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 water flow

검색결과 534건 처리시간 0.023초

Modern Dinoflagellate Cysts Distribution off the Eastern Part of Geoje Island, Korea

  • Shin, Hyeon-Ho;Yoon, Yang-Ho;Matsuoka, Kazumi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1호
    • /
    • pp.31-39
    • /
    • 2007
  •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dinoflagellate cysts in surface sediments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astern part of Geoje Island, Kore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0 stations in February of 2004 and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measured in February, May, September and November of 2004. Total 30 taxa of dinoflagellate cysts were identified representing 19 genera, 28 species and 2 unidentified species. Among these dinoflagellate cysts, Brigantedinium spp. of which relative proportion in th e total dinoflagellate cysts was 23.5%, was the most abundant at all stations except St. 1, and was followed by Spiniferites bulloideus (8.6%), Lingulodinium machaerophorum (8.2%) and Diplopsalis lenticula (6.7%). In addition, ellipsoidal cysts of the genus Alexandrium (Alexandrium catenella - tamarense type) and Gymnodinium catenatum, known to be causative organisms for PSP, occurred with high concentrations. Scrippsiella trochoidea was also found; however, its cyst concentration was low. Generally, species composition in the study area was similar to these reported from Jinhae Bay and Busan Harbor and several dinoflagellate cysts reflected the eutrophic condition. Cyst distribution in th e eastern part of Geoje Island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Tsushima Warm Current flowing from the southwest. The mean water temperature was $12.0^{\circ}C$ in February, $14.7^{\circ}C$ in May, $20.9^{\circ}C$ in September and $17.2^{\circ}C$ in November, which was most favorable for Alexandrium spp. growth. The abundances of dinoflagellate cysts rang e d from 528 to 2,834 cysts/g dry sediment. Higher concentrations were recognized in sediments of west area of the Jisimdo than at other stations. The cyst composition of this area was closely related to these of Jinhae Bay and Busan Harbor from which currents flow into this area. Higher cyst concentration in the west area of Jisimdo might be due to formation of the gyre.

발전소 수중방류구조 내 수평유공판 설치에 따른 거품발생 저감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Efficiency of Reducing Air Bubble Formation by Installing Horizontal Porous Plate in the Submerged Outlet Structure of Power Plant)

  • 오상호;오영민;강금석;김지영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472-481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보령화력발전소 방수로 수중방류구조에 대한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여 수중방류구조 내 흐름 특성을 고찰하고, 수평 유공판 설치에 따른 거품저감 효과를 검토하였다. 수중방류구조 내 단면평균유속은 설계시 거품의 외해 유출 방지를 위해 고려한 목표값 1 m/s 이내에 분포하였다. 또한, 수중방류구조 내 2차 낙하 위치에 수평 유공판을 설치함에 따라 거품의 수중 최대관입깊이가 30~50%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2차 낙하 위치에 구멍의 크기가 20 cm 정도인 사각구멍형 유공판을 설치하고, 중앙부는 무공 구조로 제작하여 낙하 에너지를 소산시키게 될 경우, 가장 효과적으로 수중에 관입되는 거품 발생량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제적인 워터젯 암반절삭을 위한 모래 연마재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sand abrasives for economical rock cutting using waterjet)

  • 오태민;박동엽;공태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763-778
    • /
    • 2019
  • 연마재 워터젯 절삭 기술은 다양한 장점으로 인하여 터널 및 지하공간 암반굴착에 활용되고 있다. 워터젯을 이용하여 암반을 파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연마재 투입이 필수적이다. 기존 석류석(garnet) 연마재는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 측면에서 대체 연마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자연 및 건설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모래를 대체 연마재로 사용 가능한지 규명하고자 한다. 실험 데이터 확보를 위해 준비한 현장 모래 5종을 연마재로 사용하여, 동일한 에너지 조건(수압, 유량)에서 화강암 절삭 실험을 수행하였다. 바다 모래를 연마재로 사용할 경우, 절삭성능은 상용 석류석 대비 60~70%가 확보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현장에서 경제적인 워터젯 굴착을 위해서 현장 모래를 대체 연마재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음파 분무 열분해법에 의해 합성한 실리카 막의 기체 투과 특성 (Gas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Silica Membrane Prepared by Ultrasonic Spray Pyrolysis)

  • 이규호;윤민영;박상진;이동욱;서봉국
    • 멤브레인
    • /
    • 제15권2호
    • /
    • pp.105-113
    • /
    • 2005
  • 표면 개질한 다공성 금속 지지체에 초음파 분무 열분해법을 이용하여 silica막을 합성하고, 고온 기체 선택 투과 분리 특성을 조사하였다.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를 전구체로 하여 지지체 세공을 통한 감압 진공을 하면서 873K에서 표면에 defect 없이 균일한 양질의 silica막이 형성되었다. 투과 온도 523 K에서 silica막의 수th/질소 및 수증기/메탄을 분리 계수가 각각 17 및 16 정도의 우수한 선택 투과 성능을 나타냈다. 다공성 금속 지지체의 불균일한 기공에 silica 분체 및 $\gamma-alumina$층을 중간층으로 도입하고, 그 위에 열분해법에 의한 silica를 합성한 결과, Knudsen 확산에 의한 투과 영역의 세공이 완전히 제거되어 높은 수소 및 수증기 선택성을 가지는 복합 막이 형성되었다.

시화호와 인근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로 본 시화호의 생태적 안정성 (Ecological Stability of the Shihwa Lake Evaluated by Zooplankton Distribution in the Lake Shihwa and Adjacent Coastal Area)

  • 박철;허성회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권2호
    • /
    • pp.87-91
    • /
    • 1997
  • 시화 방조제의 건설로 형성된 시화 인공호수의 생태적 안정성을 동물플랑크톤의 종 조성과 생물량 변동을 통해 파악하였다. 방조제 바깥쪽 해수면의 동물플랑크톤은 인근 아산만의 경우와 매우 유사한 종 조성과 계절간 변동을 보였다. 그러나, 시화호의 동물플랑크톤은 기수종으로 알려진 요각류 Sinocalanus tenellus 단 한종이 차지하는 비율이 절대적으로 높았으며(봄철 약 66%, 겨울철 약 80%, 여름과 가을에는 98% 이상 점유), 종 조성이 매우 단순하였고, 생물량에 있어서도 $10^4$ 단위까지 차이가 나는 매우 격심한 변동을 보였다. 이러한 변동은 인공호수인 시화호가 생태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 있음을 보이는 것이며, 그 원인은 담수 유입시의 오염 부하량의 변화나, 부정기적인 수문의 개폐와 수문 개폐시의 물의 흐름 방향의 가변성 등에 기인된 염분의 불규칙적인 변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해양준설토를 이용한 유동성 뒤채움재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 with Marine Dredged Soil)

  • 김주득;이병식;이관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2호통권25호
    • /
    • pp.35-44
    • /
    • 2007
  • 일반적으로 유동성 뒤채움재는 모래, 플라이애쉬, 물과 소량의 시멘트를 혼합하여 이용한다. 플라이애쉬는 재활용재료로서 최근에 재활용 활용도가 매우 높아, 이를 대체할 대체제로서 해양준설토를 이용하였다. 해양준설토를 이용한 유동성 뒤채움재의 특성을 비교하기 일반바다모래를 이용한 혼합물을 이용하였다. 해양준설토를 이용한 유동성 뒤채움재의 흐름특성, 경화특성 및 일축압축강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유동성 뒤채움재의 초기 공용성평가를 위해 최적의 배합비에서 3일 양생한 시료의 강도 특성을 이용하였다. 시간에 따른 유동성 뒤채움재의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을 평가하였다. 또한 차량하중에 의한 침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크리프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동용 FWD를 이용하여 혼합재료의 탄성계수를 역산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로부터 해양준설토를 이용한 유동성 뒤채움재의 공학적 특성은 도로하부 지하매설물용 뒤채움재로서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오스테나이트계 STS 304강의 해수 내 전기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캐비테이션의 영향 (Effect of cavitation for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in seawater for austenitic 304 stainless steel)

  • 김성종;이승준;정상옥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5호
    • /
    • pp.484-492
    • /
    • 2013
  • 세계 각국은 산업 고도화에 따라 해수환경에 내식성, 내마모성을 갖는 재료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표면이 미려하고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리스강은 선박, 해양 플랜트 및 조류발전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해양환경에서 $Cl^-$ 이온에 의한 부식 손상과 고속회전에 따라 캐비테이션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해수 내 빠른 유속 환경에 사용되는 304 스테인리스강에 대해 캐비테이션 침식-부식실험을 실시하여 외부 조건이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 분석하였다. 캐비테이션이 발생된 조건에서 워터캐비테이션 피닝효과에 의한 시험편 내에 압축잔류응력 형성으로 높은 경도를 나타냈으나,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산화피막 파괴로 동전위 분극 실험에서는 높은 전류밀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해수 내 캐비테이션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기화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기계적 특성도 복합적으로 고려한 재료의 선택이 필요하다.

LNG선박 열교환기 세관의 SCC에 미치는 용액의 온도의 영향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SCC of Heat Exchanger Tube for LNG Vessel)

  • 정해규;임우조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6
    • /
    • 2004
  • 선박용 열교환기의 냉각수로 사용되고 있는 해수의 입구온도는 스팀터빈콘덴서의 경우 약 $25^{\circ}C$이고 출구온도는 약 $60^{\circ}C$이며, 오일쿨러의 경우 출구온도는 약 $40^{\circ}C$이다. 이러한 해수의 온도 변화는 열교환기 세관재의 부식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부식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열교환 효율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는 냉각용액의 온도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5\%$ NaCl + $0.1\%\;NH_4OH$ 수용액의 유동하에서 선박용 열교환기 세관재로 사용되고 있는 Al-황동의 분극 및 응력부식균열 실험을 실시하여 분극특성, 응력부식균열거동 및 탈아연특성에 미치는 용액의 온도의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반폐쇄된 무안만에서 부유물질의 계절적 변동 및 운반양상 (Seasonal Variation and Transport Pattern of Suspended Matters in semiclosed Muan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류상옥;김주용;유환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8-136
    • /
    • 2000
  • 반폐쇄된 무안만에서 동계와 하계 동안 부유물질의 변동 및 이동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염분과 조류, 부유물질의 특성이 조사되었다. 무안만에서 부유물질 함량은 계절적으로 크게 변하여 동계에 낮고 수직적으로 균질한 반면, 하계에 높고 수직적으로 성층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하계에는 영산강하구언의 갑문조작에 따라 유입되는 담수와 부유물질이 남쪽을 따라 흐르던 연안류가 약화되면서 북측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부유물질의 잔여이동은 서측 만입구에서는 하구언과 방조제 건설에 따라 창조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면서 계절에 무관하게 만 내로 유입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남측 만입구에서는 낙조우세와 서측 만입구에서 조석의 비대칭 현상에 의해 만 외부로 유출되는 경향을 보인다. 부유물질의 잔여이동량은 서측 만입구에서 0.0078kg/m ${\cdot}$ sec, 남측 만입구에서 -0.0955kg/m ${\cdot}$ sec로 무안만이 전반적으로 침식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와 같은 침식현상은 만 내의 조간대를 중심으로 진행된 것으로 여겨진다.

  • PDF

한국고유종 북방종개(어류강, 미꾸리과)의 집단유전학적 구조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Iksookimia pacifica (Pisces: Cobitidae) Distributed in Northeast Korea)

  • 장숙진;고명훈;권예슬;원용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61-471
    • /
    • 2017
  • 북방종개(Iksookimia pacifica)의 유전적 다양성과 구조적 특징을 밝히기 위해 동해 독립하천들에 서식하는 10개의 집단들을 대상으로 핵유전자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에 기반한 집단유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미토콘드리아와 핵유전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유전적 분화가 관찰되었다. 핵유전자들의 DNA 서열자료에서 추출한 유전자형 자료를 Bayesian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북방종개는 천진천과 양양남대천을 기준으로 북쪽과 남쪽의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구조를 보였다. 현재 동해 하천들이 지리적으로 단절되어 온 독립 수계라는 것을 감안했을 때, 남북으로 구별되는 집단유전적 구조는 북방종개가 한반도에 정착했던 초기 조상 집단이 남북으로 갈라지는 지리적인 분리 사건과 관련되었을 것으로 해석되며, 이러한 초기 조상집단의 지리적 분리 이후, 두 조상그룹들은 남북의 지리적인 범위 내에서 하천 별 고립에 따른 추가적인 분화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목할 점으론, 자산천 집단의 많은 개체들이 지리적 거리가 먼 양양남대천 및 강릉남대천 집단과 하나의 유전적 cluster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경우 몇몇 이웃하는 집단들 사이에 현저히 낮은 유전적 분화도 그리고 일부 집단들에서 매우 낮은 유전적 다양성이 관찰되었다. 본 집단유전학적 결과는 향후 북방종개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