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apular

검색결과 407건 처리시간 0.024초

백서의 피하조직에 Gelatin Matrix Implant (Fibrel®) 매식시 조직변화에 관한 연구 (TISSUE CHANGE AFTER EMBEDDING GELATIN MATRIX IMPLANT(FFIBREL®) IN SUBCUTANEOUS TISSUE OF RATS;HISTOLOGIC, IMMUNOHISTOCHEM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 김홍진;이종헌;김경욱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4호
    • /
    • pp.341-354
    • /
    • 1998
  • GMI (Fibrel${(R)}$) is one of the dermal filling substances which have been successfully used for the treatment of depressed cutaneous scar and wrinkles. It's major components are; Gelatin powder, which provides a framework for the clot to form and remains stable under the scar, and ${\varepsilon}$-aminocaproic acid, which inhibits the production of fibrinolysin, and Plasma, which provides the necessary ingredients for collagen synthesis. GMI has advantages of low immunogenicity and increased longevity. It has been known to induce fibroblast activity and promote new collagen synthesis. We used 34 Sprague-Dawley rats which were bred under the same condition and duration. 18 of experimental animals were undergone cardiac puncture, and their blood were collected, centrifugated, and stored in freezer. Out of 16 animals, control group were injected with 2ml plasma into the subcutaneous tissue of Lt. scapular, while experimental group were implanted of 2 ml GMI into the Rt. same area.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at the 3rd day, 5th day, 1st week and 2nd week respectively after implantation of GMI. To observe the histopathologic change of GMI and surrounding tissue reaction of GMI, we had examined with H&E stain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vimentin, ${\alpha}$-SMA, S-100 under LM and SEM.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LM study, the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s and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were observed, and muscle tissues were well attached with adipose tissues in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s had been observed by the 2nd week and irregular adipiose tissues and well differentiated mesenchymal tissues were examined. 2. In immunohistochemical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of ${\alpha}$-SMA study, there were a prominent positive response on endothelial development of granulation tissues and mesenchymal tissues compare with the control group. In vimentin study, positive response on mescenchymal fibroblast continued to 2nd week, but negative in the control group. In S-100 study, both groups were positively responded on irregular adipose tissues. 3. In SEM study, collagen fibers were embedded by the plasma by the 5th day in the control group, and in the 3rd day experiment GMI were resorved but communited with collagen fiber till the 1st week. Collagen fibers were infilt-rated into GMI at the 2nd week and the infilltrated GMI were conglomerated with the mature adipose cells and the collagen fibers. From the above results, GMI implantation in the subcutaneous tissue of Sprague-Dawley rat, the mil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were showed till 2nd week and the granulation tissues were observed. GMI were nearly resorbed till 2nd week, but well attached with adipose tissue and collagen fibers. The endothelium and fibroblasts were actively proliferated. Adipose tissues and mesenchymal tissue cells were observed. As already expressed, GMI showed resorptive change in course of time without any early immune reaction, and seemed to induce fibroblast activity and promote new collagen synthesis.

  • PDF

흉총창에 의한 심방파열 치험 2례

  • 이두연;곽상룡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60-65
    • /
    • 1980
  • We have experienced 2 cases of the hunshot wound sof the chest involving cardiac injuries at department of the thoracic surgery, Capital Armed Forces General Hospital during I year from April I 1979 to Jan. 1980. In one case of two patients , he was a 22 years old man who was transported to this emergency room 4 hour 10 minutes after having gunshot wound of the left chest by helicopter. Physical examination showed small inlet in left 3rd ICS and left parasternal border, large outlet in left 8th ICS and left scapular line, no breath sound on left side and distant heart sound. chest roentgenography demonstrated marked pleural effusion in left side and mediastinum shifted to right. As soon as chest X-ray was taken, the bleeding through penetrating wound became profuse and cardiac arrest ensued. Closed chest cardiac massage was started and vigorous transfusion continued, but no effective cardiac activity could not be obtained. The patient was pronounced dead due to exsanguinating hemorrhage from wuwpected cardiac wounds. In this critically injured patient with evidence of intrathoracic hemorrhage and suspected cardiac penetration, only emergency thoracic exploration and immediate surgical control of bleeding points might offer the maximum possibility of survival. The other case was a 23 years old man who was transferred to the emergency room 4 hours 50 minutes after having kmultiple communicated fractures of sternum and linear fracture of right mandible by a missile. Examination revealed about 30% skin loss of the anterior chest wall, weak pulse of 96 beats/min., distant heart sound and decreased breath sounds bilaterally. finding on the chest X-ray films showed multiple sternal fractures, marked pericardial effusion indicating hemopericardium. So, the patient was moved immediately to the operation room where, after endotracheal tube inserted, a median sternotomy was performced. A hemorrhagic congestion of the right upper lobe and marked bulging pericardium were disclosed. The pericardium was opened anterior to right phrenic nerve and exsanguinating hemorrhage ensued from the 0.5cm lacerated wound in the auricle of right atrium. The rupture site of right atrium was occluded with non-crushing vascular clamps and then was over sewn with interrupted sutures. It was thought to be highly possible that he was alive long enough to have cardiorrhaphy because of cardiac tamponade, which prevented exsanguinating hemorrhage. He was taken closed reduction for linear fracture of right mandible 2 weeks after repair of ruptured right auricle in dental clinic. This patient's post-operative course was not eventful.

  • PDF

후경골 동맥 유리 피판에 의한 수부 전기 화상의 재건 (Reconstruction of Electrical Burned Hand by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 최수중;서은민;이창주;장준동;김석우;이상훈;이동훈;서영진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4-23
    • /
    • 2004
  • Introduction: The hand and wrist ar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electrical burn. Skin defect with damage or exposure of underlying vital structure requires coverage by skin flap especially in case of the need for late reconstruction. We are reporting 4 cases of electrical burned hand treated by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The commonly used skin flaps such as scapular flap or groin flap are too bulky so that they are not satisfactory in function and cosmetic appearance. So we tried to cover them with a more thin skin flap. Materials and Method: From January 2002 to June 2003, four cases of hand and wrist electrical burn were covered using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All the cases were due to high voltage electrical burn. Age ranged from 31 years to 38 years old and all the cases were male patients. Recipient sites were 2 wrist, one thenar area and one knuckle of 2.3rd MP joint. Additional procedures were flexor tenolysis (simultaneous), FPL tenolysis and digital nerve graft (later) and extensor tendon reconstruction (later). Result: All the flap have survived totally without any complication including circulatory concern about the donar foot. Posterior tibail arterial free flap was so thin that debulking procedure was not required. Conclusion: For skin coverage of the hand & wrist region,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reliable anatomy, easy dissection and easy anastmosis with radial or ulnar artery and possibility of sensory flap. The most helpful advantage for hand coverage is its thinness. So we think this flap is one of the very useful armamentarium for reconstructive hand surgery.

  • PDF

한국산 망둑어아과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sion of the Subfamily Gobiinae(Pisces, Gobiidae) from Korea)

  • 김익수;이용주;김용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29-542
    • /
    • 1987
  • 한국산 망둑어아과 어류를 20속 33종으로 분류하고 속${\cdot}$종검색표를 작성하였다. 채집된 망둑어 아과 어류 16속 27종에 대하여 종별 전${\cdot}$후안견갑관과 전새개관의 유무 혹은 개공 서열구상을 비교하여 4 groups으로 구분하였으며, 이것을 근거로 하여 계통 유연관계를 논의였다.전새개관개공배열구상은 속의 구분과 일치하였고, 전안견갑관개공의 소실정도는 속내의 특화된 종이나 종군을 찾아내는데 유의하였다. Pscudogobisu masago는 후안견갑관과 전새개관이 없는 점에서 Acentrogobius 속과는 구별된다고 본다. Chaenogobius annularis, Chaenogobius casteneus 및 Acanthogobius lactipes는 두부감각관계와 predorsal scales의 수에 있어서 지리적 변이를 보여 주었다. 망둑어아과 어류의 한국고유종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동해연안과 서해연안의 어류상은 잘 구분되었으며, 남해연안에서 17속 26종이 출현하고 있어 가장 다양한 분포상을 보였다. 우리나라 연안의 망둑어아과어류의 우점속은 Acanthogobius Chaenogobius 및 Chasmichthys 속이었다.

  • PDF

다양한 자세의 푸시업 플러스 융합 운동에 따른 어깨 안정근의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Shoulder Stabilizer Muscle Activity on Push-up plus in Convergence in Various Posture)

  • 문병현;김지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41-34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4가지 자세의 푸시업 플러스(PUP) 운동 시 5번째와 7번째의 앞톱니근(SA), 위등세모근(UT), 중간등세모근(MT), 아래등세모근(LT), 큰가슴근(PM)의 근활성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25명의 대상자가 다양한 자세의 PUP 융합 운동 (일반자세, $90^{\circ}$, $120^{\circ}$, BOSU)을 실시하였다. 각 근육의 근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반복 측정된 분산분석을 적용하였다. 다양한 PUP 융합 운동동안 SA7, PM, UT, MT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5). SA7은 PUP 와 $90^{\circ}PUP$, BOSUPUP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5). PM은 $90^{\circ}PUP$와 PUP, BOSUPUP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5). UT은 $90^{\circ}PUP$와 PUP, BOSUPUP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05). MT는 $90^{\circ}PUP$와 PUP, $120^{\circ}PUP$, 그리고 PUP와 $120^{\circ}PUP$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5). 본 연구 결과, 어깨의 기능부전이 없는 대상자가 어깨 안정근을 훈련할 때 일반적인 PUP가 효과적일 것이다.

복합운동이 어깨통증을 경험한 여대생들의 압통역치, 통증 및 자세정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lex exercises in pressure-pain threshold, pain and postural alignment of women university students with shoulder pain)

  • 박충현;우재승;이재현;조은정;황수정;우성희;강순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04-70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어깨통증을 경험한 여자대학생들의 압통역치 및 자세정렬에 어깨근육스트레칭, 어깨 안정화운동 및 자세교정운동을 포함한 복합운동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 21명을 대조군 7명(중재 미실시), 실험군 1(온습포, 스트레칭)에 7명, 실험군 2(스트레칭, 안정화운동 및 자세교정)에 7명으로 배정하여 각 중재를 3주간, 주당 4회 실시하였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른쪽 및 왼쪽 위등세모근 압통역치와 시각적 통증척도(VAS) 점수의 중재 전 후 변화량은 대조군보다 실험군 2가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오른쪽 위등세모근 압통역치와 시각적 통증척도는 대조군보다 실험군 1이 유의하게 더 컸다. 반면에 목 각도의 세 집단 간의 중재 전 후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깨통증을 경험한 여대생들에 대하여 스트레칭, 안정화운동 및 자세교정을 포함하는 복합운동은 압통역치 증가 및 통증감소에 효과적임을 제안한다.

  • PDF

견갑부 탄성섬유종 (Elastofibroma Scapulae)

  • 강현귀;조환성;박원서;이주혁;김한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8-125
    • /
    • 2006
  • 목적: 탄성섬유종은 드물게 견갑하부와 흉벽사이에서 발생되는 양성 연부조직 종양으로 단기간에 경험한 예에 대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총 4예로 남자 1예 여자 3예이며, 평균 연령은 72세(65~77세), 추시 기간은 6개월(4~8개월)이었다. 4예 모두 견갑골과 흉곽 사이의 견갑골 하방부에 발생하였다. 2예에서 좌측에 발생되었고 2예에서 양측으로 발생하였다. 환자의 증상은 촉지되는 종괴 외에 1예에서 견갑부 동통, 2예에서 견갑부 탄발음, 1예는 무증상이었다. 결과: 4예 모두 변연절제술 이상의 절제연을 가지고 제거하였으며 절제해 낸 종괴의 크기는 평균 9.7(7.5~11.5)${\times}$7.2(4.4~11)${\times}$3.8(3~5) cm 이었다. 술전 증상들은 술후 모두 소실되었고, 4예 모두에서 술후 1개월부터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하였다. 추시 기간 동안 관절부 운동범위 제한, 익상견갑 등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고, 증상 재발의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견갑부에 발생된 탄성섬유종은 환자의 연령, 발생위치,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술전 진단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진단적 생검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증상이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 없이 추시 관찰이 가능하고 동통 및 탄발음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증상의 호전을 위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견갑골 관절와 골절의 수술적 치료 (The Operative Treatment of Scapular Glenoid Fracture)

  • 강호정;정성훈;정민;한수봉;김성재;김종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212-219
    • /
    • 2007
  • 목적: 견갑골 관절와 골절의 치료로 관혈적 수술을 시행했던 예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치료 결과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한 관절와 골절 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분류는 변형 Ideberg씨 분류를 이용하였으며 제 1형이 1예, 2형 3예, 3형 2예, 5형 1예, 6형 2예였다. 정복에 사용된 내고정물은 재건 금속판 6예, 소형 금속판 1예, 1/3 원통형 금속판 3예, 소형 나사 3예, 유관 나사 1예였다. 수술 후 견관절의 기능 평가는 Constant score 및 Adam의 기능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7주에 골유합 소견을 보였다. 임상적 평가에서 우수가 4예, 양호가 3예, 보통이 2예 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나사의 관절와 침범, 관절와 하방에 안정성에 지장이 없는 골소실이 각각 1예가 있었다. 결론: 관절의 불안정성이 있거나 골편의 전위가 큰 관절와 골절의 경우에 수술적인 치료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골절 양상이 분쇄가 심할수록 나쁜 결과를 보였다.

병원 내원한 환자 견갑골(scapula) 진단을 위한 연구 (The shoulder diagnosis Scapula study of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 안병주;이준행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3-20
    • /
    • 2010
  • 견갑골의 골절 유 무와 외상에 의한 탈구를 진단하는데 있어 견갑골의 정측면상의 영상을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견갑골 측방향 촬영시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견갑골의 정측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한 회전 각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견갑골의 촬영을 위해 내원한 환자 20명(여 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평균연령은 35.4세(15세부터 66세)였다. 수동각도기의 거상각도를 $30^{\circ}$, $40^{\circ}$, $45^{\circ}$로 하여 전 후방향 촬영하였다. 영상의 평가는 전문가 5명이 내측연과 외측연의 완전겹침이 있는 영상은 4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불완전 겹침이 있는 영상은 3점, 견갑골체 내측연과 외측연이 겹침이 없는 영상은 2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사방향으로 나타난 영상은 1점으로 4단계로 나누어 blind test를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한 각도별 평균점수는 $30^{\circ}$$1.53{\pm}0.39$점, $40^{\circ}$$3.83{\pm}0.15$점, $45^{\circ}$$2.17{\pm}0.43$ 점으로 나타났다. 도한 가슴둘레가 100cm이상인 군과 100cm이하인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p<0. 05) 없었고, 남자와 여자 간에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견갑골 정측면상을 얻는데 적합한 환자의 회전각도에 관한 연구가 없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검사측을 $40^{\circ}$ 회전하며 검사측 상완골을 반대쪽으로 들며 촬영하는 것이 한국인 성인에서 견갑골의 정측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견갑골의 측방향 촬영을 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컴퓨터 게임 사용 시간이 몸통 근육의 근 두께와 압력 통증 역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Effects of Usage Time of Computer Game on Thickness of Trunk Muscles and Pressure Pain Threshold)

  • 이설아;양노열;정성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67-72
    • /
    • 2019
  • 본 연구는 일주일 동안의 컴퓨터 사용시간이 몸통 근육 두께와 압력 통증 역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33명의 대상자를 일주일에 컴퓨터를 10시간 이하(A 그룹), 10시간에서 20시간(B 그룹), 20시간 이상 사용하는 그룹(C 그룹)으로 나누어 위 등세모근, 작은가슴근, 앞 목갈비근, 중간 목갈비근의 근 두께와 위 등세모근, 작은가슴근, 앞 목갈비근, 중간 목갈비근, 어깨올림근의 압력 통증 역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C 그룹의 작은가슴근, 앞 목갈비근, 중간 목갈비근은 다른 그룹들의 근 두께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고(p<.05) 위 등세모근, 앞 목갈비근, 작은가슴근, 어깨올림근의 압력통증역치는 다른 그룹들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그러므로, 본 연구는 1주일 동안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는 사람들은 장시간 컴퓨터 사용이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예방적 접근을 수행할 것을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