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rew removal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32초

설측 슬롯을 부여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에서 내면 간격이 유지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nal gap on retentivity in implant fixed prosthesis with lingual slot)

  • 김태균;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06-211
    • /
    • 2018
  • 목적: 최근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제작 시 나사 유지형 보철물의 교합적, 심미적 단점을 해결하고, 시멘트 유지형 보철물에서 착탈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철물 설측에 슬롯을 형성하는 방법이 소개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설측 슬롯을 부여한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 시에 내면 간격이 보철의 제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티타늄 지대주와 상부에 합착할 지르코니아 보철물 내면 간격을 30, 35, $50{\mu}m$의 3종류로 설정하여 종류별로 3개씩 총 15개를 제작하였다. 지르코니아 보철물은 티타늄 지대주의 선반 부위와 만나는 위치에서 1 mm의 공간이 생기도록 하여 탈착을 위한 슬롯(retrievable cement-type slot, RCS)을 형성하였다. 지대주와 지르코니아 보철물의 합착에는 자가 중합 레진 시멘트를 이용하였고, 합착 된 시편을 맞춤 제작된 장비를 이용하여 최대 제거 응력 값을 Ncm단위로 측정하였다. 통계적 분석으로 세 그룹을 비교하기 위해 Kruskal-Wallis 검정을 시행하였고 (${\alpha}=.05$), 사후검정으로 수정된 Mann-Whitney U-test와 Bonferroni correction 방법을 이용하여 차이를 보았다 (${\alpha}=.017$). 결과: 내면 간격이 $30{\mu}m$ 군과 $35{\mu}m$ 군간의 비교에 있어서 제거 응력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P = .032), $30{\mu}m$군과 $50{\mu}m$군, $35{\mu}m$군과 $50{\mu}m$군간을 비교 할 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17). 결론: 그러므로 내면 간격은 지르코니아 보철물과 티타늄 지대주 사이의 유지력에 영향을 미쳤다.

거대 낭종성 골병소 또는 소파 후 잔유 골 결손부에 시행한 내재형 동종 피질 지주골 이식술 (Allogeneic Inlay Cortical Strut Grafts for Large Cysts or Post-curettage Cavitary Bony Defects)

  • 정양국;강용구;김철진;이안희;박정미;박원종;유현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3-78
    • /
    • 2011
  • 목적: 사지 장골의 거대한 골 낭종이나 소파술 후 남은 골 결손부에 시행한 "내재형 피질 지주골 이식술"의 치료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사지 장골의 거대한 골 낭종이나 소파술 후 남은 골 결손부에 대하여 내재형 동종 피질 지주골과 동종 망상골 이식술을 시행한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6예에서는 추가적인 금속판 내고정술이 시행되었다. 원발병소는 단순 골낭종이 3예, 섬유성 이형성증에서 속발된 동맥류성 골낭종이 2예, 이전에 수술한 골시멘트를 제거한 후 남은 골 결손이 1예, 섬유성 이형성증이 1예였다. 3예에서는 최초 내원시 병적 골절이 동반되어 있었다. 골 융합의 진행, 생역학적 지지기능 및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5.4개월이었다. 결과: 전예에서 이식된 동종 피질 지주골은 숙주골과 융합되었으며 6예의 골간단부에서는 평균 4.2개월에, 5예의 골간부에서는 평균 5.8개월에 융합되었다. 부가적인 수술 등의 조치없이 7예 중 6예에서 생역학적 지지가 가능하였으며 동종골 이식과 직접 관련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최종 추시시 기능적 평가상 평균 29.6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거대한 골 낭종이나 소파술 후 남은 골 결손부에 시행한 내재형 피질 지주골 이식술은 추가적인 생역학적 안정성과 나사못 고정의 골지주판을 제공하여 조기거동과 우수한 기능적 결과를 가능하게 하였다.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Locator® 유지장치가 장착된 milled titanium bar를 이용한 가철성 임플란트 피개 국소의치의 보철수복증례 (Removable implant-supported partial denture using milled bar with Locator® attachments in a cleft lip & palate patient: A clinical report)

  • 양상현;김경아;김자영;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07-214
    • /
    • 2015
  • 본 증례는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상순의 반흔, 상악 잔존치조제의 과도한 흡수, 협소한 구개 및 상악골의 열성장을 동반한 3급 악간관계로 인해 통상의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에 한계를 보이기 때문에 상악 무치악 부위에 4개의 임플란트를 식립 후, CAD/CAM 시스템으로 밀링한 titanium bar를 이용한 상악 가철성 임플란트 피개 국소의치를 계획하였다. 통상의 주조방법은 주조 후 수축을 하게 되지만 CAD/CAM 시스템으로 밀링한 titanium bar는 높은 정밀성과 경제성 그리고 가벼운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 milled bar는 아주 균등하고 정확한 마찰결합을 얻기 힘들며 의치의 반복적인 착탈에 의해 마찰 유지력이 감소 할 수 있다. 이에 milled bar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보조 유지장치(e.g. friction pin, $ERA^{(R)}$, $CEKA^{(R)}$, magnetics, $Locator^{(R)}$ 등)를 같이 사용함으로써 부가적인 유지력, 경제성 및 교체의 용이성 등을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증례에서 milled titanium bar의 상부면에 drill and tapping 방법으로 $Locator^{(R)}$ 유지장치를 연결하였다. milled bar에 screw hole을 형성하고 3개의 $Locator^{(R)}$ 유지장치를 20 Ncm으로 체결하여 추가적인 유지력을 확보하였다. 보철수복 후, 환자가 원하는 심미적인 안모, 저작 기능 및 의치 유지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Stability of the prosthetic screws of three types of craniofacial prostheses retention systems

  • Lanata-Flores, Antonio Gabriel;Sigua-Rodriguez, Eder Alberto;Goulart, Douglas Rangel;Bomfim-Azevedo, Veber Luiz;Olate, Sergio;de Albergaria-Barbosa, Jose Ricard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2권6호
    • /
    • pp.352-357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prosthetic screws from three types of craniofacial prostheses retention systems (bar-clip, ball/O-ring, and magnet) when submitted to mechanical cycling.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models of acrylic resin were used with implants placed 20 mm from each other and separated into three groups: (1) bar-clip (Sistema INP, São Paulo, Brazil), (2) ball/O-ring (Sistema INP), and (3) magnet (Metalmag, São Paulo, Brazil), with four samples in each group. Each sample underwent a mechanical cycling removal and insertion test (f=0.5 Hz) to determine the torque and the detorque values of the retention screws. A servo-hydraulic MTS machine (810-Flextest 40; MTS Systems, Eden Prairie, MN, USA) was used to perform the cycling with 2.5 mm and a displacement of 10 mm/s. The screws of the retention systems received an initial torque of 30 Ncm and the torque values required for loosening the screw values were obtained in three cycles (1,080, 2,160, and 3,240). The screws were retorqued to 30 Ncm before each new cycle. Results: The sample was composed of 24 screws grouped as follows: bar-clip (n=8), ball/O-ring (n=8), and magnet (n=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ith greater detorque values observed in the ball/O-ring group when compared to the bar-clip and magnet groups for the first cycle. However, the detorque value was greater in the bar-clip group for the second cycl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ll prosthetic screws will loosen slightly after an initial tightening torque, also the bar-clip retention system demonstrated greater loosening of the screws when compared with ball/O-ring and magnet retention systems.

재발된 법랑아세포종 환자에서 하악골 부분절제술후 금속판과 자가장골을 이용한 즉시재건술에 대한 증례보고 (IMMEDIATE RECONSTRUCTION WITH A.C.P AND ILIAC BONE GRAFT AFTER PARTIAL MANDIBULECTOMY ON RECURRENT AMELOBLASTOMA.)

  • 문행규;여환호;길병동;김운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53-59
    • /
    • 1989
  • 법랑아세포종은 결체조직에 최소의 유도적인 변화를 나타내며 양성이지만 지속성이나 국소적으로 악성양상을 띄는 가장 흔한 형태의 치계 종양이다. 호발연령은 주로 20세부터 50세 사이이며, 임상증상은 환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며 상악보다 하악에 호발하며 완만한 성장 속도를 나타낸다. 법랑아세포종의 방사선학적 특징은 병소의 본질과 국소적인 골반응에 의하며, 재발은 약 33%로 흔하며 이것은 불완전한 병소부의 제거로 인한 것이다. 29세의 여성환자에서 하악 우측 소구치부터 하악지까지 발생한 재발성 법랑아세포종의 외과적 절재후 장골 이식과 금속판을 이용한 즉시 재건술을 시행한바 이러한 재건술을 이용하여 양호한 기능, 단기간의 악간고정 기간, 그리고 다른 재건술 보다 용이하였던 바 이에 지견을 얻어 보고드리는 바입니다.

  • PDF

Steri-Oss 임플랜트의 임상 결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LINICAL RESULTS ON STERI-OSS ENDOSSEOUS IMPLANTS)

  • 민영규;권혁신;정재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58-272
    • /
    • 1998
  • This investigation evaluated patients who received Steri-Oss implants from the Dental Hospital of Chosun University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989 to August 1997. 346 fixtures of 127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The follow-up period was defined as the period between the surgical placement of the implants and the last follow-up examination.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17{\pm}1.21$ years. 2.The period between fixture installation and second surgery was $0.71{\pm}0.44$ years in the maxilla and $0.46{\pm}0.21$ years in the mandible. 3.The number of fixtures which were installed in the upper jaw(112) was less than that in the lower jaw(234) and in the posterior region(260) was more than in the anterior region(86). 4.The length of fixture which was most frequently used was 12 mm and least was 8mm. Screw implants were installed more than cylindrical implants. 3.8mm implant was the most common implans, followed by 4.5mm and 3.25mm. 5.The number of augmentation cases was more than that of non-augmentation cases and the rate of augmentation cases in the maxilla was more than that in the mandible. 6.Implant restorations for partial edentulos patients(94cases) were more than single- tooth implant restorations(33cases) or implant restorations for complete edentulos patients(10cases). 7.Free-standing prostheses f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were more commom than any other type of connection between implants and natural teeth. 8.Plaque Index($0.95{\pm}0.74$) and Gingival Index($0.31{\pm}0.52$) were very similar around the natural teeth and reflected an acceptable level of plaque and gingivitis control. Mean value for keratinized mucosa index($1.93{\pm}1.20$) remained fairly constant around level 2(1-2 mm keratinized epithelium). 9.Pati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implant in terms of comfort, function, speech and esthetics. 10.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survial rate between implants placed in the maxilla (91.5%) and those placed in the mandible (93.8%). Fourteen implants lost before the prosthetic rehabilitation and eleven implants lost following variable periods in function after the prosthetic phase of the treatment. 11.Cause of implant failures was exfoliation or removal of fixture due to non-osseointegration before the prosthetic rehabilitation or due to fracture of fixture, masticatory pain after the prosthetic rehabilitation. 12.The survival rate of Steri-Oss implants using the Kaplan-Meier statistical analysis was 93.8% at 2 year and 86.6% at 5 year, In all cases, implant losses occured predominantly in the healing period. There was a steep decline in the rate of implant loss after the first year. 13.The survival rate of Steri-Oss implants in the anterior region was 94.8% at 2 year and 94.8% at 5 year and that in the posterior region was 92.8% at 2 year and 75.9% at 5 year.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a number of parameters and guidelines for achieving an optimal success rate in osseointegration.

  • PDF

상완골 간부 불유합에 대한 금속판 고정 및 자가골 이식술 (Compression Plate Fixation with Autogenous Bone Graft for Humerus Shaft Nonunion)

  • 조철현;송광순;배기철;김인규;권두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33-37
    • /
    • 2009
  • 목적: 상완골 간부 골절의 불유합에 대해 그 원인을 분석하고, 금속판 고정 및 자가골 이식술을 통한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1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8개월이었다. 불유합에 대해 금속판 고정 및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하였고, 골결손이 심한 경우 골단축술을 병행하였다. 술후 추시 단순 방사선 검사로 골유합을 확인하였고, ASES 점수 평가법을 이용하여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불유합의 원인은 처음 수술시 금속판을 시행한 12예의 경우에서는 불충분한 금속판 길이가 6예, 금속판의 파손 2예, 나사못의 이완이나 파손이 2예, 감염이 1예, 정신과적 문제로 인한 환자의 불응성이 1예였고,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3예에서는 전 예에서 골절 부위의 신연이 원인이었으며, 외고정을 시행한 3예에서는 불충분한 고정이 원인이었다. 전 예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골유합까지의 기간은 평균 24주였다. 임상적 결과는 우수가 11예, 양호가 6예, 보통이 1예였다. 결론: 불유합에 대한 수술 시 불유합 부위에 존재하는 섬유조직이나 괴사된 골조직을 철저하게 제거한 후, 충분한 길이의 금속판 내고정술 및 자가골 이식술을 이용하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Early Outcome and Complication Report

  • Park, Yong-Bok;Jung, Sung-Weon;Ryu, Ho-Young;Hong, Jin-Ho;Chae, Sang-Hoon;Min, Kyoung-Bin;Yoo, Jae-Chul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7권2호
    • /
    • pp.68-76
    • /
    • 2014
  • Background: Recently,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RTSA) has been accepted as a main treatment option in irreparable massive rotator cuff tear with cuff arthropath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arly complication incidence and the preliminary clinical results of RTSAs performed in single institute. Methods: Fifty-seven RTSAs (56 patients) were performed between April 2011 and March 2013. The indications for RTSA were cuff tear arthropathy and irreparable massive rotator cuff tear with or without pseudoparalysis. Exclusion criteria were revision, preoperative infections and fractures. At final follow-up, 45 shoulders were enrolled. Mean follow-up duration was 12.5 months (range, 6-27 months). The mean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73.6 years (range, 58-87 years). All the patients were functionally accessed via Constant scor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pain and functional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s and active range of motion. Complications were documented as major and minor. Major complications include fractures, infections, dislocations, nerve palsies, aseptic loosening of humeral or glenoid components, or glenoid screw problems. Minor complications include radiographic scapular notching, hematomas, heterotopic ossification, algodystrophy, intraoperative dislocations, intraoperative cement extravasation, or radiographic lucent lines of the glenoid. Results: The mean Constant score increased from 31.4 to 53.8 (p < 0.001). The pain and functional VAS scores improved (5.2 to 2.7, p < 0.001, 4.0 to 6.7, p < 0.001) and active forward flexion improved from $96.9^{\circ}$ to $125.6^{\circ}$ (p = 0.011). One or more complications occurred in 16 (35.6%) of 45 shoulders, with one failure (2.2%) resulting in the removal of implants by late infection. The single most common complication was scapular notching (9 [20%]). There were 4 (8.9%) axillary nerve palsies postoperatively (n=3: transient n. palsy, n=1: Symptom existed at 11 months postoperatively but improving). Conclusions: In a sort term follow-up, RTSA provided substantial gain in overall function. Most common early complications were scapular notching and postoperative neuropathy. Although overall early complication rate was as high as reported by several authors, most of the complications can be observable without compromise to patients' clinical outcome. Long term follow-up is required to clarify the clinical result and overall complication rate.

압출성형 무청 분말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 함량 증가 및 이취 감소 (Increase in Anti-Oxidant Components and Reduction of Off-Flavors on Radish Leaf Extracts by Extrusion Process)

  • 성낙윤;박우용;김이은;조은지;송하연;전형광;박재남;김미환;류기형;변의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769-1775
    • /
    • 2016
  • 무청은 무의 지상부 엽채를 말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건조하여 국이나 나물로 조리하여 이용하였고, 영양학적으로 35% 이상의 식이섬유 및 20% 내외의 단백질, 철분 및 칼슘 등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무청의 주요 성분인 글루코시놀레이트는 가공과정 중 발생하는 이취에 주된 원인물질이며, 이러한 이취는 무청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데 제한적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압출성형 조건에 따른 무청 분말의 항산화 활성 및 이취성분 변화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압출성형 독립변수 중 배럴 온도, 스크류 회전속도 및 수분함량을 조절하여 압출성형 무청 추출물의 추출 수율, 총폴리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총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 및 이취 성분을 분석하였다. 추출 수율 및 항산화 활성은 배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압출성형 최적조건인 배럴 온도($130^{\circ}C$), 스크류 회전속도(250 rpm) 및 수분함량(20%)에서 총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은 일반 무청 분말보다 약 1.5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황화합물의 함량 변화에 관한 정확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압출성형공정은 무청의 이취물질(methyl mercaptan, dimethyl sulfide, carbon disulfide, dimethyl disulfide 및 dimethyl trisulfide) 함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무청의 이취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성견에서 교정적 고정원으로서의 티타늄 미니스크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itanium Miniscrew as Orthodontic Anchorage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 dogs)

  • 윤병수;최병호;이원유;김경남;심형보;박진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17-523
    • /
    • 2001
  • 교정치료에서 원하는 치아이동을 위해서는 안정된 고정원이 필요한데 티타늄 미니스크류가 매식과 제거가 쉽고, 구강 내 여러 부위에서 적용이 가능하고,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이나 비용적인 부담이 적고, 제거 후에 치유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어 최근에 교정적 고정원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티타늄 미니스크류를 교정적 고정원으로 사용한 임상 예들이 여러 편 발표되었는데 미니스크류의 이완이 가장 큰 실패의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보고된 논문들에서 교정적 고정원으로 안정성을 줄 수 있는 스크류의 식립 길이에 관한 연구가 없는 상태이다. 교정적 고정원으로 미니스크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식립 부위에 따른 골구조와 골밀도 차이를 고려한 식립 길이에 관한 기준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견의 상악골과 하악골에서 직경 2mm 티타늄 미니스크류를 다양한 길이로 식립하고 교정력을 적용한 후 그 안정성을 평가하여 교정적 고정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미니스크류의 식립 길이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미니스크류가 상악에서는 6mm 이상, 하악에서는 4mm 이상이 골 내에 식립될 때 8주 동안 200g의 교정력에 동요도나 위치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식립 부위로는 부착치은 부위 치근 사이에 식립될 때 구강청결이 유지되고 미니스크류 주변 치은조직에 자극을 주지 않아 정상적인 조직으로 유지 될 수 있었다. 또한 교정력 적용 8주 후 치근단 방사선 사진검사에서 스크류 주변 치근 흡수나 치조골 흡수, 치주 인대 손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cdot$하악 골밀도와 골구조의 차이를 고려하여 미니스크류의 골내 식립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교정적 고정원으로 티타늄 미니스크류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Sn-Pg line와 Sn perp. 에서부터의 거리에는 차이가 없었다(p$44.32\%$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였고, 피질골 절단술 시행시에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치경부에서 치근단 쪽으로 치근 길이의 $46.38\%$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여 피질골 절단술 시행하지 않은 경우보다 치근단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후방견인력의 크기 변화에 따라 저항 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변하지 않았다.Stainless Steel의 순이었다. 5. 비틀림실험은 0.016x0.022의 경우 Unitek Resilient가 가장 비틀림에 대한 저항이 큰데, 64.8회의 회전후 파절한다. 그 다음으로 Jinsung Stainless Steel, Unitek Hi-T, Ormco Stainless Steel, Unitek Standard(50.6회) 순이었다. 0.019x0.025의 경우 Jinsung Stainless Steel이 가장 커서 83.2회의 회전에 저항하고, Unitek Resilient, Unitek Standard의 순이고 Ormco와 Unitek Hi-T가 가장 저항력이 작았다. 6.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본 표면은 모든 제품에서 생산과정 중에 보이는 압흔과 pitting이 관찰되는데, 진성기업의 Stainless Steel은 가늘고 긴 압흔이 있으며 비교적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