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uces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韓國) 간장중(中)의 유기산(有機酸)에 대(對)하여 (Organic Acid in Korean Soy-Sauces)

  • 장지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8권
    • /
    • pp.1-9
    • /
    • 1967
  • Korean soy-sauces were orepared by the ordinary and impreved method and its analyses on the organic acid. The results obtained is as following: 1. In analysing general components of prepared soy-sauce, total acid, volatile acid and non-volatile acid were found more in improved soy-sauce than in ordinary soy-sauce. 2. Volatile organic acid were analysed by gas-chromatography method. As a result, the followings was attained: a) In the ordinary soy-sauce, form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butyric acid were detected. Butyric acid was in the highest amount and then propionic acid, acetic acid and formic acid are followed in the order. b) In the improved soy-sauce, form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butyric acid were detected. Acetic acid was in the highest amount and then propionic acid, butyric acid and formic acid are followed in the nrder. 3. Non-volatile organic acid were analysed by paper partition chromatography method. As a result, the followings were attained: a) Lactic, glutaric, fumaric, malonic, malic, glycolic, oxalic, tartaric, and succinic acid and two unknown spots were detected in ordinary soysauce. Lactic acid was in the highest amount and then succinic, glycolic, oxalic, tartaric, glutaric, malic, fumaric and malonic acid are followed in the order. b) Lactic, glutaric, malonic, malic, glycolic, tartaric, succinic and tgalacturonic acid and two unknown spots were detected in the improved soy-sauce. Lactic acid was in the highest amount and then succinic, glycolic, malic, glutaric, tartaric, galacturonic and malonic acid are followed in the order. 4. ${\alpha}-keto$ acid were analysed by paper partition chromatography. As a result, the followings were attained: Pyruvic acid and ${\alpha}-keto$ glutaric acid and an unknown spot were detected in the ordinary and improved soy-sauce. Pyruvic acid was in the highest amount and then ${\alpha}-keto$ glutaric acid are ollowed in the order. 5. Stale flavor in the ordinary soy-sauces seems to be partly affected by butyric acid and propionic acid. 6. Substances influencing taste, such as lactic acid and succinic acid, were found more in improved soy-sauce than ordinary soy-sauce.

  • PDF

B. subtilis JM3 Pretense로 제조한 멸치액젓의 품질특성 (Qualify Characteristics of Accelerated Anchovy Sauce Manufactured with B. subtilis JM3 Pretense)

  • 박종혁;유상권;김영명;김동수;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00-605
    • /
    • 2006
  • 본 연구는 멸치액젓의 풍미를 유지시키면서, 발효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숙성된 멸치액젓에서 단백분해능이 뛰어난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를 분리 정제한 다음 숙성초기의 멸치액젓에 첨가하여, 멸치액젓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B. subtilis JM3 단백분해효소 첨가량 및 가수분해시간에 따른 변화는 없었고, 젖산량은 4% 단백분해효소 첨가구가 제일 높았다. 아미노질소, 휘발성염기질소 및 가수분해도는 단백분해효소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갈변도는 4% 효소첨가구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가수분해가 가장 높게 나타난 2시간째에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단백분해효소 첨가구가 향 및 맛에서 좋은 평가를 얻었다.

단감과 연시를 함유한 스테이크 소스의 제조 및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teak Sauces Containing Sweet and Soft Persimmons)

  • 이동원;이승철;조종락;김정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347-1352
    • /
    • 2011
  • 본 연구에서 연시, 연시분말, 단감즙을 첨가한 스테이크 소스를 제조하였다. 각 첨가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스테이크 소스의 항산화능과 당도가 증가하였다. 색도는 황색도가 약간 증가하였으며, 단감즙을 15% 첨가한 경우에만 현저한 색차를 보였고 그 이외에는 크게 색차가 나지 않았다. 관능검사의 경우에는 단감즙 5% 첨가한 소스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 단감즙 또는 연시를 첨가하여 항산화능이 강화된 스테이크 소스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단감즙을 활용한다면 기호성도 우수한 스테이크 소스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Gamma-Aminobutyric Acid-Producing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and Vietnamese Fermented Fish Products

  • Vo, Thi Thu-Thao;Park, J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209-221
    • /
    • 2019
  • Gamma-aminobutyric acid (GABA) is a neurotransmitter that exerts sever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positive effects on human heal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and characterize the strains that had GABA-producing abilities from various fermented fish products. A total of 91 acid-producing strains were isolated from 41 samples of fermented fish products, and 27 strains showing GABA-producing abilities were identified by the 16S rDNA sequences. Among the strains, 31% strains tolerated at high-salt environment of 10-20% throughout the fermentation of fish sauces. The 27 isolates that produced GABA at various concentrations did so in the range of 5 to 454 mM. These GABA-producing isolates were identified as lactic acid bacteria of 14 strains, which included twelve Lactococcus lactis, one Enterococcus faecium, and one Lactococcus pentosus; eight Bacillus cereus group, which included seven B. thuringiensis and one B. cereus; and five Staphylococcus spp. Interestingly, with Vietnamese fish sauces, we mostly identified species of B. thuringiensis and Staphylococcus spp., while with Korean fermented fish products, the majority of the strains identified belonged to L. lactis. Among the strains, B. thuringiensis LH2134 produced the highest levels of GABA at 366 mM among the strains identified from Vietnamese fish sauces, whereas L. lactis LA43, a new strain isolated from Korean jeotgal (salted shrimp paste), produced the highest amount of GABA at 454 mM and the glutamate concentration in the medium was essential for GABA accumulation. Therefore, such the isolates might serve as good starters for development of more GABA-reinforced foods among fermented fish products.

컨조인트 분석을 적용한 영국 소비자 집단의 매운 소스 선호도 조사 (Assessing Relative Preference for Hot/Spicy Sauces by Conjoint Analysis, Focusing on English Consumers)

  • 임성일;한경수;;김재호;서경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1-57
    • /
    • 200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ve preference for hot & spicy sauces using conjoint analysis, with focus on English consumer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we were able to derive a standard with the best sauce attributes. The respondent group was selected from the CCFRA's customer database. The qualification criteria for inclusion in the sample were: the primary grocery shopper in the household, a consumer of a range of home cooked oriental & far eastern cuisines, enjoyed hot & spicy chili-based foods, and willing to buy hot chili-based oriental sauces. A total of 676 respondents completed the survey in which 76% were women, and all respondents were between the ages of 18 and 65 years. An online survey method was used and a conjoint analysis was adopted. In conjoint analysis, a product is described as a combination of a set of attribute levels, where a utility value is estimated for each attribute level. In summing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ensory property (flavor) attribute was most important, the second was brand, and the third was price. For the sensory property attribute, a mild chili sauce of blended garlic, sugar, and lime scored highest. In terms of brand, Blue Dragon was selected as the best. The lesser known Korean Kochujang brand of "Hot&Joy" scored lowest with respect to brand value. Encouraging, however, was the description based on the Hot&Joy product: a hot chili sauce blended with ginger and garlic, which held appeal across age groups and genders. In terms of price, 75p per bottle had the best score.

조사 선량에 따른 품목별 PSL과 TL 시험법 적용 가능성 검증 (Application of PSL and TL Detection Method by Irradiation doses on the Foods Approved to Irradiation in Korea)

  • 조준일;이지애;정형욱;이순호;황인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3-48
    • /
    • 2010
  • 침출차와 소스류, 전분류의 각 품목에 대하여 PSL과 TL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 품목별로 다른 선량으로 방사선 조사를 실시하여 PSL과 TL 분석을 하였다. 침출차 2종은 0, 2, 7kGy, 소스류 2종은 0, 5, 7, 10 kGy, 전분류 3종은 0, 2, 5 kGy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PSL의 분석 결과, 침출차는 비조사구에서는 threshold value $T_1$(700) 이하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2kGy 이상의 조사구에서는 $T_2$(5000)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어 방사선 조사 여부 확인이 가능하였다. 이에 비해 소스류는 비조사구에서는 $T_1$ 이하의 값이 나타났지만, 5kGy 이상의 조사구에서 1173, 1773의 $T_1$보다 높고 $T_2$보다 낮은 photon count를 나타내어 중간시료로 나타났다. 또한 전분류에서는 비조사구에서 $T_1$보다 높고 $T_2$보다 낮은 중간값을 나타내어 TL 확인 시험을 필요로 하였다. TL 분석에서는 3가지 품목 모두 비조사구에서는 $300^{\circ}C$ 부근에서 최고의 peak를 가지는 glow curve를 나타내거나 특정적인 TL glow curve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조사구에서는 $150{\sim}250^{\circ}C$ 부근에서 비조사구에서 보이지 않았던 특유의 glow curve를 나타내었고, 조사선량에 따른 intensity의 차이도 보이고 있었다 한편 TL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재조사에 의한 TL ratio를 산출한 결과 비조사구에서는 0.08 이하를 나타내었으나, 각 선량별 조사구에서는 전분류의 경우 0.07 이상의 낮은 값을 나타내기도 하였으나 TL온도범 위와 glow curve의 형태에 따라서 방사선 조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PSL과 TL 분석법의 적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새우, 게 및 바다가재의 부산물로 만든 소스의 휘발성 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Identified from the Sauces Made with Waste of Shrimp, Crab and Lobster)

  • 이경임;조지은;안형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9-128
    • /
    • 2007
  • 식품의 조리과정 중에 부산물로 나오는 갑각류 폐기물을 이용하여 소스를 제조하여 canister system을 이용하여 농축한 후 GC/MSD를 이용해 휘발성 성분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총 휘발성 성분의 개수는 72종이었으며 그 중 새우를 사용하여 만든 소스의 휘발성 성분이 45개로 가장 많았다. 새우 소스의 휘발성 성분은 10종의 alkane, 4종의 ketone, 3종의 aldehyde 및 7종의 alcohol이었으며 3-methyl-2-butanone, 2-pentanamine, isobutane, 3- methyl-butanal, furan, carbon disulfide, dimethyl sulfide가 주요한 성분이었다. 꽃게 소스에서는 18개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고, 4종의 alcohol류, 5종의 alkane류, 3종의 aldehyde류 및 ketone, acid와 amine이 각각 1종 검출되었으며, 2-methoxy ethanol, trimethyloxirane, 3-buten-1-ol이 꽃게 소스에서 주요한 휘발성 성분으로 나타났다. 바다가재 머리부분을 이용한 소스에서 16종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alkane류 2종, aldehyde와 alcohol이 각각 1종씩 동정되었고 formic acid, 1-propanethiol, $\beta$-pinene, allyl sulfide가 주요한 향기 성분으로 나타났다. 바다가재 껍질을 이용한 소스에서 휘발성 성분이 18종 검출되었으며, acid류, pentane, 3-methyl 1-butanol 및 2, 4-dimethyl- 3-pentanone이 주요한 휘발성 성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동남아산 액젓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theast Asian Salt-Fermented fish Sauces)

  • 조영제;임영선;박희열;최영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8-102
    • /
    • 2000
  • 동남아산 액젓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필리핀산 Patis 2종, 태국산 Nampla 3종 및 Nuocman 1종, 베트남산 Nuocman 7종 등 총 13종을 구입하여 각종 성분들을 분석하고, ATP관련물질 총량과 총질소함량과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품질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국내산 액젓의 원료어는 주로 멸치 및 까나리만인데 반하여, 동남아산 액젓은 멸치, 고등어, 병어 및 혼합어종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맛과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 보존제 및 비타민류, 아민류, 인산염 등을 첨가하였다. 동남아산 액젓은 수분함량 $60.6{\~}72.8{\%}$, 회분함량 $18.2{\~}25.8{\%}$, 조단백 질함량 $0.9{\~}13.7{\%}$, VBN함량 $14.1{\~}338.6\;mg/100ml$, $PH 4.66{\~}5.91$, 염분함량 $24.1{\~}30.6{\%}$, 총질소 및 아미노산성질소함량은 각각 $0.140{\~}2.199g/100\;mg$$115.4{\~}1,643.0mg/100ml$, AN/TN은 $72.8{\~}83.5{\%}$ 범위로, 원료어종, 액젓의 제조국가 및 종류, 제조방법, 숙성조건 둥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동남아산 액젓 모두 $ATP{\~}IMP$는 극미량, HxR은 약간 검출되었으며, 약 $94{\%}$ 정도가 Hx과 요산이었고, ATP관련물질 총량은 $0.829{\~}9.564{\mu}mol/ml$이었다.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46.4{\~}9,056.3 mg/100 ml$이었고,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의 조성비가 $16.0{\~}47.0{\%}$ (평균 $23.6{\%}$)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Iysine, leucine, alanine, aspartic acid, valine, isoleucine 등의 순이었으며, 이들 아미노산 함량이 전체의 약 $64{\%}$ 정도를 차지하였다.

  • PDF

매생이소스 개발에 관한 선호도 조사와 개발된 매생이소스별 선호도 비교분석 (Preference Investigation for Maesengee Sauce Development and Comparative Analysis of Preference for Developed Maesengee Sauce)

  • 인선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51-262
    • /
    • 2011
  • 매생이 소스 개발을 위한 선호도를 조사하였고, 세 종류의 매생이소스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매생이소스법 선호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서의 매생이소스 개발과 향후 매생이 가공 식품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목적이 있다. 매생이 성분분석은 2009년 7월에 전남 강진군에서 구입한 매생이틀 재료로 하였고, 매생이 소스 개발을 위한 선호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세 종류의 매생이 소스 즉 매생이 플레인 요거트 소스, 매생이 홍초 소스, 매생이 밀쌈 소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매생이소스별 선호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개발된 시제품은 광주 소재 조리과학과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2009년 11윌 9일부터 11윌 16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기법은 빈도분석을 이용하였다. 매생이 성분분석 결과 무기질로는 K 227.98mg/100g, Ca 58.32mg/100g, Fe 7.8mg/100g 로 나타났고, 바타민은 Vitamin A(${\mu}gRE$/100g) No Detection Vitamin $B_1$ 0..0837mg/100g Vitamin $B_2$ 0.0641 mg/100g Vitamin B6 0.0261 mg/100g Vitamin C 19.9877 mg/100g Vitamin E 0.3607 mgaTE/100g Vitamin K 7.2079 ${\mu}g$/100g Niacin 1.5057 mgaNE/100g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를 통한 매생이 플레인 요거트 소스, 매생이 홍초 소스 매생이 밀쌍 소스 시제품 제작 및 조리법을 개발하였다.

  • PDF

간장 및 이를 활용한 식품의 레불린산 분석방법 검증 및 모니터링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and monitoring of levulinic acid in soy sauce and their application to food)

  • 김단비;김선영;이상희;유미영
    • 분석과학
    • /
    • 제30권5호
    • /
    • pp.295-302
    • /
    • 2017
  • 본 연구는 High liquid chromatograph-photodiode array detector (HPLC-PDA)를 사용하여 간장 및 이를 활용한 식품에서의 레불린산을 측정하기 위하여 신속 정확한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시료 중 레불린산은 증류수로 추출한 후 C18 Sep-Pak 카트리지로 정제하여 기기분석을 수행하였다. 직선성은 비교적 넓은 농도 범위 ($2.5-400{\mu}g/mL$)에서 우수한 선형성 (R > 0.999)을 나타내었으며, 간장 시료에 대하여 레불린산의 회수율을 확인한 결과, 6 가지 농도범위($2.5-400{\mu}g/mL$)에서 87.58-97.26 %로 확인되었으며, 모두 15 % 미만의 표준오차를 나타내었다.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0.64와 $1.64{\mu}g/mL$이었다. 간장 및 이를 활용한 식품에서의 레불린산 함량을 조사한 결과 59 개의 샘플 중 43 개의 샘플에서 검출되었다. 검출 수준은 간장의 경우 0.44-1.23 mg/mL, 간장 소스의 경우 0.03-0.83 mg/mL, 양념육의 경우 8.43-38.94 mg/mL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레불린산을 정량하고 간장 및 이를 활용한 상품의 적절한 품질 관리 방법으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