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inquiry ability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4초

실업계 고등학교 과학교육의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A Status Survey and Improvement Plan for the Science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 박승재;권재술;김창식;오대섭;오종옥;이화국;조희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22
    • /
    • 1988
  • The educational policy of a nation should be based on the results of nation-wide studies and their analyses. This study is the third one in a series of research on "development of improvement plan and monitoring system for secondary school science", focusing on the three major areas, such as students' achievements, science instruction and conditions for science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In general, the results showed that science achievem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general high schools. While the achievement level in physics was lower by one percent, the achievement levels in chemistry and biology were significantly lower by more than 5 percents. In the case of scientific inquiry, the results showed much lower scores compared to those of general high schools. Concerning the inquiry abilities, most of the students did not possess the formal operational thinking skills such as controlling variables and combinatorial thinking. The ability of experimental skills seem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tudents' majors. Students in industrial arts schools could measure electric resistance very well, while students in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failed completely. In the area of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the greater part of the students had the experiences of using scientific equipments (68.6 %), experimentation (54.3 %), and extracurricular science activities (56.9 %). They also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nature of science (59.8%).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science instruction and school conditions for science education showed the needs for improvement In general, the priority of science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was very low compared to their major subjects. The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thought science text books nor to be difficult These responses and the low achievement levels seemed to be contradictory to each other. The facilities for science experiments were better equipped and installed to general high schools. However. the lack of budget was a major problem for performing experiments uning the facilities. Therefore. science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have many things to be improved For the improvement of science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financial support as well as the intention for the improvement must be the essential factors.

  • PDF

2년간의 추적 연구를 통한 Physical Computing 기반의 STEAM 프로그램의 효과 (Two-year Follow-Up Study on Effects of STEAM Education Program Based on Physical Computing)

  • 김석희;유헌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77-86
    • /
    • 2014
  • 국제 학업 성취도인 PISA2007, TIMSS 2011에 의하면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과학 학업성취도는 최상위에 해당하지만, 관련 태도가 낮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 사회에 만연한 이공계 기피현상, 초중고에서 점점 사라지고 있는 정보과학 교육의 현실을 반영하는 학습 경험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본 연구자는 2012년에 Physical Computing 기반의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태도, 인성 등에서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 연구의 후속연구이다.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향상을 가져 온 4학년 학생들이 1년 후에 STEAM 교육을 받지 않았을 때 학생들에게 어떤 변화가 생겼는가를 연구하였다. 분석 방법은 4학년 초, STEAM 교육을 받은 4학년말, STEAM 교육을 받지 않은 5학년말의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과학적 탐구에 대한 태도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STEAM 교육을 받지 않은 5학년말은 4학년 초에 비해 향상이 없는 결과를 얻었다. 이것은 STEA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역설적인 증거라고 할 수 있다.

  • PDF

고등학교 장학생 선발고사 응시생의 탐구적 생물실험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quiring Experimental Assessment in Biology of Applicants for Entrance Examination to A Korean Private High School)

  • 홍정림;박승재;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1-207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the achievements in problem solving by the inquiring experiment, which was done by the superior group in the traditional cocepts-centered written te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inquiring experimental assessment by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concepts-centered written and inquiring experimental tes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211 applicants. They are the superior group of the 9th grade students, and score in the top 1% of total achievements percentage in school. They also have passed the primary entrance examination. The inquiring experimental test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in school, and is composed of 5 subcategories: problem-perception and formulating hypothesis, designing an experiment, carring out an experiment, recording data and drawing conculsion, and generalizing conculsions and communicaton. The checklists of each subcategory were made and testing methods were divided into observation and repor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chievements in each subcategory of inquiring experimental performance were very low in the superior group who took the concepts-centered written tests. 2. The results of factor and correlation analyses in this study confirmed the abilities measured by inquiring experimental assessment differed from abilities measured by existing tes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ven students who achieved high in scientific knowledge, these abilities were not automatically transformed inquiry process which many other abilities were integrated into. Therefore, problem solving ability requires integrated abilities which are fostered by inquiring experimental tasks. This suggests that new instrument for assessment must be developed to measure integrating ability especially wher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re selected, or where entrance examinations to the science schools are administered.

  • PDF

과학교과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세계의 동향에 준거하여 우리나라 현장 교사들의 인식 연구 (Study on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of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Worldwide)

  • 고은정;정대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35-547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영국,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온타리오주, 싱가포르 및 우리나라의 과학교과 핵심역량에 대한 동향을 조사하여 과학교육을 통해 기를 수 있는 핵심역량이 무엇인가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또한, 현장 과학교사들이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 특히 최근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교육과정을 접한 경기도 지역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것이었다. 외국의 역량 기반 과학과 교육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각종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현장 과학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위해, 135명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외국의 역량기반 과학과 교육과정 탐색 결과, 각 국가들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범교과 역량과의 연계', '과학 내용과 과학 활동의 결합', '의사소통 능력중시', '역량별 성취 수준 제시' 등이 나타났다. 또한, 각국에서 강조하는 과학과 핵심역량으로는,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탐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이해력', '학문간 통합능력', '적용능력', '개인적 역량과 사회적 역량'이 있었다. 현장 과학교사들은 현재 핵심역량에 대한 인지정도 및 과학수업에서의 실행 정도는 보통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가르쳐야 한다는 움직임과 가르칠 의사에는 긍정적인 인식을 보임으로써,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었다. 중요한 핵심역량으로는, 초 중 고 세 학교급 모두에서 '창의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탐구 능력'을 꼽았으며,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은 역량은 '창의적 사고력'이었다. 경기도 지역의 교사들이 다른 일반지역의 교사들보다 핵심역량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 수업이 과학적 태도와 의사소통능력 형성에 큰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수업 운영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점, 많은 수업 준비시간 등을 어려운 점으로 꼽았다.

예비교사를 위한 실감형 콘텐츠 활용 메타인지 학습전략 기반 화학 프로그램의 효과 및 관계성 분석 (Effectiveness and Relationship Analysis of Chemistry Programs Based on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Using Realistic Contents for Pre-service Teachers)

  • 이다은;김현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4호
    • /
    • pp.271-28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메타인지 학습전략 기반 화학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창의적 사고역량 및 과학과 핵심 역량에 미치는 효과와 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메타인지를 강화시키는 전략을 도입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참가자는 새로 개발한 화학 프로그램을 적용 받는 실험반과 실감형 콘텐츠와 메타인지 전략을 포함하지 않은 일반적인 수업을 적용 받는 전통반으로 분류하였다. 두 집단 모두에게 프로그램 적용 전과 적용 후 설문을 실시하여 메타인지 역량과 창의적 사고역량 및 과학과 핵심역량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메타인지 역량과 과학과 핵심역량이 창의력 사고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반의 메타인지 역량, 창의적 사고역량 하위요소 중 적절성과 합리성, 과학과 핵심 역량 중 과학적 참여 및 평생 학습 능력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소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메타인지 역량 중 메타인지적 지식, 과학과 핵심역량 중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사고력이 창의적 사고역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결과를 통해 창의력 사고역량의 향상을 위해 메타인지 학습전략을 접목시킨 실감형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학습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와 리더십과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y of Would-be Child Teachers and Leadership)

  • 장정백;이미나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91-499
    • /
    • 2012
  • This research is looking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y of would-be child teachers and leadership and that's influence. The researchers examined positive psychology and leadership with 330 would-be teachers(13 boys, 317 girls) located in Gwang-Ju and the Jeonnam Region.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would-be teachers. The collected data analyzed the positive psychology of would-be teachers and leaders, including sub-factors for mean(M), standard deviation(SD)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ccording to subject for inquiry. Then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WIN 17.0 for checking the effects of the would-be child teachers's positive psychology with their leadership skill was used. The result of the research was that the positive psychology of would-be child teachers and leadership of the product-moment correlated in all areas. Especially the most influence on positive psychology is the ability of human relationship among leadership sub-variables, and the relation between positive psychology and leadership are very important for making positive changes in society. This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for more educational sponsorship regarding positive psychology and leadership for would-be child teachers.

정보능력 개발을 위한 컴퓨터${\cdot}$정보 이용 교육과정 -교과 교육의 관점을 중심으로- ([ $Computer{\cdot}Information$ ] Use Curriculum toy Information Literacy Development)

  • 함명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27-144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 이용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미국의 정보 이용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우리 나라 초${\cdot}$중등 학교 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정보 이용 교육과정을 개발, 실천한 사례를 교과 교육의 관점에서 고찰하는데 있다. 정보 사회의 학교 교육은 정보능력의 개발과 이를 위한 정보 이용 교육과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급속히 변화하는 정보 사회에서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은 그 유용성이 짧기 때문에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다루는 정보능력 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정보능력은 문헌 정보, 영상 정보, 전자 통신 정보 체험 정보 등 각종 정보 매체를 통한 정보의 접근, 분석, 적용, 평가 능력을 의미한다. 정보이용 교육과정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새로운 정보를 탐구하여 모든 정보 과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정보를 창조할 수 있는 정보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 PDF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안전관리와 안전교육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인천지역의 유아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and its Education in an Infant Institution of Learning)

  • 한두희;정수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4
    • /
    • 2009
  • Protecting an infant from a risk of accident was an absolute responsibility and duty of parents in the past. As increase in the ratio of entering kindergartens, the demand of all day program also increases. In infancy, safety concerns are higher than other periods since infants are curious about objects and environments and that have stronger impulse of the spirit of inquiry. Since baby's functioning is poor, an ability of balance maintenance and an exercise function are not sufficiently developed. Further more, they lack a cognitive power about self-control or situation. According to Korea Consumer Agency, safety accidents in infant institution have increased in 115% as 294 cases compared with 137 cases in 2004. Major causes of infant deaths are street accidents, drowning, and deaths from a fall in order. Considering this situation, we need to prevent and deal with accidents. Therefore this thesis grasp the situation and analyze an actual condition of an safety education about teachers who work in such institutions and infants who are educated in institutions to prevent from accidents and make up pleasant environments. Then, it will suggest all efficient safety education plans for infants to them.

Public Health Center Service Experiences and Needs among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 Chae, Duckhee;Kim, Hyunlye;Seo, Minjeong;Asami, Keiko;Doorenbos, Ardith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85-395
    • /
    • 2022
  • Purpose: To support implementation of comprehensive, person-centered healthca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mmigrant women's public health center (PHC) service experiences and needs while considering Photovoice's feasibility for this purpose.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included 15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churche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using purposive and snowball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ur focus group interviews and were subjected to induc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Five categories of experiences were identified: language barriers, hectic environment, affordable and practical primary healthcare, feeling ignored and discriminated against, and feeling frustrated. In addition, five categories of needs were identified: language assistance services, ease of access, healthcare across the lifespan, expansion of affordable healthcare, and being accepted as they are. This study provides preliminary evidence that the Photovoice approach can facilitate the interview process in a qualitative inquiry involving participants with limited ability to express their perspectives in the researchers' language. Conclusion: Study findings highlight the need to implement institutional policy and procedural changes within PHCs and to provide culturally competent, personcentered care for South Korea's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and other ethnic minority populations. The findings also provide evidence-based direction for PHC service planning.

수행평가와 선다형 지필 평가에 의한 변인확인 능력 평가의 차이 (A Difference of Identifying Variable Skills Assessment between Performance and Multiple Choice Items)

  • 이항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6-15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능력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들 중에서 변인확인 능력을 측정하는 평가 문항의 유형에 따른 차이와 최근에 한층 더 강조되고 있는 수행평가 방법중의 하나인 면접법을 통한 변인확인능력 평가 결과간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제시한 바와 같이 선다형 지필 평가 문항 유형별 변인확인 능력은 대체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선다형에 의한 변인확인능력 평가 결과와 수행평가 방법에 의한 평가 결과는 매우 낮은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독립변인 확인 능력과 종속변인 확인 능력은 거의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능력 중 어느 한쪽의 인지 여부가 다른 한쪽의 인지 여부를 결정해 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과학교육 활동에서 이 두 능력을 동시에 강조하는 과학과 교수 학습 전략의 적용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또한 선다형에 의한 평가 결과와 수행평가에 의한 평가 결과가 상이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선다형만을 이용한 과학 탐구능력 평가와 그에 관련된 연구보다는 수행평가 방법과 같은 과정 평가를 이용한 정성적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평가의 결과와 연구 결과의 해석에 대한 타당성을 한층 높여줄 것으로 해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