들이 치수절단부 하방과 탈회냉동건조골 주위에 모여드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대조군에 비해 2군에서 더욱 현저하였으며 시간이 경과될수록 규칙적으로 배열한 조상아세포와 재생성 상아질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대조군과 2군에서 조상아세포는 극성을 띤 핵, 조면내형질세망, 골지체, 분비과립 등을 포함하는 세포질과 유기기질을 분비하는 소견 등, 석회화가 이루어지는 초미세구조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탈회냉동건조골은 치수의 미분화 간엽세포로부터 조상아세포의 분화를 유도하여 치수절단부위에 재생 상아질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