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materials

검색결과 1,920건 처리시간 0.033초

Multi-Walled Carbon Nanotubes가 Li/S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성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on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of Li/S Secondary Batteries)

  • 송민상;한상철;김현석;김진호;강용묵;안효준;이재영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22-130
    • /
    • 2003
  • Li/S 이차전지의 유황양극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고 유황이 충방전시 전해질내로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NTs)를 thermal CVD 방법으로 제조하여 유황양극에 첨가하였다. 실험결과 첫 사이클에서 Li/S 이차전지의 방전용량은 485mAh/g-sulfur이었고, MWNT 첨가 이후에 유황양극의 cycle life와 rate-capability가 향상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MWNT는 polysulfide를 유황양극에 흡착시키는 동시에 good electric conductor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리튬 함유 물질로부터 탄산리튬 회수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recovery of the lithium carbonate powders from lithium-containing substances)

  • 김대원;박재량;안낙균;최광묵;진연호;양재교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91-106
    • /
    • 2019
  • 친환경 자동차용(EV: Electric Vehicle, HEV: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리튬계 이차전지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리튬의 수요가 매우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인 리튬의 생산은 주로 리튬 함유 광물이나 염호에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리튬계 이차전지의 재활용 시 유가금속과 함께 회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 함유된 물질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RF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이차전지 음극재용 탄소나노실리콘복합소재 합성 (Synthesis of Carbon Nano Silicon Composites for Secondary Battery Anode Materials Using RF Thermal Plasma)

  • 이순직;김대신;연정미;박원규;신명선;최선용;주성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257-264
    • /
    • 2023
  • To develop a high capacity lithium secondary battery, a new approach to anode material synthesis is required, capable of producing an anode that exceeds the energy density limit of a carbon-based anode. This research synthesized carbon nano silicon composites as an anode material for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RF thermal plasma method, which is an ecofriendly dry synthesis method. Prior to material synthesis, a silicon raw material was mixed at 10, 20, 30, 40, and 50 wt% based on the carbon raw material in a powder form, and the temperature change inside the reaction field depending on the applied plasma power was calculated. Information about the materials in the synthesized carbon nano silicon composites were confirmed through XRD analysis, showing carbon (86.7~52.6 %), silicon (7.2~36.2 %), and silicon carbide (6.1~11.2 %). Through FE-SEM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ilicon bonded to carbon was distributed at sizes of 100 nm or less. The bonding shape of the silicon nano particles bonded to carbon was observed through TEM analysis. The initial electrochemical charging/discharging test for the 40 wt% silicon mixture showed excell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1,517 mAh/g (91.9 %) and an irreversible capacity of 133 mAh/g (8.1 %).

Geant4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불균질 매질에서의 양성자의 이차입자 영향 분석 (Evaluation of the Secondary Particle Effect in Inhomogeneous Media for Proton Therapy Using Geant4 Based MC Simulation)

  • 박소현;정원균;라정은;박성용;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4호
    • /
    • pp.311-322
    • /
    • 2010
  • 양성자 치료 시, 이차 입자는 암 부위 이외의 영역에 선량을 전달하고 이차 암 발생 가능성을 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확한 분석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불균질 물질에 의해 양성자 빔으로부터 발생 된 이차입자의 플루언스와 에너지 분포가 받는 영향에 대해 Geant4 (Geometry And Tracking) 전산모사를 통해 분석 하는 것이다. 불균질 조건은 브래그 커브 내에 최대 선량의 30% (플라토)와 80% (브래그 피크) 선량 지점에 두께 2 cm의 지방, 뼈 그리고 폐 등가 물질을 삽입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양성자의 에너지는 100, 130, 160 그리고 190 MeV로 변화시켰으며, 이차 입자에 대한 결과는 불균질 물질에서의 이차입자의 플루언스와 에너지 분포로 나타내었다. 이차입자의 플루언스는 불균질 물질의 밀도에 적은 영향을 받지만, 삽입위치, 양성자의 초기 에너지에 따라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차입자의 에너지 분포는 불균질 물질의 삽입 위치에 따라 다르다. 플라토 영역 내에서 이차입자의 에너지 분포는 물질의 밀도에 영향을 받지만, 브래그 영역 내에서는 불균질 물질의 밀도와 양성자의 초기 에너지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더욱 복잡한 불균질 물질에서의 이차입자의 분포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내제한다.

Measurement of Ion-induced Secondary Electron Emission Yield of MgO Films by Pulsed Ion Beam Method

  • Lee, Sang-Kook;Kim, Jae-Hong;Lee, Ji-Hwa;Whang, Ki-Woong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3권1호
    • /
    • pp.17-21
    • /
    • 2002
  • Measurement of the ion-induced secondary electron emission coefficient (${\gamma}_i$) for insulating films is hampered by an unavoidable charging problem. Here, we demonstrate that a pulsed ion beam technique is a viable solution to the problem, allowing for accurate measurement of ${\gamma}_i$ for insulating materials. To test the feasibility of the pulsed ion beam method, the secondary electron emission coefficient from n-Si(100) i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 from the conventional continuous beam method. It is found that the ${\gamma}_i$ from n-Si(100) by the ion pulsed beam measured to be 0.34, which is the same as that obtained by continuous ion beam. However, for the 1000 A $SiO_2$ films thermally deposited on Si substrate, the measurement of ${\gamma}_i$ could be carred out by the pulsed ion method, even though the continuous beam method faced charging problem. Thus, the pulsed ion beam is regarded to be one of the most suitable methods for measuring secondary electron coefficient for the surface of insulator materials without experiencing charging problem. In this report, the dependence of ${\gamma}_i$ on the kinetic energy of $He^+$ is presented for 1000 ${\AA}$ $SiO_2$ films. And the secondary electron emission coefficient of 1000 ${\AA}$ MgO e-beam-evaporated on $SiO_2/Si$ is obtained using the pulsing method for $He^+$ and $Ar^+$ with energy ranging from 50 to 200 eV, and then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conventional continuous method.

일방향 복합재료 Single Lap접합 조인트의 파손 모드 및 강도 I. 실험 (Failure Mode and Strength of Unidirectional Composite Single Lap Bonded Joints I. Experiments)

  • 김광수;유재석;안재모;장영순
    • Composites Research
    • /
    • 제17권6호
    • /
    • pp.14-2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접합 방법에 따라 일방향 복합재료 단일 겹치기 접합 조인트의 파손 과정, 모드 및 강도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접합 방법으로는 접착제 없는 동시성형, 접착제를 사용한 동시성형 및 이차 접합의 세 가지를 고려하였다 또한 이차 접합 조인트에서 몇 가지 파라미터의 영향도 살펴보았다. 접착제 없는 동시성형 시편은 가장 우수한 조인트 강도를 나타내었다. 이차접합 조인트에서는 접착제 층의 점진적인 파손이 발생하였다. 접착제의 재료 및 접합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한 필름 접착제의 동시성형 조인트는 갑작스런 층간분리 파손이 발생하였으며 이차 접합 조인트보다 더 낮은 파손 강도를 나타내었다. 이차 집합 조인트에서 층간분리 파손이 발생하지 않은 것은 접착제 층에서의 균열 진전 및 점진적 파손이 층간분리 파손을 방지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복합재료 접합 조인트의 파손 강도는 접착제의 재료 강도 또는 접착 성능과 항상 비례하지 않으며 이것은 복합재료가 층간 분리 파손에 약하기 때문이다.

고급강 제조 반응 모델의 검토 : Part. 2. 종합 모델 및 단일 반응 모델 (A Review of Kinetic Model for Production of Highgrade Steel : Part. 2. Complex Reaction Model and Single Reaction Model)

  • 김정인;김선중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0권1호
    • /
    • pp.14-25
    • /
    • 2021
  • 고품질 철강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2차 정련 공정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공정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용강, 슬래그 및 비금속 개재물의 조성은 정련 공정이 평형 상태가 아님을 의미하며, 정련 공정에서는 용강, 슬래그, 비금속 개재물, 내화물 및 합금 원소 간의 동시 다발적 반응이 일어난다. 다양한 상들의 비평형 상태에서 복잡한 반응을 고려하기 위해, 이전 연구자들은 실험을 통해 도출된 반응 속도 수식들을 기반으로 kinetic 기반의 고급강 제조 정련 시뮬레이션 모델을 발표하였다. 정밀한 시뮬레이션 모델의 개발을 위해 보고된 2차 정련 모델들의 분석 및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로 발표된 정련 공정 관련 종합 모델들 및 단일 반응 모델들에 대하여 검토하고 소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