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renal amyloidosi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5초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 환아에서 발생한 이차성 신유전분증 1 례 (A Case of Secondary Renal Amyloidosis in Children with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 문재훈;이숙진;강미선;정우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6권2호
    • /
    • pp.243-250
    • /
    • 2002
  • 저자들은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진단되어 간헐적으로 NSAID를 투여 받아 오던 중학교 신체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 단백뇨와 혈뇨를 주소로 내원하였던 12세 여아에서 신생검상 신장의 아밀로이드의 침착을 확인하여 이차성 유전분증으로 진단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 Pediatric Cas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with Renal Amyloidosis

  • Hyun, Hyesun;Park, Eujin;Kim, Ji Hyun;Cho, Myung Hyun;Kang, Hee Gyung;Moon, Jin Soo;Moon, Kyung Chul;Ha, Il-Soo;Cheong, Hae Il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81-85
    • /
    • 2018
  • Amyloidosis is a rare disease that results from the deposition of extracellular protein in various body tissues, causing progressive organ dysfunction. Secondary renal amyloidosis is a rare but serious complication of chron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particularly i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or ulcerative colitis. We report a case of secondary renal amyloidosis in a pediatric patient who reported a 16-year history of "very early onset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tensive treatment including repeated infliximab infusions improved clinical parameter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although renal dysfunction showed progression. Amyloidosis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IBD, particularly if they suffered disease progression.

Secondary renal amyloidosis in a 13-year-old girl with bronchiectasis

  • Yang, Eun-Ae;Lee, Dong-Won;Hyun, Myung-Chul;Cho, Min-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7호
    • /
    • pp.770-773
    • /
    • 2010
  • A 13-year-old girl was diagnosed with non-cystic fibrosis (CF)-related multifocal bronchiectasis accompanied by nephrotic-range proteinuria of unknown cause. On renal biopsy, there were many segmental homogeneous deposits of amyloid tissue with positive Congo red staining in the glomeruli and interstitium. On electron microscopy, relatively straight, non-branching, randomly arranged amyloid fibrils were showed in the mesangium of the glomeruli. These fibrils were approximately 10 nm in diameter, compatible with secondary amyloidosis. Her level of serum amyloid A was remarkably elevated. To our knowledge, this girl is the first case of secondary renal amyloidosis induced by bronchiectasis in Korean children.

크론병에 동반된 속발성 아밀로이드증에서 infliximab 치료 (Secondary amyloidosis complication of Crohn disease treated with infliximab)

  • 송민주;김효상;박소영;천재경;박소정;양지영;박수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102-105
    • /
    • 2015
  • Secondary systemic (AA) amyloidosis is a severe complication of progressed Crohn disease (CD) characterized by the deposition of amyloid A in body organs and tissues. Various therapeutic approaches have been recommended, however there is still no effective treatment. Recently, several case reports have demonstrated the effects of anti-tumor necrosis factor-${\alpha}$ therapy in patients with AA amyloidosis associated with CD. We report on a 35-year-old female patient with CD complicated by AA amyloidosi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renal involvement, who was treated with infliximab. The infliximab therapy improved the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decreased the serum creatinine.

학교 신체 검사에서 발견된 단독 단백뇨의 분석 (Analysis of Isolated Proteinuria on School Urinary Mass Screening Test in Busan and Kyungsangnam-do Province)

  • 오동환;김정수;박지경;정우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7권2호
    • /
    • pp.142-149
    • /
    • 2003
  • 목적 : 초,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뇨 검사의 전반적인 분석에 대한 연구 결과들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보고되었으나, 단독 단백뇨(isolated proteinuria)에 대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국내에서는 매년 전체학생의 0.3-0.5%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단백뇨는 과도한 양의 단백이 소변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 발견된 단백뇨는 심각한 신장질환이나 전신 질환의 초기 발현이거나 혹은 임상적으로 의미 없는 일시적인 소견일 수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단백뇨의 경우는 향후 진행성 신질환의 경과를 취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므로 진단 당시 정확한 검사 및 지속적인 외래 추적 관찰이 필수적이다. 이에 저자들은 부산 경남지방에 거주하는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 중학교 신체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 단독 단백뇨를 주소로 본 원을 방문하였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독 단백뇨의 원인을 규명하고, 전국적인 자료 구축의 기본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2년 4월부터 2003년 8월까지 학교 신체 검사에서 발견된 소변 검사상의 이상 소견을 주소로 부산백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였던 학생 중 단독 단백뇨의 소견을 보였던 초, 중, 고등학생 44명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성별은 남자가 15명, 여자가 29명으로 남녀 비는 1:1.93이었다. 연령은 7세부터 16.9세까지로 평균 연령은 12.0세였다. 모든 학생들은 소아신장학회의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단독 단백뇨를 보였던 44명 학생들에서 단백뇨의 원인적 분석 결과는 일시적 단백뇨가 4례(9.1%), 기립성 단백뇨가 36례(81.8%), 지속성 단백뇨가 4례(9.1%)로, 기립성 단백뇨가 가장 많았다. 본원에 의뢰된 학생들의 학교 신체검사상에서의 단백뇨 정성검사(urine dipstick test) 결과를 보면, 전체적으로 2+가 24례(54.5%)로 가장 많았으며, Trace와 3+가 각각 6례, 1+ 5례, 4+ 3례였다. 기립성 단백뇨 군에서는 2+가 21례(58.3%)로 가장 많았다. 24시간 채집뇨상의 총단백량은 일시적 단백뇨 군에서는 평균 $121.0{\pm}136.4\;mg$이었고, 기립성 단백뇨 군은 평균 $179.1{\pm}130.0\;mg$, 지속성 단백뇨 군은 $1,532.8{\pm}982.5\;mg$이었다. 기립성 단백뇨 군에서는 24시간 채집뇨상의 총단백량의 범위가 40 mg에서 616 mg까지로 비교적 넓은 범위를 나타내었다. 단회뇨를 이용하여 측정한 PCR은 일시적 단백뇨군에서는 평균 $0.10{\pm}0.01$이었고, 기립성 단백뇨군은 평균 $0.61{\pm}0.61$, 지속성 단백뇨 군은 평균 $4.35{\pm}4.04$이었다. 기립성 단백뇨 군에서는 PCR의 범위가 0.09에서 2.32까지의 편차를 나타내었다. 지속성 단백뇨를 보이는 경우가 4례에서 관찰되었다. 이들 모두는 1년 동안 계속하여 단백뇨가 나타났으며, 결국 신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1례는 미세병변이었고, 나머지 2례는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이였으며, 나머지 1례는 신유전분증이었다. 결론 : 단백뇨의 검출은 신장질환의 존재를 확인해 줄 뿐만이 아니라 지속적인 단백뇨는 진행성 경과의 위험성을 동시에 암시해 주는 매우 유용한 지표이다. 본 연구 결과 학교 신체 검사상에서 발견된 단독 단백뇨의 주된 원인은 기립성 단백뇨로 81.8%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지속성 단백뇨의 경우 비록 9.1%의 빈도를 보였지만, 신장 조직검사를 시행한 결과 진행성 경과를 취할 수 있는 막 증식성 사구체 신염과 매우 희귀한 증례인 신유전분증 등으로 진단됨으로써 지속성 단백뇨의 경우 정확 진단적 접근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기립성 단백뇨의 경우는 간단한 소변 검사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므로 필요하지 않은 검사의 무분별한 시행이나 신장 질환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집단 소변 검사는 예방적인 차원에서의 의료 관리의 전형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이의 성공적이면서도 확고한 정착을 위해서는 각 지역을 중심으로 시행되어진 자료의 수집과 관리를 일원화하는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통해 얻어진 자료들의 통계적 분석과 다양한 예시들은 소아 신질환의 관리의 귀중한 이정표를 제시해 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