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DMZ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3초

연구데이터의 고성능 네트워킹을 위한 Science DMZ 확장성 연구 (Research on Science DMZ scalability for the high performance research data networking)

  • 이찬균;장민석;노민기;석우진
    • KNOM Review
    • /
    • 제22권2호
    • /
    • pp.22-28
    • /
    • 2019
  • Science DeMilitarized Zone (DMZ)은 연구데이터의 특성에 최적화 된 대용량 연구데이터 전용 네크워크 기술이다. Science DMZ는 망을 사용하는 연구자 간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폐쇄망을 구성하여, 전송성능을 저하할 수 있는 보안장비등을 배제함으로써 단대단 성능을 보장한다. Data Transfer Node (DTN)는 연구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만을 담당하며 망의 성능과 보안을 보장하는 Science DMZ의 필수 구성요소이다. 현재의 Science DMZ 구조에서는 망사용자마다 DTN 서버를 포설하며 이는 과도한 망 관리 부담, 신규 사용자의 진입장벽, 그리고 망 전체 CAPEX 측면에서 확장성의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술한 Science DMZ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망 사용자들을 그룹화하여 중앙 집중형 공용 DTN 서버를 공유하는 구조에 대해 제시한다. 특히 상용 컴퓨팅 장비의 성능대비 장비 비용 추세를 적용하여 네트워크 로드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 구성비용을 비교함으로써, 제안하는 공용 DTN 방안의 효과에 대해 예측 분석한다.

과학빅데이터 고속전송을 위한 ScienceDMZ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ScienceDMZ Construction for High Speed Transfer of Science Big Data)

  • 문정훈;곽재승;홍원택;김기현;이상권;김동균;김용환;유기성
    • KNOM Review
    • /
    • 제22권2호
    • /
    • pp.12-21
    • /
    • 2019
  • 과학빅데이터 실험 장비와 IC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엑사바이트 이상 규모의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으나, 이러한 빅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은 응용과학연구자의 요구에 맞는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과학빅데이터에 대한 고성능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QoS(Quality of Service) 기반의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지만, 기반이 되는 인프라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변경을 요구하기도 한다. 반면 ScienceDMZ 기술은 전송 성능에 큰 지장을 초래하는 방화벽을 우회함으로써, 과학빅데이터 전송 성능 향상을 도모하며, 또한 기존 네트워크의 큰 변화 없이 구현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KREONET(국가과학기술연구망) 기반의 국제간 장거리 환경에서 과학빅데이터 고속 전송을 통하여 ScienceDMZ를 구축하고 성능을 검증하였다. 또한, ScienceDMZ의 확장으로써, GPU 플랫폼을 분산 환경에서 연계하는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Science DMZ 적용을 위한 SDN 기반의 네트워크 침입 방지 시스템 (SDN-Based Intrusion Prevention System for Science DMZ)

  • 조진용;장희진;이경민;공정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6호
    • /
    • pp.1070-1080
    • /
    • 2015
  • 본 논문은 Science DMZ(Demilitarized Zone) 적용을 위한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 기반의 네트워크 침입 방지 시스템을 소개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침입 탐지 기능을 침입 방지 장치로부터 분리하고 SDN 기술을 확장해 탐지 기능과 방어 기능을 상호 연동시킴으로써 네트워크 보안 장비의 유연성(flexibility)과 확장성(extensibility)을 높이고 패킷 검사(packet inspection) 등으로 야기되는 패킷 손실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프레임워크의 한 응용 시나리오를 소개하고 국가과학기술연구망에 구축된 네트워킹 DMZ환경에 시험 적용함으로써 활용 가능성을 검증한다.

Preliminary Study of Population Size and Habitat Characteristics for Amur Goral in the DMZ of Gangwon Province in South Korea

  • Hur, Wee-Haeng;Park, Young-Su;Lee, Woo-Shin;Choi, Chang-Yong;Lee, Eun-Jae;Rhim, Shin-Jae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2호통권159호
    • /
    • pp.117-120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population size and investigate habitat characteristics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Amur goral 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 in DMZ (Demilitarized Zone) of Gangwon Province in South Korea from November 2003 to May 2004. The Amur gorals counting were carried out by assistance of military soldiers who guards the southern boundary of DMZ. Four hundred sixty individuals were estimated as total population size in DMZ of Gangwon Province. Deciduous forest, rocky area and coniferous forest were dominant land cover types in habitat of Amur goral. DMZ and its vicinity of Gangwon Province are very important areas for the conservation of this species. It is needed to establish management plan for the conservation of Amur goral and their habitats in DMZ.

전송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DTN 성능 가속 및 병목구간 패킷손실 최소화 방안 (Method on DTN Performance Acceleration and Packet Loss Minimization for Transfer Efficiency Maximizing)

  • 박종선;노민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37-43
    • /
    • 2018
  • Science DMZ는 종단간 전송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전용네트워크, DTN, 최소한의 보안정책과 같은 복합적인 요소를 고려한 네트워크 구조이다. 그리고 Science DMZ의 고대역폭의 전용네트워크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DTN 튜닝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아울러 네트워크 병목구간으로 인한 패킷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네트워크 시스템의 튜닝이 병행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Science DMZ 네트워크 구조에서 전송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데이터 전송 노드 및 네트워크 시스템 튜닝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을 이용한 성능측정결과 DTN 튜닝 후 네트워크 성능이 튜닝을 하지 않을 것과 비교해 180% 성능향상을 보였다. 아울러 shaping 정책을 적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튜닝 후 성능측정결과 손실 없이 9.4Gb/s의 성능을 보였다.

ScienceDMZ 기반의 네트워크 구성에서 접근제어정책 적용 (Application of access control policy in ScienceDMZ-based network configuration)

  • 권우창;이재광;김기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10
    • /
    • 2021
  • 데이터 기반의 과학연구가 추세인 요즘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은 연구 생산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용량 과학 빅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네트워크 구조가 필요하다. ScienceDMZ는 이러한 과학 빅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고안된 네트워크 구조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구성에서는 사용자 및 자원에 대한 접근제어정책(ACL, access control list) 수립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ScienceDMZ 네트워크 구조로 구현된 R&E Together 프로젝트와 네트워크 구조를 설명하고, 안전한 데이터 전송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접근제어정책을 적용할 사용자 및 서비스를 정의한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자가 전체 네트워크 자원 및 사용자에 대해 일괄적으로 접근제어정책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접근제어정책 적용에 대한 자동화를 이룰 수 있었다.

DMZ 일원 특산식물 개느삼의 생태적 특성 및 보전 방안 (Conservation strategies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Echinosophora koreensis of Korean endemic plants in DMZ)

  • 안종빈;박기쁨;박진선;정지영;김준일;신현탁;박완근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27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특산식물이고, IUCN Red List의 EN(위기종) 등급에 속하는 개느삼(Echinosophora koreensis)을 대상으로 자생지 분포, 식생구조 등의 생태적 특성과 현지 내외 보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개느삼의 자생지 분포 조사 결과 강원도 양구군 13곳, 인제군 3곳, 춘천시 2곳, 홍천군 1곳 총 19곳에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느삼 자생지의 해발고도는 169-711m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균 해발고도는 375m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느삼 자생지의 면적 조사 결과, $8,000-734,000m^2$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평균 $202,789m^2$으로 조사되었다. 개느삼 자생지의 입지환경 분석을 수행한 결과, 자생지 내 우점종은 교목층에서 소나무가 대부분 우점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목층은 생강나무가 우점하였고, 초본층은 모든 조사구에서 개느삼이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느삼 자생지의 식생군집분석 결과, 신갈나무, 소나무, 굴참나무 우점 군집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개느삼 자생지를 대상으로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총 82과 204속 289종 4아종 43변종 5품종 34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개느삼의 출현지점을 이용하여 자생지 분포역 예측 model 중 하나인 MaxEnt 분석을 통하여 잠재 분포지 분석을 수행한 결과, AUC값은 0.9762로 분석되었다. 분포예측 자생지는 강원도 양구군, 인제군, 춘천시, 화천군 지역에 집중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apidEye 위성영상과 구글 어스를 활용한 북한 DMZ의 산림현황 및 산림황폐지 변화 분석 (The Analysis of Changes in Forest Status and Deforestation of North Korea's DMZ Using RapidEye Satellite Imagery and Google Earth)

  • 권수경;김은희;임중빈;양아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3-126
    • /
    • 2021
  • 본 연구는 위성영상을 바탕으로 북한 DMZ의 산림현황을 분석하고 산림황폐지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생육기·비생육기 RapidEye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북한 DMZ의 토지피복을 분류하였다. 토지피복을 입목지(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산림황폐지(산간나지, 개간산지, 무립목지), 비산림지로 분류하고 산림 및 산림황폐지 면적을 생태지리구획에 따라 집계하였다. 연안-배천지구, 법동-평강지구, 회양-금강지구, 통천-고성지구의 산림황폐율은 14.24%, 16.75%, 5.98%, 16.63%로 각각 산출되었으며, 북한 DMZ 내 산림황폐화 주요 원인은 산불과 산지전용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구글 어스 영상을 통해 산림황폐지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산림황폐지 면적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본 연구 결과는 북한 DMZ의 산림공간정보를 제공함으로 써 남북접경지역의 산림협력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MZ 및 군사접경지역의 포유류상 (Mammalian Fauna in DMZ Area)

  • 윤성일;계명찬;이흥식
    • 환경생물
    • /
    • 제25권3호
    • /
    • pp.215-222
    • /
    • 2007
  • 비무장지대(DMZ)를 포함한 민통선 일대는 지난 50여 년간 사람에 의한 인위적인 간섭을 적게 받은 지역으로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된 세계적인 환경보전지역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개발에 따른 급격한 환경파괴가 가속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발표된 조사지역에 대한 논문, 보고서 등 문헌자료와 청문조사를 토대로 조사된 포유동물상을 파악하였다. DMZ 및 군사접경지역 전체에서 서식하는 포유동물 중 문헌상으로 서식이 확인된 종은 모두 6목 17과 51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화천군, 철원군, 양구군 일대 중부지역에는 총 6목 14과 32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종은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 수달(Lutra lutra), 사향노루(Moschus moschiferus), 산양(Nemorhaedus caudatus), 하늘다람쥐(Pteromys volans), 물범(Phoca largha)등 3목 6과 6종이었다. 이 조사를 통해 얻어진 종합적인 자연문화재 기초자원 조사결과는 향후, UNESCO의 세계자연보전지역 등록에 대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스프레이 절화국화 '가마'의 daminozide에 의한 생육 및 개화반응 (Growth and Flowering of Cut Spray Chrysanthemum 'Gama' by Daminozide)

  • 이창희;박인문
    • 화훼연구
    • /
    • 제17권2호
    • /
    • pp.121-127
    • /
    • 2009
  • 본 연구는 daminozide의 엽면 살포방법을 이용하여 국내 육성 스프레이 국화 '가마(Gama)'의 하계 고온에 의한 꽃목 길이의 과도한 신장을 억제함으로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하였다. 처리 시기는 화뢰 발달과 정별로 3단계(stage I, II, III)로 나누고 daminozide (DMZ)의 처리농도는 0, 500, 1000, $2000mg{\cdot}L^{-1}$로 구분하여 조합 처리하였다. 절화장과 꽃목 길이는 stage II에서 신장 억제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DMZ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절화장과 꽃목 길이는 감소하였다. 줄기직경과 화폭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처리시기가 늦어질수록 줄어들었으며, DMZ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적으로 감소하였다. 선단부의 평행 배열된 화수는 시기별로는 stage I과 II에서 농도에서는 $500-1,000mg{\cdot}L^{-1}$ DMZ 처리에서 각각 가장 많았다. 전체 처리 중에서는 $1,000mg{\cdot}L^{-1}$ DMZ를 stage II에 처리시 무처리구 대비 24.2%가 증가하여 가장 우수하였다. 화수와 총 화뢰수도 $1,000mg{\cdot}L^{-1}$ DMZ를 stage II에 처리시 가장 많았다. '가마(Gama)'의 하계 재배시 꽃목(소화경)의 신장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화서배열을 고르게 하며 화수 증가를 유도하는 DMZ의 처리농도와 시기는 $1,000mg{\cdot}L^{-1}$와 stage II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처리는 절화장, 줄기직경, 화폭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 상품성의 또 다른 면에서 불리하게 작용하였다. 따라서 실용적인 최적 처리시기와 농도는 stage I에서 $1,000mg{\cdot}L^{-1}$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