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trauma stres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외상생존자와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대한 역할갈등, 업무부담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의 영향 (Influences of role conflict, workload,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self-efficacy on burnout of social workers working with trauma survivors)

  • 박윤미;윤혜미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36호
    • /
    • pp.289-322
    • /
    • 2011
  • 본 연구는 다양한 종류의 폭력으로 인한 외상생존자들과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에 관심을 두고 전국의 아동보호전문기관과 가정폭력피해자 지원기관 및 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2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분석한 결과이다.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와 소진의 수준과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다음, 역할갈등과 업무부담, 자기효능감,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련성을 경로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소진에 대한 역할갈등과 업무부담의 영향을 매개하는지를 점검하고 특히 변수 간의 관련성이 외상생존자의 유형(아동/성인), 즉 기관(아동보호 전문기관과 가정폭력 성폭력피해자 지원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는 PTSD 증후군의 절단점 이상이 64.7%나 되었고 연령과 학력이 낮을수록, 미혼일 때, 아동외상생존자와 일하는 경우에서 일관되게 높게 나타났고 직급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소진도 동일한 경향성을 보였다. 직무특성인 역할갈등과 업무부담이 높을수록 종사자의 소진이 높았고 업무부담은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가 높으면 소진이 높아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동 외상생존자와 일하는 종사자의 소진은 업무부담의 직접 영향을 받았는데 업무부담과 역할갈등이 높을수록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는 역할갈등의 소진에 대한 영향을 완전매개하고 업무부담의 소진 영향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인 외상생존자와 일하는 종사자의 소진은 역할갈등과 업무부담의 직접 영향을 받았으며 업무부담${\rightarrow}$이차적 외상 스트레스${\rightarrow}$소진, 그리고 업무부담${\rightarrow}$이차적 외상 스트레스${\rightarrow}$자기효능감${\rightarrow}$소진의 경로를 통해 간접 영향을 받았다. 자기효능감은 성인 외상생존자와 일하는 종사자의 경우에만 소진에 직접적인 부정적 효과를 주었다. 결론적으로 외상생존자와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소진 감소전략은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의 감소가 선행되어야 함을 보여주었고 외상생존자의 유형(아동/성인)에 따른 개입 전략의 차별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응급구조사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정도와 관련요인 (Secondary Traumatic Stress(STS) and related factor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 최희정;박정미;서순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15
    • /
    • 2009
  • Purpose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STS) and related factor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190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over the age of 25, with the 1st or 2nd grade qualification, who serve at fire stations in U and P city of Korea. The collected data for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 12.0. Result : The average character type of A-type personality technicians was 43.25 points and the average of B-type personality technicians was 37.82 points. It suggested that the former was higher than the latter. State anxiet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ype group and B-Type group with the score of 48.51 for A-Type and 47.91 for B-Type. Physical sympto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the higher score of 28.45 for A-type group than that of 28.13 for B-Type group. The level of STS related to the volunteers' job characteristics was found to be low when the volunteers were satisfied with their job and didn't want to transfer to another division. Those on duty who had slept more than seven hours that day had the highest points. The number of points was highest when the frequency for the onset of trauma was between 20~30 time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for most technicians, 71.05%, the period of symptoms lasted for a few weeks at most, and this was where the STS was the lowest, whereas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STS occurred when the symptoms lasted for a period of up to six months. The finding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 relation of r=.24 between STS and level of anxiety and r=.45 between STS and physical symptoms.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vel of anxiety and physical symptoms. Conclusion : The mor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re exposed to accidents, the more serious the STS are. Those with an A-type personality are especially prone to have higher STS. The higher the STS level is, the higher the level of physical states and anxiety is.

  • PDF

A Case Study of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n Operational Fire Service Personnel Within the Lancashire Fire and Rescue Service

  • Khan, Khalid;Charters, Jonathan;Graham, Tony L.;Nasriani, Hamid R.;Ndlovu, Shephard;Mai, Jianqian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9권3호
    • /
    • pp.277-289
    • /
    • 2018
  • Background: Lancashire Fire and Rescue Service (LFRS), the subject of this evaluative research document employs 1400 people. 80% of employees are operational firefighters and officers whom operate across a range of duty systems and support functions, providing prevention, pro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to the communities of Lancashire. Methods: The overarching purpose of this epidemiological study is to assess the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mongst operational LFRS personnel and to analyse the effects upon those who may be suffering from it, whether brought about by a single traumatic event or by repeated exposure to traumatic occurrences over a period of time. A combin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research was carried out. Primary data was collated using two recognised clinical questionnair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aid of the software package SPSS. Results: The findings and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out of the 100 people surveyed, 30% of respondents had signs of probable distress. Of this quota, 4% showed symptoms of PTSD. The study considers how an organisation can recognise and manage PTSD and provides recommendations to assist in better recognising and managing the associated risks. Conclusion: Based upon the findings,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 level of PTSD within LFRS is slightly lower than those found in other studies undertaken within the Fire and Rescue Service sector. The paper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a series of actions for consideration by LFRS senior management to improve PTSD support services for employees.

자살시도자와 자살 사망자의 자살 방법, 스트레스 요인 및 정신과적 진단 (Suicide Method, the Recent Stressors, Psychiatric Diagnosis of Suicide Attempters and Suicide Completers)

  • 오시현;안지혜;서지효;구혜린;김민정;장혜연;김석주
    • 수면정신생리
    • /
    • 제29권1호
    • /
    • pp.15-20
    • /
    • 2022
  • 배 경: 본 연구는 자살시도자와 자살사망자 간 자살방법, 스트레스 요인, 정신과적 진단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두 가지 후향적인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살시도자의 경우 삼성서울병원의 의무기록을 확인하여 680명의 의무기록을 수집하였고 한국생명존중재단의 심리부검과정을 통해 11,722명의 자살사망자 데이터를 제공받았다. 두 가지 자료의 자살방법, 스트레스 요인, 정신과적 진단에서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 과: 자살사망자는 자살시도자에 비해 남성이 많았고 연령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방법 중 목 매달기나 농약 음독과 같은 방법이 자살사망자와 관련이 있었다. 자살시도자의 경우 둔기를 이용해 손목을 긋거나 약물을 음독하는 경우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종류의 스트레스 요인이 자살사망자에게서 높았으며, 특히 경제적인 문제와 신체적인 문제가 자살사망자에게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진단의 경우 연령과 성별에 따른 영향을 배제하자 자살시도자와 자살사망자 간 차이를 규명할 수 없었다. 결 론: 자살시도자와 자살사망자 사이에 자살 방법, 스트레스 요인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경제적인 문제와 신체적인 문제가 동반된 경우 자살 사망의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