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al average temperature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7초

서울의 겨울철 일평균 기온에 나타난 계절 추이와 변화 (The Change of Seasonal Trend Appeared in Wintertime Daily Mean Temperature of Seoul, Korea)

  • 박병익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52-167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서울의 1941~1970년(가 기간)과 1971~2000년(나 기간)의 일 평년 기온에 조화분석을 적용하여 계절 추이를 산출, 이의 변화 양상을 살피고, 계절 추이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겨울철의 가장 낮은 기온이 가 기간에는 1월초 중순에 나타났으나 나 기간에는 1월 하순~2월 초순에 나타나 계절 추이가 변화되었음을 나타냈다. 이러한 변화는 12월 27일~1월 20일(전기)의 기온이 보다 많이 상승한 반면 1월 21일~2월 9일(후기)의 기온이 보다 적게 상승하였기 때문에 나타났다. 가 기간의 일 평년값에 대한 전기와 후기의 기온 펀치는 1970년 이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1971년 이후에 차이가 컸다. 전기의 경우 시베리아 고기압이 근래에 뚜렷하게 약화되면서 우리나라 부근의 북풍이 약화되어 서울의 기온이 많이 상승하였다. 반면 후기의 경우 시베리아 고기압이 근래에 약화되었으나 알류샨 저기압이 발달하여 우리나라 부근의 북풍은 크게 약화되지 않아 서울 기온이 많이 상승하지 않았다.

Concentra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Particle PCBs in Air

  • Yeo Hyun-Gu;Chun Man-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21권E1호
    • /
    • pp.13-21
    • /
    • 2005
  •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PCBs were monitored in Ansung-city, Kyonggi province during the 2001/2002 to characterize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particle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Average concentration of particle bound PCB showed maximum value for penta-CBs and minimum value for octa-CBs. Seasonal contributions $(%\)$ of total particle PCBs showed the highest value in winter months and lowest value in summer month, This result indicated that concentration of total particle PCBs increas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in the atmosphere. Therefore, particle PCBs were easily formed by the condensation of gas phase PCBs in winter months. The total particle PCBs exhibited an inverse correlation with temperature (p<0.01) which suggested that particle PCBs were easily formed by condensation of gaseous PCBs in winter months.

Mann-Kendall 비모수 검정과 Sen's slope를 이용한 최근 40년 남한지역 계절별 평균기온의 경향성 분석 (A trend analysis of seasonal average temperatures over 40 years in South Korea using Mann-Kendall test and sen's slope)

  • 진대현;장성환;김희경;이영섭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3호
    • /
    • pp.439-447
    • /
    • 2021
  • 범지구적 이상기후의 잦은 출현으로 기상 변화에 대한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장기간 축적된 기상자료를 이용한 경향성 분석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모수적 분석방법을 이용해 40년간 종관기상관측장비(ASOS)로 부터 축적된 기온 시계열 자료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남한지역의 연평균 기온과 계절별 평균기온 시계열 자료에 대한 Mann-Kendall 검정 결과 상승 경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ettitt 검정을 적용해 탐색된 변동점을 전후로 경향성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Sen's slope를 계산한 결과, 변동점 이후의 최근 자료에서 기온의 상승 경향성이 더욱 큰 것을 확인하였다.

Meteorological Factors Affecting Winter Particulate Air Pollution in Ulaanbaatar from 2008 to 2016

  • Wang, Minrui;Kai, Kenji;Sugimoto, Nobuo;Enkhmaa, Sarangerel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2권3호
    • /
    • pp.244-254
    • /
    • 2018
  • Ulaanbaatar, the capital of Mongolia, is subject to high levels of atmospheric pollution during winter, which severely threatens the health of the population. By analyzing surface meteorological data, ground-based LIDAR data, and radiosonde data collected from 2008 to 2016, we studied seasonal variations in particulate matter (PM) concentration, visibility, relative humidity, temperature inversion layer thickness, and temperature inversion intensity. PM concentrations started to exceed the 24-h average standard ($50{\mu}g/m^3$) in mid-October and peaked from December to January. Visibilit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M concentration. Relative humidity was within the range of 60-80% when there were high PM concentrations. Both temperature inversion layer thickness and intensity reached maxima in January and showed similar seasonal variations with respect to PM concentration. The monthly average temperature inversion intensity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onthly average $PM_{2.5}$ concentration. Furthermore, the temperature inversion layer thickness exceeded 500 m in midwinter and overlaid the weak mixed layer during daytime. Radiative cooling enhanced by the basin-like terrain led to a stable urban atmosphere, which strengthened particulate air pollution.

우리나라 사계절 극한기온현상의 시.공간적 변화 (Spatio-Temporal Changes in Seasonal Extreme Temperature Ev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 최광용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89-5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최근 40년 동안(1973~2012) 우리나라 기상청 61개 기상관측소에서 관측한 일최고기온 및 일최저기온 자료를 분석하여 계절별 극한기온현상 변화의 시 공간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평균적으로 봄철에는 온난일의 증가, 여름철에는 한랭야의 감소와 온난야의 증가 현상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가을철에는 여름철과 유사하게 한랭야의 감소와 온난야의 증가, 겨울철에는 한랭야의 감소와 한랭일의 감소 경향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도시화 정도에 상관없이 온난야와 같은 야간 극한기온 현상의 변화는 대부분의 계절 전이 기간에 뚜렷하게 나타나지만, 주간 극한기온현상의 변화는 특정 월에만 나타난다. 대조적으로, 한랭일은 봄철과 여름철에, 온난일은 여름철에, 온난야는 겨울철에 대부분의 관측지점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지닌 변화를 살펴볼 수 없다. 온난화에 대한 극한기온현상 변화 민감도는 봄철에 온난일(+6.3일/$^{\circ}C$)과 한랭야(-6.2일/$^{\circ}C$), 여름철에 온난야(+10.4일/$^{\circ}C$)와 온난일(+9.5일/$^{\circ}C$), 가을철에 온난일(+7.7일/$^{\circ}C$), 겨울철에 한랭야(-4.7일/$^{\circ}C$)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온난화 과정에서 복잡한 기후변화 피드백에 의해 우리나라의 극한기온현상들이 계절마다 주 야간별로 비대칭적인 변화 추세와 민감도를 보이면서 변화하고 있음을 가리킨다.

  • PDF

한국인 기초 신진대사량의 계절에 따른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the Basal Metabolic Rate of Korean Airmen Volunteers)

  • 이계열;지선호;홍승길;성양호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6권2호
    • /
    • pp.23-30
    • /
    • 1972
  • Contrary to most of European and American investigators failed to find out the seasonal variations of basal metabolic rate in man, Japanese and Korean investigators reported the increase in winter, decrease in summer season. But the causes of variation were not found clearly. To find out whether metabolic acclimatization to climate could be arise or not in human being, the basal metabolic rate was determined monthly for a period of one year in Airmen volunteers who live in Seoul, with 9 l Collins spiromete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mbient temperature was lowest in February $(-5.88^{\circ}C)$ and highest in July $(27.34^{\circ}C)$. 2. Basal metabolic rate was lowest in June and highest in December showing seasonal variations. Interestingly, the increase of basal metabolic rate followed after the drop of ambient temperature below $0^{\circ}C$ (December) and the decrease followed after the elevation of ambient temperature from optimum to hot (June) or cold to warm (March). 3, Mean skinfold thickness increased in spring, decreased in winter. 4.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basal metabolic rate of Korean reveals the seasonal variation affected by ambient temperature highly.

  • PDF

부산광역시에서의 $NO_2$농도 특성 및 기상 영향인자 분석 (The Effect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Variation and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NO_2$ Concentration in Pusan Area)

  • 이화운;김유근;장난심;이용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65-471
    • /
    • 1999
  •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ion in a large city such as Pusan has been increased every years due to the increase on fuel consumption at factories and by vehicles as well as the gravitation of the population.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NO_2$ concentration data and various data of meteorological factors during 1994-1997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NO_2$ concentration and how the high $NO_2$ concentration is generated under the meterological condition. According to the study, $NO_2$ peak concentration at most sites occured about 1h later after the rush hour. In the characteristics of emissions in sites, sinpyeong-dong was highly contributed to point source while the other sites were highly contributed to line source. The high $NO_2$ concentration had high generation probability when temperature contained typical seasonal characteristics and wind speed was low.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the daily average $NO_2$ concentra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practice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daily average $NO_2$ concentration was correlated with air temperature, solar radiation and wind speed, bu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the daily average $NO_2$ concentration was not so much high. Thus we have known that the daily average $NO_2$ concentration is partially explained by meteorological factors.

  • PDF

재배시기 이동에 의한 수도의 생태변이에 관한 연구 -II. 재배시기 이동에 의한 수도출수기의 년차간변이와 그 조기예측- (Studies on the ecological variations of rice plant under the different seasonal cultures -II. A study on the year variations and prediction of heading dates of paddy rice under the different seasonal cultures-)

  • 최현옥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권
    • /
    • pp.41-48
    • /
    • 1965
  • 수도출수기의 년차간변이정도를 알고 아울러 출수기의 조기예측방법을 연구검토코자 1959년부터 1964년까지 6개년간에 걸쳐 관산외 5개품종을 공시하여 작물시험장 답작과(수원)에서 실시한 조기ㆍ보통기 및 만기 재배시험성적과 1953년부터 1964년까지 12갠년간에 걸쳐 각도에서 실시한 수도풍흉고조시험성적으로부터 품종별로 매년의 출수기를 조사정리하고, 아울러 당해연도 해지방의 기상통계를 조사정리하여 출수기의 변이와 기상요인과의 관계를 연구검토하여 출수기의 조기예측방법을 모색코자 시도한 것으로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도출수기의 년차간변이 : 이것은 조기재배에 있어서는 14∼21일로서 대단히 크며, 보통기재배에서는 7∼14일 정도이고, 만기재배에 있어서는 1∼7일 정도로서 어느 재배시기보다 적으며, 그정도는 품종ㆍ재배시기 및 지역 등에 따라 차이기 있다. 2. 수도출수기의 조기예측 : 조기재배에 있어서는 공시전품종 파종후 31일부터 40일간의 적산온도와 출수일수간에 가장 높은 부의 상관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이 기간의 적산온도 및 회귀 직선식(Y=a+bX)의 산출에 의하여 실용적출수기를 조기에 예측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만생종에 대하여 앞으로 더욱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보통기재배에 있어서는 수원에서의 6개년간 성적에 의하면 적산온도와 출수일수간에 유의적상관을 인정할 수 없었고, 각도에서의 12개년간의 결과에 의하면 파종후 70일간의 적산온도와 출수일수간에 품종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상관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으며, 지역저긴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등은 조파의 경우에 높은 수량을 보이는 품종들이었다. 4. 품종별 수량이 파종기에 따라서 변동하는 경향을 보면 Table 4와 같이 대체로 조생종에 있어서는 파종기 연장에 따라 수량 감소의 정도가 낮고 도리어 조파보다 만파의 경우에 좋은 성적을 나타 내었으나 중생종, 만생종일수록 파종기 연장에 의한 수량 감소의 정도가 높았다. 옥면과 같은 극만생종 품종은 조반의 경우라도 상해 등으로 본실험지의 기후조건 하에서는 경제적 재배가 곤란하다고 믿는다. 따라서 조생종에 있어서는 5월 이후의 만파의 경우에, 중, 만생종에 있어서는 4월보다 도리어 5월 파종의 경우에 좋은 성적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으나 품종별 파종 최적기 등의 결정문제는 앞으로 해결되어야 할 한 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하겠다.의 일수가 길면 신고비가 높았다. 있다. 인텔리전스(intelligence)에 따라 분류했을 경우, 모던, 엘레강스, 클래식, 소피스티케이트 등은 엘리트적 성향으로 캐주얼, 내추럴은 대중적 성향으로 분류된다. cluster에서 구현하였다. 그 결과 특정 노드의 성능이 다른 것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질 때 전체적인 알고리즘의 수렴 속도가 떨어지는 것을 상당히 완화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2001).의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대한 자부심과 국제 사회에서 차별화 할 수 있는 한국 복식 디자인에 독창성과 창조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영역임을 인식할 수 있었다.와 보호인자를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보며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민의 대장직장암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관여도에 영향을

  • PDF

Climate Change Assessment on Air Temperature over Han River and Imjin River Watersheds in Korea

  • Jang, S.;Hwang, 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740-741
    • /
    • 2015
  • the downscaled air temperature data over study region for the projected 2001 - 2099 period were then ensemble averaged, and the ensemble averages of 6 realizations were compared against the corresponding historical downscaled data for the 1961 - 2000 period in order to asses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ir temperature over study region by graphical, spatial and statistical methods. In order to evaluate the seasonal trends under future climate change conditions, the simulated annual, annual DJF (December-January-February), and annual JJA (June-July-August) mean air temperature for 5 watersheds during historical and future periods were evaluated. From the results, it is clear that there is a rising trend in the projected air temperature and future air temperature would be warmer by about 3 degrees Celsius toward the end of 21st century if the ensemble projections of air temperature become true. Spatial comparison of 30-year average annual mean air temperature between historical period (1970 - 1999) and ensemble average of 6-realization shows that air temperature is warmer toward end of 21st century compared to historical period.

  • PDF

온실의 기간난방부하 산정을 위한 난방적산온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ccumulated Temperature for Seasonal Heating Load Calculation in Greenhouses)

  • 남상운;신현호;서동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2-198
    • /
    • 2014
  • To establish the design criteria for seasonal heating load calculation in greenhouses, standard weather data are required. However, they are being provided only at seven regions in Korea. So, instead of using standard weather data, in order to find the method to build design weather data for seasonal heating load calculation, heating degree-hour and heating degree-day were analyzed and compared by methods of fundamental equation, Mihara's equation and modified Mihara's equation using normal and thirty years from 1981 to 2010 hourly weather data provided by KMA and standard weather data provided by KSES. Average heating degree-hours calculated by fundamental equation using thirty years hourly weather data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m using standard weather data. The 24 times of heating degree-day showed relatively big differences with heating degree-hour at the low setting temperature. Therefore, the heating degree-hour was considered more appropriate method to estimate the seasonal heating load. And to conclude, in regions which are not available standard weather data, we suggest that design weather data should be analyzed using thirty years hourly weather data. Average of heating degree-hours derived from every year hourly weather data during the whole period can be established as environmental design standards, and also minimum and maximum of them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energy esti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