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bream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5초

횟집 수조 보관 중에 자연산, 양식산 참돔 및 숭어의 물리·화학적 성분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During Storage at an Aquarium Tank of Wild and Cultured Gray mullet (Mugil cephalus) and Red seabream (Pagrus major))

  • 조영제;박현규;김승미;심길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451-45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utrition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changes, and to evaluate the food quality of live fish in cultured and wild fishes which have been kept in an aquarium tank. The moisture and lipid content of wild and cultured fishes when kept in an aquarium tank for seven-days storage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ose of the initial stage storage(zero day). The breaking strength was also rapidly decreased in all of live fishes tested in this study as the periods of storage extended. The protein conten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However, the content of cortisol, which is a indicator indicating a stress reaction in tissues, was apt to increasing as the periods of storage extended. The cortisol content of wild fishes were higher than those of cultured fishes. On the other hand, the activity of activities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which is also a indicator indicating a stress reaction, were not changed in the serum of wild and cultured fish, suggesting the ALT and AST activity dose not directly related with a healthy loss originated from stress. The death ratio of wild fishes were higher than cultured ones due to limited activity and stress during the storage in a aquarium tank.

오존처리법에 의한 양어용수 살균에 대하여 I. 해산어류 병원세균의 오존 감수성 (Disinfection of Culture Water Supply by Ozonization I. Susceptibility of Some Fish-Pathogenic Bacteria Isolated From Cultured Marine Fish)

  • 오명주;김흥윤;조현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2-48
    • /
    • 1999
  • 해수중 잔류옥시던트(TRO) 농도를 0.1, 0.3 및 0.5 mg/liter로 조정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농도의 안정성을 관찰한 결과 0.1 mg/liter의 경우 측정 20분까지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0.3 및 0.5 mg/liter 에서는 1시간 경과시까지 안정하였다. 해수를 오존처리하여 해수중에 생성되는 TRO를 이용하여 해산어류 병원세균인 Edwardsiella tarda, Vibrio sp., Streptococcus sp., Staphylococcus sp.에 대한 살균효과를 실험한 결과 0.1 mg/liter에서 3분간의 처리로 99.9% 이상, 0.3~0.5 mg/liter에서는 30초에서 1분간의 반응시간으로 99.99% 이상이 살균되어졌다.

  • PDF

국내 수산용 백신 개발 현황 및 발전 방향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Fish Vaccines in Korea)

  • 한현자;김수진;김태호;김명석;조미영;최혜승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69-376
    • /
    • 2021
  • In Korea, fish is a major food source, and sustainable production of fish is critical for the aquaculture industry. Recently, infectious diseases have become an unavoidable problem in aquaculture and have caused serious economic losse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overcome this challenge to increase productivity in aquaculture. Vaccination is the most effective and long-term measure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a fish farm. Sales of fish vaccines in Korea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with a confirmed increase from 600 million won in 2007 to 3.4 billion won in 2018. As of 2021, 30 licensed fish vaccines, including both single and combination vaccines containing more than two inactivated pathogens, have been approved in Korea for 10 fish pathogens. Twenty-eight of these are used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however, only two vaccines are used in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red seabream Ragrus major and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Therefore, vaccine development is required not only for the olive flounder but also for other cultured fish species.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vaccines and vaccination programs for fish is a continuous requirement for a sustainable aquaculture industry.

참돔과 홍민어 판별을 위한 Multiplex PCR 검사법의 개발과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ultiplex PCR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Pagrus major and Sciaenops ocellatus)

  • 최이슬;신지영;양지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61-566
    • /
    • 2020
  • 참돔은 등쪽에 푸른 반점이 흩어져 있고, 홍민어는 꼬리 쪽에 검은 점이 있어 원물 형태는 쉽게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횟감이나 필렛으로 이용 시 참돔과 홍민어를 구분하기 어려워, 참돔의 종 특이 primer를 개발 및 검증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참돔의 위변조 사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시료에서 gDNA를 추출하여 PCR을 진행하였으며 참돔 primer의 product size는 468 bp, 홍민어 primer의 product size는 181 bp으로 설계하였다. Multiplex PCR 결과 참돔과 홍민어에 대한 종 특이적 증폭이 확인되었다. 또한, 참돔과 홍민어 PCR 민감도 실험 결과 참돔 primer는 1 ng, 홍민어 primer는 0.1 ng 까지 밴드가 확인되었다. 모니터링 결과 참돔으로 구매한 시료 19건 모두 참돔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된 참돔과 홍민어 종에 대한 종 특이적 primer는 횟감 등 수산물에도 적용할 수 있어 현재 유통 및 판매되고 있는 참돔 및 홍민어 판별에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국내 다소비 횟감의 콜라겐과 조직감 특성 (Collagen and Texture Properties of Commonly Consumed Fish Species in Korea as Sliced Raw Fishes)

  • 박지훈;이창영;최유리;이정석;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97-407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llagen and texture properties of commonly consumed sliced raw fish species (CC-SRF) [olive flounder (OF), red seabream (RS), Atlantic salmon (AS), coho salmon (CoS) and sockeye salmon (SS)] distributed in Korea as sliced raw fishes. The crude lipid contents of CC-SRF were 5.5% for OF, 6.8% for RS, 18.5% for AS, 16.1% for CoS, and 5.7% for SS. The collagen content and solubility from CC-SRF were 622 mg/100 g and 78.0%, respectively, in OF, 270 mg/100 g and 75.6%, respectively, in RS, 237 mg/100 g and 24.1%, respectively, in AS, 341 mg/100 g and 65.7%, respectively, in CoS, and 246 mg/100 g and 17.9%, respectively, in SS. The texture of CC-SRF was affected by the lipid content, collagen content, acid solubility, hydroxylation, and cross linkage degree. The highest hardness of CC-SRF was obtained from OF, followed by RS, SS, AS and CoS. There was, however, no difference (P>0.05) in hardness between OF and RS and between AS and CoS.

울릉도 해역의 정치성 구획어업 도입을 위한 시험 연구 (Pilot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tationary Fishery in Coastal Waters of Ulleungdo Island, thd East Sea of Korea)

  • 윤성진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2-30
    • /
    • 2018
  • 본 연구는 울릉도 수산자원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서 정치성 구획어업의 도입을 위한 시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용 어구인 삼각망은 울릉도 해역의 환경, 운영 및 관리 비용, 소형 어선 및 인력이 운영할 수 있는 조건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삼각망을 이용하여 11회 어획 조사한 결과, 총 개체수는 2,735개체, 중량은 983.4 kg으로 계측되었으며, 우점종은 참돔, 방어, 넙치, 한치, 전갱이, 쥐치류 등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기간 중 유용 수산자원은 어류의 경우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 볼락(S. inermis), 개볼락(S. pachycephalus), 쑤기미(Inimicus japonicus), 노래미(Hexagrammos agrammus), 농어목 어류 붉바리(Epinephelus akaara), 참돔(Pagrus major) 그리고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로 분류되었으며, 두족류인 한치(Uroteuthis chinensis)의 어획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울릉도의 주요 수산자원 중 하나인 살오징어의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할 경우, 삼각망과 같은 소형 정치성 구획어업의 도입은 어민 수입 창출의 대체 수단으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정액의 특성과 정자의 운동성 (Properties of Semen and Sperm Motility in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장영진;임한규;고강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9-157
    • /
    • 1995
  • 양식어류의 정자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순환여과 사육시스템에서 사육한 전장 $21.8\pm2.8cm$, 체중 $173.8\pm67.5g$의 감성돔, Acanthopagus schlegeli을 재료로 하여, 정액의 물리$\cdot$화학적 특성과 $Na^+,\;K^+,\;Mg^{++},\;Ca^{++}$ 농도별 삼투압에 따른 정자의 운동성을 평가하였다. 개체당 1회 착출시 정액량은 평균 1.97ml였으며, 정자의 농도는 $2.33\pm1.30\times10^{10}$ sperm/ml, spermatocrit는 $90.6\pm5.0$이었다. 정액의 pH는 $8.3\pm0.1$이었으며, 사육해수와 정장 및 혈장의 삼투압은 각각 $939\times24,\;382\pm70,\;342\pm77$ mOsm/l, 정장의 $Na^+,\;K^+,\;Cl^-$ 농도는 각각 $169.5\pm4.5,\;4.9\pm2.2,\;156\pm2.0$ mM/l였다. $Na^+,\;K^+,\; Mg^{++}$$Ca^{++}$결여 인공해수에 정액을 희석시켰을 경우, $Na^+$ 결여 인공해수에서만 정자의 운동이 개시되지 않았다. $Na^+$결여 인공해수에 1M NaCl을 서서히 첨가하여 삼투압을 상승시켰을 때, 삼투압 $1398\~1736$mOsm/l에서는 정자의 운동성이 낮았으나, $457\~l128$ mOsm/l에서는 높은 운동성을 보였다. NaCl 첨가시와 같은 방법으로 $K^+,\;Mg^{++}$$Ca^{++}$ 결여 인공해수에 1M의 KCl, $MgCl_2$$CaCl_2$ 처리를 한 경우, 각각의 삼투압 범위 $904\~1434,\;818\~l175$$956\~1343$ mOsm/l에서 정자의 운동성이 높았다.

  • PDF

측편형어류에 대한 트롤 끝자루의 망목선택성 (The Mesh Selectivity of Trawl Cod-end for the Compressed From Fishes)

  • 정순범;이주희;김삼곤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9권4호
    • /
    • pp.247-259
    • /
    • 1993
  • The fish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Saebada in order to analyse the mesh selectivity for trawl cod-end, in the Southern Korea Sea and the East China Sea from June. 1991 through August, 1992. The trawl cod-end used in this experiment has the trouser type of cod-end with cover net. and the mesh selectivity was examined for the five kinds of the opening of mesh in its cod-end part. A total of 163 hauls, of which having mesh size 51.2mm ; A 89, 70.2mm ; B 54, 77.6mm ; C 55, 88.0mm ; D 52 and 111.3mm ; E 20 were used respectively. Selection curves and selection parameters were calculated by using a logistic function, S=1/(1+exp super(-(aL+b)) ). The mesh election master curves were estimated by S=1/(1+exp super(-[a(L/M)+$\beta$]) ). and the optimum mesh size were calculated with (L/M) sub(50) of master curve. In these cases 'a' and '$\alpha$' are slope, 'b' and '$\beta$' are intercept. 'L' is body length of the target species of fishes, 'M' is the mesh size, and 'S' denotes mesh selectivity. In this report, the four species of compressed form fishes were taken analized according to fish shape, and 'S' denotes mesh selectivity. In this report, the four species of compressed form fishes were taken analized according to fish shape,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Red seabream Pagrus major(Temminct et Schlegel) and yellow porgy Dentex tumifrons(Temminct et Schlegel) ; Selection rate in each mesh size of A, B, C, D and E were 99.7%, 97.5%, 91.4%, 76.7% and 57.8%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of mesh sizes C, D and E were 2.65 and -28.62, 4.40 and -77.73, 2.31 and -46.99, and their selection factors were 1.39, 2.10, 1.83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alpha$' and '$\beta$' were 3.05 and -5.65 respectively, and (L/M) sub(50) was 1.85. The optimum mesh size of Red seabream was 141mm. 2.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Gunther) ; Selection rate in each mesh size of A, B, C, D and E were 99.6%, 98.3%, 91.2%, 80.0% and 48.6%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of mesh sizes C, D and E were 5.82 and -55.10, 2.92 and -36.90, 3.91 and -63.09, and their selection factors were 1.35, 1.44, 1.45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alpha$' and '$\beta$' were 3.02 and -4.32 respectively, and (L/M) sub(50) was 1.43. The optimum mesh size was 129mm. 3. Target dory Zeus faber Valenciennes ; Selection rate in each mesh size of A, B, C, D and E were 99.7%, 100%, 83.2%, 91.6% and 65.0%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of mesh sizes C, D and E were 3.85 and -32.46, 4.19 and -57.38, 2.45 and -40.03, and their selection factors were 1.09, 1.56, 1.47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alpha$' and '$\beta$' were 2.64 and -3.53 respectively, and (L/M) sub(50) was 1.34. The optimum mesh size was 127mm. 4. Butterfish Psenopsis anomala (Temminct et Schlegel) ; Selection rate in each mesh size of A, B, C, D and E were 99.2%, 34.1%, 46.5%, 14.3% and 2.4%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of mesh sizes B, C and D were 5.35 and -71.70, 5.07 and -69.25, 3.31 and -62.06 and their selection factors were 1.91, 1.75, 2.13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alpha$' and '$\beta$' were 3.16 and -6.24 respectively, and (L/M) sub(50) was 1.98. The optimum mesh size was 71mm.

  • PDF

아프리카 사하라 연안 트로올 어장의 어획량분포에 관하여 (Distribution of the Trawl Catch off the Shara Coast of Africa)

  • 김진건;손태준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9권1호
    • /
    • pp.1-11
    • /
    • 1983
  • 한국 토로올어선들이 아프리카 사하라 연안어장에 출어하여, 1975년 5월부터 1976년 4월까지, 이 해역의 중심어장으로 알려진 22$^{\circ}$00'~25$^{\circ}$30'N의 연안에서, 연 16,725척이 252,609회 예망하여, 살오징어 3,754,786kg, 대형갑오징어(체중 300g 이상) 7,540,532kg 소형갑오징어(체중 300g 미만) 9,539,570kg, 문어 11,130,462kg, 서대 2,010,540kg, 돔류 2,360,970kg, 기타 어종 15,951,250kg을 어획하였다. 이들이 어획된 해역을 경위도 30분간의 소해구로 분할하고, 이 소해구별 월평균 예망당 어획량을 구하고 그로부터 어종별 어획량 분포를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종별 예망당 어획량을 비교하면, 살오징어 14.9kg,, 소형갑오징어 대형갑오징어 37.8kg, 문어 44.1kg, 서대 8kg, 돔류 9.3kg 기타어종 63.1kg의 비율로 혼획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 살오징어는 23$^{\circ}$00'N 이남과 24$^{\circ}$3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8~11월이었다. 3) 갑오징어는 대형은 23$^{\circ}$00'~25$^{\circ}$00'N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12~5월이었으며, 소형은 23$^{\circ}$30'~25$^{\circ}$00'N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4~6월과 11~1월이었다. 4) 문어는 23$^{\circ}$00~25$^{\circ}$00'N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3~4월과 9~1월이었다. 5) 서대는 23$^{\circ}$00'N 이남과 25$^{\circ}$0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6~11월이었다. 6) 돔류는 23$^{\circ}$30'N 이남과 25$^{\circ}$0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5~11월이었다. 7) 기타어종은 23$^{\circ}$30'N 이남과 25$^{\circ}$0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5~10월이었다

  • PDF

수치모델을 이용한 해상어류가두리양식장의 환경관리 방안 (Environmental Management of Marine Cage Fish Farms using Numerical Modelling)

  • 권정노;정래홍;강양순;안경호;이원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0권4호
    • /
    • pp.181-195
    • /
    • 2005
  • 해상어류가두리양식장의 양식 활동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통영주변의 해상어류가두리양식장(Site A)에서 해수유동, 퇴적물, 저서동물 및 트랩 등의 현장조사와 수치모델-DEPOMOD를 이용하여 가두리양식장의 고형물 침강량 예측과 적정 고형물 침강량 산정으로 해상가두리양식장의 환경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대상인 Site A 해상어류가두리양식장의 입식 어종은 common sea bass(Lafeolabrax japonicus), red seabream(Pagrus major), striped breakperch(Oplegnathus fasciatus) 등 4종이고, 입식량은 227,800미 (23.1MT) 였다. 가두리양식장의 입식밀도는 $43.0kg\;m^{-2}(6.1kg\;m^{-3})$ 이고, 사료투여 량은 $30.8g\;kg^{-1}day^{-1}(1.32kg\;m^{-2}day^{-1})$ 이였다. Site A 가두리양식장 중심의 저층 퇴적물의 ORP, AVS, COD, 탄소 및 질소 농도는 각각 -334.6mV, $0.43mg\;g^{-1}dry,\;17.75mg\;g^{-l}dry,\;10.19mg\;g^{-1}dry$$3.49mg\;g^{-1}dry$ 였다. 저서동물은 Capitella capitata가 $57.8\%$로 우점하였고, Infaunal Trophical Index(ITI)는 가두리 가장자리에서 20m 거리 내까지 20 이하로 나타났다. 트랩조사 결과 Site A의 고형물 침강량은 0m에서 $34,485g\;m^{-2}yr^{-1}$, 42m지점에서 $18,915g\;m^{-2}yr^{-1}$침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예측 결과 Site A의 사료 미섭이율은 $40\%$, 연간 고형물 침강량은 63,401 kg으로 연간 사료 급이량의 $24.4\%$이고, 고형물 침강 면적은 $8,450m^2$으로 가두리 시설 면적의 16배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ITI와 저서동물의 풍도를 통한 Site A의 지속 가능한 고형물 침강량은 $10,000g\;m^{-2}yr^{-1}$ 이하 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가두리양식장에서 고형물 침강량의 주 요인은 높은 미섭이율이고, 고형물 침강량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사료 섭이효율을 높여주어야 한다. 모델에 따르면 미섭이율을 $40\%$에서 $10\%$로 줄이면 고형물 침강량이 1/2 수준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습사료, 생사료의 사용 대신에 배합사료(EP)를 사용할 경우 $57\%$정도 침강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두리양식장의 허가면적에 대한 시설 면적비는 $5\%$미만이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