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전문적 지식에 대한 시민 요구의 증가, 학계의 시민참여 연구 확대, 전문적 지식에 대한 정보서비스의 제공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전문적 일반인이 학술정보자원에 접근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는 이에 주목하여 학술정보자원에 대한 일반인의 정보요구와 정보행위를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학술정보자원의 탐색 및 이용행태, 학술정보자원 활용에 대한 지원 필요성에 관한 인식이 조사되었으며, 이를 통해 학술정보자원이 학술 커뮤니티를 넘어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정도와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이용자 범위를 확대하여, 이들을 위한 학술정보자원에의 접근과 이용 확대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한 초기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술연구 성과물의 개방과 공유 활동의 국제적인 흐름에 호응하고, 국민들의 학술연구 정보의 자유로운 접근을 보장하기 위한 오픈액세스시스템의 주제기반 온라인 학술 커뮤니티의 성공적인 운영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한 세부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이 네 영역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는 커뮤니티와 온라인 커뮤니티의 개념과 특성, 주요 성공 요인에 대한 일반적 분석이다. 둘째는 널리 알려진 온라인 학술 커뮤니티인 KISTI의 과학기술 학회마을, 생물학연구정보센터, MIT의 DSpace를 대상으로 기능적인 요소와 구체적인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셋째, 이들 사례의 주요 기능과 성공요인을 토대로 오픈액세스시스템의 핵심기능인 커뮤니티 서비스에 대한 주요기능을 도출하였다. 넷째, 국내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서비스의 기능 요구도와 참여의지를 설문으로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의 주요 기능은 30-40대의 인문사회계열연구자들에게 초점을 맞추어 특히'연구성과물 관리 기능', '이슈 리포트 게시 기능', '연구 사업 정보 통합 제공 기능' 등을 우선적으로 제공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overview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applied nutrition and community nutrition in Korea. The nutrition studies in the early years focused on animal experiments, human metabolism, and food analysis and therefore were limited to classrooms and research laboratories in universities without spreading into the lives of people. Korean specialists trained through the UN International Course of Applied Nutrition initiated the Applied Nutrition Program (ANP) in Korea in the 1960s. The ANP in Korea was effectively implemented until 1986 with support from UNICEF, FAO, and WHO as a national project to improve the nutrition and health of rural residents. With economic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in Korea, the rural-focusing ANP was re-born to a more extended version with the name of "Community Nutrition", targeting the nutrition and health of the entire Korean population. Scholarly associations including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established in 1995 hav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Nutrition in Korea and are expected to continue to work for a better connection between nutrition and health promotion.
The University Press, as a publishing division of the university, is a high quality and low cost scholarly communication system. In contrast to European and American university presses, Korean university presses publish very small amount of books. So the author took a case study of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Press(PNUP). She interviewed with faculty who had published or were going to publish. And then she analyzed why or why not the faculty at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selected PNUP as a publisher.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he identified problems of the PNUP and she made an activating program that can be a n.0, pplied to most of Korean university presses. This program involved setting up the mission of the press; a n.0, ppointing a professional to the staff and establishing a fund; encouraging high quality scholarly publishing, refined bookmaking and positive marketing; and increasing the expense of the library and improving community su n.0, pport of the university press.
전자저널을 비롯한 전자출판물의 확산으로 최근 학술커뮤니케이션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이 연구는 전자저널이 학술커뮤니케이션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인용분석에 기초한 영향력 측정 지표인 영향지수(impact factor)와 즉효지수(immediacy index)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JCR의 사회과학편에서 경제학, 법학, 심리학 학술지의 최근 8년간 영향지수와 즉효지수를 수집하여 연도별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세 학문분야 모두 연도별 영향지수는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에, 즉효지수는 최근 2년 동안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효지수의 상승은 학술지의 논문이 발행되는 즉시 인용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학술지의 발행형식이 최근 전자저널로 급속히 전화된 데 따른 결과인 것으로 유추된다. 아울러 이를 통해 학술커뮤니케이션의 속도가 과거에 비해 증진되었다는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전자저널의 영향 정도를 구체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함으로써 향후 도서관에서 과학적인 장서관리를 하는데 일조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회 학술지에 2002년부터 2021년까지 20년 동안 게재된 논문 전체의 저자를 분석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학술지를 통한 학술 커뮤니케이션 현황을 고찰하고 향후 전망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학술지별 공저자 수, 귀환저자 비율, 투고선호지수, 저자집단 변화 추세, 연구자 유인지수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 학술지의 공동연구 수준, 학술지별로 연관된 저자집단의 형성 정도, 저자집단이 변화된 변곡점, 신진 연구자 집단의 특성, 학술지 간 저자 공유 정도 등이 파악되었다. 전체적으로 2015년이 한국 문헌정보학 저자집단이 변화한 변곡점으로 나타났으며, 이후에 등장한 신진 연구자들은 주로 공동연구를 수행하면서 이전과 다소 다른 학술지 논문발표 행태를 보였다. 계량분석을 수행한 이 연구의 결과가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선행 연구와 함께 활용된다면 한국 문헌정보학 학술지 발전 전략에 대한 다각화 연구를 수행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국내외에서는 저널 구독 비용의 증가와 도서관 예산의 삭감, 그리고 대학 및 국가 지식관리의 필요성 등이 제기되면서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액세스 기반의 기관 레포지터리 시스템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학술정보 관리를 위한 온라인 액세스 기반의 기관 레포지터리 서비스 운영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개별기관에서의 기관 레포지터리 서비스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전체 운영 단계 및 운영방안을 마련한 후, 학위논문, 교내 간행물, 교내 학술행사, 학술지 논문/연구보고서 등에 적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외에 기관 레포지터리 운영시 발생할 수 있는 지적재산권 사항을 살펴보았다.
최근 국내에서 학술논문의 발표와 관련하여 발생되고 있는 표절시비는 학계 차원에서 나름대로 대처방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정부차원에서도 국제적 수준의 연구윤리를 확보하려는 문제로 다루어지기 시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문헌을 통해 문헌정보학적 시각에서 학술논문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인용과 표절에 대한 정의를 비롯한 기본적인 내용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세부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정리하고 있다. 첫째 학술논문에 있어서 표절의 유형과 문제점 등을 다루고, 둘째, 학술논문 작성에 있어서의 인용 방식을 비교 분석하며, 셋째, 표절에 대한 대응 및 올바른 인용 방식 등을 제시하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thical considerations that must be addressed in journals and discern the strategies that will elevate the quality of the journal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utilized the past studies that were conducted in this field. Examples of journals were used to mark some of the key features of reputable journals, as well as the guidelines for KODISA. Results: This study has showed the importance of ethical considerations in journals for the best interests of the scholars and journal community as a whole. A clear set of outlines makes the journal a place for scholars to share their knowledge, as well as elevate the journal into a good standing in the academic world. Some of the key strategies in improving KODISA include inviting notable members of a field to share their knowledge and encouraging more scholars to contribute to this network. Conclusion: KODISA has a strong set of ethical considerations for the scholars that publish in their journals and will continue to improve its quality for the future. It includes improving its strategies and keeping up to date with the trends in the current field of discipline.
Large language models (LLMs) are rapidly transforming medical writing and publishing. This review article focuses on experimental evidence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current applications, challenges, and future implications of LLMs in various stages of academic research and publishing process. Global surveys reveal a high prevalence of LLM usage in scientific writing, with both potential benefit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its adoption. LLMs have been successfully applied in literature search, research design, writing assistance, quality assessment, citation generation, and data analysis. LLMs have also been used in peer review and publication processes, including manuscript screening, generating review comments, and identifying potential biases. To ensure the integrity and quality of scholarly work in the era of LLM-assisted research, responsible artificial intelligence (AI) use is crucial. Researchers should prioritize verify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AI-generated content, maintain transparency in the use of LLMs, and develop collaborative human-AI workflows. Reviewers should focus on higher-order reviewing skills and be aware of the potential use of LLMs in manuscripts. Editorial offices should develop clear policies and guidelines on AI use and foster open dialogue within the academic community. Future directions include addressing the limitations and biases of current LLMs, exploring innovative applications, and continuously updating policies and practices in respons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Collaborative efforts among stakeholders are necessary to harness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LLMs while maintaining the integrity of medical writing and publishing.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