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methods course

검색결과 545건 처리시간 0.027초

Preservice Biology Teachers' Learning to Teach Science through Science Methods Courses

  • Kim, Sun Y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427-1442
    • /
    • 2012
  • This study tracked the changes of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edagogical knowledge along with science teaching efficacy throughout sequentially developed science methods course I and II over two consecutive semesters. Two courses, science methods course I and II, aimed these preservice teachers to discuss the notion of science teaching with 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to learn science instructional models, to design lessons utilizing science instructional models, and to eventually implement microteaching.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mainly engaged in cooperative instructional planning activities through science methods course I, and engaged in cooperative microteaching activities through the science methods course II. This study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successfully developed pedagogical knowledg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after two science methods courses. The science methods course I where cooperative instructional planning activities occurred helped the preservice teachers to improve pedagogical knowledge but not science teaching efficacy. Based on their pedagogical knowledge development, then, these preservice teachers increase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fter completion of the science methods course II.

이미지 기술을 이용한 문헌정보학 교수법 개발연구 (Teaching Methods for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Using Image Technology)

  • 전명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19-230
    • /
    • 2004
  • 본 연구는 이미지기술을 이용한 교과목과 과제물을 개발하여 강의 한 후 학생들을 평가한 사례연구이다. 이 결과 문헌정보학의 여러 과목에 기존의 시청각과목에서 가르치던 멀티미디어 기술과 새로운 이미지 정보기술 방법을 종합하여 강의하게 된다. 학생과 교수는 최고의 인간관계를 맺게 되고 문헌정보학의 과목은 재미있고 수강 학생수가 증가하면서 교수의 강의 평가점수가 많이 향상되었다.

Academic Research Inspired Design of an Expository Organic Chemistry Lab Course

  • Kim, Thomas Taehyung;Kim, Hyunwoo;Han, Sunkyu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99-105
    • /
    • 2018
  • In this paper, we present fortified instructional methods that contributed in improving students' interest toward the expository organic chemistry laboratory course. Reformed TA (Teaching assistant) training and allocation method, a thorough course orientation session, text-light/graphics-heavy results PPT reports, and journal article templated-term papers have improved students' satisfaction in the organic chemistry laboratory course. These methods could be implemented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organic chemistry laboratory instruction styles and hence could be broadly applicable.

미국 초등교사교육 과정 과학교육방법론 수업(Science Methods Course)의 과학적 탐구 활동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학습에 대한 자기 효능감 및 PCK 이해의 향상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Science Self-Efficacy Beliefs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through Scientific Investigations)

  • 최상희;이영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406-418
    • /
    • 2015
  • 본 연구는 현 과학교육의 개혁 운동에 기초하여 예비 교사들의 자기 효능감과 교과교육지식(PCK) 이해의 향상을 위하여 과학적 탐구를 실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교육 방법론 수업(Science Method Course)은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할 수 있는 효과적인 과학 탐구 모델링 수업과 과학적 실천 교수학습을 포함하도록 수정하였다(RSMC).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조사하였다: (1) 수정된 과학교육 방법론 수업(RSMC)의 처치 전후 예비교사들의 PCK 정도는 어떠한가?: (2) RSMC 이수 후 과학 교수학습에서 예비교사들의 자기 효능감의 정도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3) 예비교사들의 자기 효능감과 PCK 수준의 변화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미국 중부의 중간정도 규모의 대학의 교사교육 과정에서 제공하는 과학교육 방법론 수업에 등록한 76명이며, 분석을 위해서 STEBI-B 설문지와 PCK 평가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예비교사들이 RSMC 이수 후 개인적 과학교수 효능감(PSTE: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이 확실히 향상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PCK 평가지에 근거하면, RSMC 전과 후의 PCK 수준은 평균값이 현저히 상승하였으며, 예비 교사들의 자기 효능감과 PCK 수준의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개혁 운동에 근거하여 설계된 과학교육방법론 수업(RSMC)은 예비 교사들의 오개념의 수정, PCK 수준의 향상 증진, 그리고 현장 학교에서 탐구수업의 모델링 등을 통하여 과학교수학습에서 자기 효능감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강의평가에 대한 균등화방법의 비교 (Comparison on equating methods for course evaluation)

  • 조장식;강창완;최승배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1호
    • /
    • pp.65-75
    • /
    • 2009
  •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개설된 강좌에 대한 학생들의 강의만족도를 통하여 교수들의 업적평가에 적용하기 위해 강의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강의평가점수는 강좌규모, 강의형태, 개설학년 등과 같은 많은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결과로 강의평가결과는 심각한 편의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의평가결과의 사후조정을 위한 균등화방법과 그 효율성을 비교하고, 가장 좋은 효율성을 갖는 균등화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Model to an English-Medium Nursing Course

  • Choi, Heeseung;Kim, Jeongeun;Bang, Kyung-Sook;Park, Yeon-Hwan;Lee, Nam-Ju;Kim, Chanhee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39-948
    • /
    • 2015
  • Purpose: An emerging trend in Asian higher education is English-medium instruction (EMI), which uses English as the primary instructional language. EMI prepares domestic students for international leadership; however, students report difficulty in learning, and educators have raised questions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EMI. The flipped learning model (FLM), in which lecture and homework activities for a course are reversed, was applied to an English-medium course offered by a college of nursing in Korea.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1) revise an existing English-medium nursing course using the FLM; 2) explor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nd their acceptance of the FLM; and 3) identify key factors in the success of FLM. Methods: We used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mixed-methods design and the participants were students at one nursing school in Korea. A series of course development meetings with faculties from the nursing school and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were used to develop the course format and content. We conducted course evaluations using the Flipped Course Evaluation Questionnaire with open-ended questions and focus group interviews. Results: Students (N=75) in a 15-week nursing course responded to a survey after completing the course. Among them, seven students participated in one of two focus groups. Overall, students accepted and favored the flipped learning strategy, and indicated that the method enhanced lecture content and their understanding of it. Factors associated with effective instruction included structured monitoring systems and motivational environments. Conclusion: The FLM requires sufficient preparation to facilitate student motivation and maximize learning outcomes.

귀추적 사고를 경험한 과학 교사들의 중학교 1학년 빛 단원 지도 방식에 대한 인식의 변화 (The Cognition Changes Related to the Teaching Methods of "Light" Chapter for 7th Grade as Experienced by Science Teachers in Abduction Thinking)

  • 김영심;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07-51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화학교육 석사과정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빛 단원 지도에 대한 어려움, 교사의 학습 경험, 교사의 지도 방식, 교사의 사고 유형에 대해 면담을 하였다. 그 후 귀추적 사고를 위한 토론 수업을 12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토론수업에 참여한 교사들 중에서 4명으로부터 개별 면담 자료와 보고서를 받았다. 연구 결과, 토론 수업 전에 대부분의 교사들은 빛 단원을 지도할 때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 작도법을 사용하여 지도하려고 노력하였으나, 교육적 효과는 거의 없었다. 그리고 자신이 가르치는 방식은 자신이 학생이었을 때 배웠던 방식과 유사하였다. 토론 수업 중 교사들은 자신이 빛의 경로를 직접 관찰할 수 없으며, 상을 통해 빛의 경로를 추론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빛 단원에 대한 귀추적 사고 과정을 거쳐 교사들은 상의 의미를 깨닫고, 학생들을 지도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획득하였다.

Consensus Clustering for Time Course Gene Expression Microarray Data

  • Kim, Seo-Young;Bae, Jong-Sung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2권2호
    • /
    • pp.335-348
    • /
    • 2005
  • The rapid development of microarray technologies enabled the monitoring of expression levels of thousands of genes simultaneously. Recently, the time course gene expression data are often measured to study dynamic biological systems and gene regulatory networks. For the data, biologists are attempting to group genes based on the temporal pattern of their expression levels. We apply the consensus clustering algorithm to a time course gene expression data in order to infer statistically meaningful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s. We evaluate each of consensus clustering and existing clustering methods with various validation measures. In this paper, we consider hierarchical clustering and Diana of existing methods, and consensus clustering with hierarchical clustering, Diana and mixed hierachical and Diana methods and evaluate their performances on a real micro array data set and two simulated data sets.

컴퓨터·정보공학 분야의 교과기반 학습성과 평가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Course-Embedded Assessment for Program Outcomes in Computer Science & Information Engineering)

  • 조수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3-8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정보공학 분야의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교과기반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한 경험과 교훈을 소개한다. 최근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은 정부로부터 몇 가지 조건의 충족을 전제로 공학교육 분야의 프로그램 인정기관으로 지정된 바 있다. 그 조건들 중 하나는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교과기반 평가를 실행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정보공학 분야의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교과기반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사례연구는 기초 프로젝트 교과목에서 실시되었고, 프로젝트 교과목에서의 특별한 평가 기법들이 포함되었다. 기초 프로젝트에서의 교과기반 평가 사례연구는 해당 교과목과 밀접히 연관된 학습성과의 설정, 지필고사 및 프로젝트기반 평가와 같은 평가도구의 선택, 평가기준의 설정, 교과기반 평가의 실행 및 평가결과에 대한 분석과 같은 각 단계를 고려하여 제안된다. 제안된 방법은 컴퓨터 정보공학 분야의 교과기반 평가 전략을 세우기 위한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n Application of Problem Based Learning to an Earth Science Course in Higher Education

  • Kwon, Byung-Doo;Kim, Kyung-Ji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8-116
    • /
    • 2003
  • Problem Based Learning (PBL) is one of methods which has been developed to promote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to pursue self-directed learning for life-long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Problem Based Learning (PBL) in college Earth science cours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ourteen students attending an Earth science class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 Seoul. PBL was implemented in the form of group project with utilizing Web-based course tool. We provided questionnaires and conducted interviews to figure out students' perception about PBL.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rough a given experiences, (1) students participated more actively than LBL (Lecture Based Learning), (2) more students were engag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and (3) students made higher cognitive efforts. LBL seemed to be more efficient way to acquire factual knowledge. In the meanwhile, PBL did not seem to affect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Students could not make use of Web-based course tool effectively in communicating with other team member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college student participants preferred problems related to everyday life, environmental issues and interesting but unusual incidents. On the other hand, they felt difficult in open-ended problems, especially when they were asked to provide their own evaluation. On the basis of PBL experiment in this paper, we present one method of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BL and suggest topics which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