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 oil spill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8초

Hebei Spirit호 유류유출 사고 이후 태안 양식어장에서 잔존유류의 농도 변화 (Variation in the Residual Oils in the Culture Grounds on the Taean Coast, Korea after the Hebei Spirit Oil Spill)

  • 김형철;이완석;황운기;최용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05-714
    • /
    • 2010
  • The residual oil concentrations in seawater and sediments were investigated along the Taean coast of Korea, following the Hebei Spirit oil spill, which occurred on 7 December 2007. The oil concentration in seawater ranged from 0.059 to $0.866\;{\mu}g/L$ for the tidal flat culture grounds and from 0.016 to $0.943\;{\mu}g/L$ in the fish cage areas in 2008. These were dominated by the seawater temperature relationship.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sediments were also analyzed and the concentrations ranged from 3.4 to 509.7 ng/g dry weight. The average PAH level was higher in seawater from the Sinduri area than the Padori area, while the average PAH level in sediments was higher in Padori. The diagnostic ratio of PAHs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origins of the PAHs. The PAHs in the Seongam area, which was not affected by the oil spill, are of pyrolytic origin, while the PAHs in Padori and Sinduri were of petrogenic origin. The residual oils in the areas affected by the oil spill tended to decrease over time, except in summer. The oils in pore water remained 6- to 16-fold higher, as compared to the seawater overlying the tidal flat, implying that residual oils will continue to influence the affected region for the foreseeable future.

3차원 동수역학모형-유류확산모형 연계를 통한 유출유 거동 모의 (Oil Spill Simulation by Coupling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and Oil Spill Model)

  • 정태화;손상영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74-484
    • /
    • 2018
  • In this study, a new numerical modeling system was proposed to predict oil spills, which increasingly occur at sea as a result of abnormal weather conditions such as global warming. The hydrodynamic conditions such as the flow velocity needed to calculate oil dispersion were estimated using a three 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based on the Navier-Stokes equation, which considered all of the physical varia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improved the accuracy compared to those estimated by the conventional shallow water equation. The advection-diffusion model for the spilled oil was combined with the hydrodynamic model to predict the movement and fate of the oil. The effects of absorption, weathering, and wind were also considered in the calculation process. The combined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then applied to various test case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il dispersion over time.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model will help to establish initial response and disaster prevention plans in the event of a nearshore oil spill.

복합 위성을 이용한 허베이스피리트 유류오염해역 모니터링 (M/T Herbei Sprit Oil Spill Area Monitoring Using Multiple Satellite Data)

  • 김상우;정희동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83-28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인 아리랑 2호(KOMPSAT-2)와 ENVISAT ASAR(Synthetic Aperture Radar) 마이크로웨이브 위성 영상을 이용한 유류 분포 면적 추정과 저해상도인 해색위성 자료를 이용하여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오염 사고 발생 전후의 클로로필 a 농도를 분석하였다. KOMPSAT-2와 ASAR 위성에서 추정된 유출유 확산 분포 면적은 각각 59,456 $m^2$ 과 1,168 $km^2$로 추정되었다. QuickScat 위성관측 바람은 유류오염 사고 전후에 북풍과 북서풍이 우세하였고, 유류오염 사고 당시 바람은 10m/s 이상의 강한 북서풍이 탁월하였다. 태안과 안면도 연안해역의 클로로필 a의 월별 농도는 유류사고 당시인 2007년 12월에 각각 2.9 mg/$m^3$과 2.5 /$m^3$ 이었으나, 그 한 달 후인 2008년 1월에는 각각 6.3 mg/$m^3$과 3.7 mg/$m^3$로 클로로필 a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이들 지역에서 콜로로필 a 농도의 단기변화는 유류오염 사고 발생 1-2 주일 후에 그 농도가 감소한 것을 알았다.

  • PDF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통해 본 재난보도의 문제점 (Problems of Disaster Reporting in Korea - Case of Hebei Spirit Oil Spill in Taean-gun)

  • 박동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41-248
    • /
    • 2009
  • 홍수, 지진, 폭설 등과 같은 자연재해나 대형사고 등에 대한 언론의 보도양태에 대한 분석연구들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많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재난은 거의 매년 끊임없이 발생하고, 이에 대한 보도와 그에 대한 비판이 계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보도방식에 대한 학문적 비판과 대안이 미흡했다는 것은 큰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2007년 12일 충남 태안군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에 대한 대응 및 복구과정에서 한국의 언론보도가 재난관리 과정상 제대로 역할을 수행했는지를 분석해 보고, 아울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통해 본 우리 나라의 재난보도의 문제점을 요약해 보면, 먼저 부정확한 보도가 다수 발생하여 피해자인 태안주민들을 더욱 곤경에 빠뜨리는 오류를 범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사건 초기에 기름유출사고에 대한 잘못된 이름 짓기가 있었고, 재난보도의 근간이 피해자 중심이 아닌 독자 중심의 보도로 일관하였다는 점이다. 끝으로, 자원봉사에 대한 과잉보도로 인해 정작 사건의 본질과 피해당사자의 구호 등은 취재 및 보도에서 밀리는 현상이 초래되었다. 향후 재난보도는 피해자 중심의 보도, 방재 및 문제해결 보도 등의 취재를 지향하고, 아울러 재난전문 기자를 양성해야 한다.

SATELLITE MONITORING OF OIL SPILLS CAUSED BY THE HEBEI SPIRIT ACCIDENT

  • Yang, Chan-Su;Yeom, Gi-Ho;Chang, Ji-Seo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368-368
    • /
    • 2008
  • Oil spills are a principal factor of the ocean pollution. The complicated problems involved in detecting oil spills are usually due to varying wind and sea surface condition such as ocean wave and current. The Hebei Spirit accident was happened in the west sea ($36^{\circ}$41'04" N, $126^{\circ}$03'12" E) near about 8 km distant from Tae-An, Korea on December 7, 2007. The aim of this work is to improve the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define a more accurate training set and identifying the feature of oil spill region. This paper deals with an optimization technique for the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scheme using multi-frequency and multi-polarization SAR and optical image data sets of the oil spilled sea. The used image data are the ENVISAT ASAR WS and Radarsat-1 of C-band and ALOS PALSAR of L-band SAR data and KOMPSAT-2 optical images together with meteorological or oceanographic data. Both the theory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are discussed.

  • PDF

태안 Hebei Spirit 유출 유류 제거작업 후 발생한 호흡부전 1예 (A Case of Respiratory Failure after Clean-up Work of the Hebei Spirit Crude Oil Spill in Taean)

  • 경선영;전수연;김유진;이상표;박정웅;정성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3호
    • /
    • pp.249-253
    • /
    • 2009
  • On 7 December 2007, the Hebei Spirit ran aground near Taean and released approximately 10,900 tons of oil into the sea. Crude oil on the coastal areas and fumes in the air increased the number of health problems among the local population. We report a case of respiratory failure after the oil spill clean-up work. A 66-year-old female was admitted to hospital with cough, sputum, and dyspnea of 1-month duration after the oil spill clean-up. She was diagnosed with community-acquired pneumonia and treated with empirical antibiotics. However, she had progressive respiratory failure without identification of the pathogen. Respiratory failure due to chronic inhalation of hydrocarbons from the crude oil spill clean-up was suspected. After mechanical ventilation care, she recovered from respiratory failure and was discharged. We report a case of severe respiratory toxic effects after an oil spill clean-up. We concluded that long-term hydrocarbon inhalation during the oil spill clean-up may have induced respiratory failure in this case.

유증기 방폭 장치를 적용한 해상 오일 유출 회수장치(Oil skimmer)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Marine oil Skimmer Applying the Vapor Explosion-proof Equipment)

  • 함성훈;정찬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05-109
    • /
    • 2015
  • 본 연구는 해상 유류오염사고가 발생한 경우 효율적인 방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개발된 오일 회수장치로서, 오일 회수장치를 통하여 해상에 유출된 기름을 높은 회수율로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일 회수장치는 기존의 흡착포 및 유류처리제를 이용한 정화 방식에서 발생하는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일 회수율 또한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유증기에 의한 폭발 방지 기구를 채택하여 오일 회수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제거 하였다.

해양사고에 의한 유출유 모니터링 사례 소개와 향후 방향 (Case Study of Oil Spill Monitoring Caused by Maritime Casualties Using Satellite Data in 2014)

  • 양찬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9-80
    • /
    • 2014
  • 우리나라에서 해양오염사고는 일반적으로 선박에 의한 유출유에 기인한다. 2014년 1월 31일 여수에서 그리고 2월 15일 부산에서 해양오염사고가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의 기름 배출 감시 및 유출유 모니터링에는 합성개구레이더가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2013년 발사된 다목적실용위성-5호(KOMPSAT-5)가 정상 운영되는 시점에서는 그 활용성이 기대된다. 지난 오염사고 당시에는 다목적실용위성-3호 등 고해상도 광학위성이 관측되었다. 본 발표에서는 유출유의 광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해석을 수행하고, 유출 해역 산정을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해양오염 감시와 대응을 위한 원격탐사기술의 역할과 방향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 PDF

유조선 선체 파공에 따른 원유 유출 유속의 CFD 연구 (A CFD Study of Oil Spill Velocity from Hole in the Hull of Oil Tanker)

  • 최두영;이정섭;백중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71-71
    • /
    • 2018
  • 해상 교통량 증가에 따라 선박 사고로 인한 대형 해양 오염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유조선 충돌에 따른 선체 파공은 원유의 바다 유출을 야기하여 심각한 해양오염을 유발하므로 이러한 사고에 대해서 신속한 방재 대응력이 요구된다. 작은 파공은 목제 플러그를 인위적으로 삽입하여 봉쇄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대형 파공의 경우 사람이 직접 봉쇄하기에는 어려워 기계적 봉쇄장치 개발이 요구된다. 파공봉쇄 장치 개발을 위해서는 유체의 유출유속을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2007년 태안 기름유출 사고에서 관측된 초기수심 7.5 m, 직경 30 cm의 파공에 대해서 고해상도 CFD 모델링을 수행하여 수심별 기름 유출 유속의 분포를 계산하였다. 비중 0.85이며, 원유의 온도 $20^{\circ}C-100^{\circ}C$ 조건에 따른 점성계수 $4-12cP(mPa{\cdot}s)$ 조건에서 파공을 통한 원유 유출을 고해상도 모델링한다. 모델링 결과를 분석하여 원유유출에 대한 마찰손실계수와 유량계수의 범위를 레이놀즈수의 함수로 제시한다.

  • PDF

MULTISENSOR SATELLITE MONITORING OF OIL POLLUTION IN NORTHEASTERN COASTAL ZONE OF THE BLACK SEA

  • Shcherbak, Svetlana;Lavrova, Olga;Mytyagina, Marina;Bocharova, Tatiana;Krovotyntsev, Vladimir;Ostrovskiy, Alexander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989-992
    • /
    • 2006
  • The new approach to the problem of oil spill detection consisting in combined use of all available quasiconcurrent satellite information (AVHRR NOAA, TOPEX/Poseidon, Jason-1, MODIS Terra/Aqua, QuikSCAT) is suggested. We present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approach to the operational monitoring of seawater condition and pollution in the coastal zone of northeastern Black Sea conducted in 2006. This monitoring is based on daily receiving, processing and analysis of data different in nature (microwave radar images, optical and infrared data), resolution and surface coverage. These data allow us to retrieve information on seawater pollution, sea surface and air-sea boundary layer conditions, seawater temperature and suspended matter distributions, chlorophyll a concentration, mesoscale water dynamics, near-surface wind and surface wave fields. The focus is on coastal seawater circulation mechanisms and their impact on the evolution of pollut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