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uces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28초

오미자 첨가량에 따른 Demi-Glace 소스의 일반성분과 유리당 함량 및 관능적 특성 (The Proximate Composition, Free Sugars Conten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 according to the Varying Quantity of Omija Added)

  • 김현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8-607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nts of proximate composition and the free sugars of the Demi-glace with varying quantity of Omija extracts added. First, the qualities of Demi-glace sauces with varying quantity of Omija extracts added are as follows: (1) Proximate composition: The moisture content was 66.10~73.50%, and crude ash content was 1.59~1.89%. As the Omija extracts added increased, moisture content increased, whereas crude ash content decreased.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6.12~7.95%. Among them, the one with the 2% Omija added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he crude protein. (2) Free sugars contents: In terms of total sugar contents, the control showed 1.32% and Omija sauces showed 1.44~1.55%. Major free sugars analyzed in the order of fructose, oligosaccharide, glucose and sucrose. Second,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Demi-glace sauces with the different levels of Omija added are as follows: (1) The preference of Demi-glace sauces according to occupation: Students and Cooks liked the one with the 2% Omija added in terms of color,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Cooks showed higher preference than students. (2) The preference of 5 tastes: It was found that Demi-glace sauce with the 2% Omija added was the best. The one with the 2% Omija added was suitable in terms of sweet taste and bitter taste and the one with the 3% Omija added was desirable for hot taste and saline taste. In terms of sour taste, the one with 1% Omija added was regarded as the most desirable one. (3) The preference for authentic tastes for Demi-glace sauce: In terms of simple taste, females showed higher preference than males. Demi-glace sauce with the 2% Omija added was found to be the best for savory taste, flavor enhancer taste, simple taste, afte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one with the 1 % Omija added was regarded as the best for soft taste.

  • PDF

아스파라거스를 이용한 전통장류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 Traditional Fermented Sauces Made with Asparagus)

  • 김예은;지근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95-10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아스파라거스가 함유된 전통장류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아스파라거스의 항산화능은 농도와 무관하게 나타났으며 70 mg/ml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아스파라거스가 함유된 메주의 경우 유기용매 분획별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분획 중 물층과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측정 결과 물층의 경우 tannic acid 1.437 mg/g,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경우 tannic acid 0.77 mg/g과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물층의 경우 각각 27.6%, 9.04%의 활성을 보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경우 각각 10.7%, 52.4%의 활성을 보였다. 아스파라거스 함유 전통장류의 항산화 활성은 95%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장류는 간장이며, 간장은 가장 넓은 범위의 농도에서도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스파라거스가 함유된 전통 장류의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후 진행될 연구를 통해 전통장류의 우수성이 증대되고, 새로운 장류의 개발에 기여하여 전통장류의 세계화 및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판 멸치 액젓의 품질과 그 액젓으로 제조한 김치의 품질 연구 (The Study on the Qualities of Commercial Anchovy Sauces and Kimchies Prepared with Different Anchovy Sauces)

  • 문갑순;송영선;류복미;전영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2-277
    • /
    • 1997
  • 시판 멸치액젓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협제품(A, B), 중소기업제품(C, D), 유명제품(E-H)을 선정하여 이화학적 분석과 경제성을 조사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멸치 액젓의 염도는 19.8~26.0% 범위였으며, F > H > B > E > A > C = G > D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19.8%의 염도를 나타낸 D 제품은 탁도가 높고 부패취가 강하였으며, 암노니아 함량이 매우 높아 일정 이하의 염도는 젓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나머지 제품들의 염도는 25% 전후를 나타내었다. 총 단백질 함량은 2.51~2.04% 범위였으며 A > C > B > F > E > D > G > H 순으로 높아 수협의 두 제품(A, B)과 중소업체 C제품의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의 갈색도는 C, A제품에서 높게 나타났다. 시판되는 멸치액젓의 가격을 1$\ell$로 환산한 결과 A 제품이 가장 비싸며, B 제품이 가장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멸치액젓의 관능검사 결과 색은 B > G > A > F > E > C > H > D 순으로, 냄새는 B > G = C > F > A > E > H > D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짠맛은 I > C > F > G > H > D > B > A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나서 측정한 염도와 일치하지는 않았다. 전체적 인 맛은 B > A > C > H > E = F > G > D 순으로 점수가 높아 B 제품의 맛이 가장 좋고 D 제품이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우수하게 평가된 A, B, C제품과 시장 점유율이 높은 H 제품을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여 숙성에 따른 pH, 산도,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숙성 전반에 걸쳐 다른 제품들에 비해 C 제품으로 제조한 김치에서 숙성이 빨리 진행되었고, A 제품으로 제조한 김치에서 숙성이 다소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외관은 2주째 C 김치에서 유의적으로 좋았고, 냄새는 4주째 A, H 김치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나머지 항목들에서 멸치액젓 제품 사이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숙성 전반에 걸쳐 A 제품으로 제조한 김치가 다소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riyaki Sauces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s

  • Kim, Hyun-Ah;Kim, Dong-Seok;Song, Chung-Rak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30-135
    • /
    • 2014
  •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s of addition of medicinal herb extracts (Zanthoxylum piperitum extract(TZ), Acanthopanax sessiliflorus(TA), Panax ginseng(TP), Cinnamomum lureitri Nees(TC), Angelica gigantis radix(TAG) and Crataegii fructus extract (TCF) to teriyaki sauce with regard to taste and health benefit. After adding the medicinal herb extracts to teriyaki sauce, moisture content was found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viscosity. The sauce with Panax ginseng extract(TP) had lowest sweetness, but highest salin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uce with Korean herb extracts had lower salinity content. In terms of colour value, the sauce with Crataegii fructus extract(TCF) had much higher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than sauce prepared with other herb extracts. It had the strongest acidic taste and lowest pH. Sensory evaluation test revealed that the sauce with Anthoxylum piperitum extract(TZ) was the most preferred sauce among all the sauces tested. The degree of brown color of teriyaki sauces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aste preference(r=.570, p<0.01) and overall preference(r=.505, p<0.01).

가열처리한 저염 멸치액젓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Low-Salt Anchovy Sauce Treated by Heating during Storage)

  • 박종혁;김상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89-93
    • /
    • 2005
  • To manufacture the low-salt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auces with $14\%$ and $17\%$ NaCl, anchovy sauce with $26\%$ NaCl was diluted with sterilized water and then heated at $60^{\circ}C$ for 10 min, 20 min, 30 min, and 40 min. The 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of the heat-treated low-salt anchovy sauces stored at $25^{\circ}C$ were analyzed at different storage periods. Lactic acid and total nitrogen contents of $14\%$ and $17\%$ NaCl anchovy sauces decreased slightly during storage, but pH, VBN and amino nitrogen contents were almost constant. The amino nitrogen content of $17\%$ NaCl anchovy sauce was higher than that of $14\%$ NaCl anchovy sauce. Total viable cell and lactic acid bacteria were not detected in the anchovy sauce heated at $60^{\circ}C$ for more than 20 min and only proteolytic bacteria was determined less than 10 CFU/mL. The 17% NaCl anchovy sauce heated at $60^{\circ}C$ for 30 min was relatively good for the taste and odor by sensory evaluation.

해외 소비자의 식초기반 소스에 대한 인식 비교분석 -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Vinegar-Based Sauce for Foreign Consumers - with a Focus o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

  • 진양호;권혁성;배세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12-420
    • /
    • 2017
  • This study present base data for development of vinegar-based source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penetration of the global market for local source compan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wareness and choice factors of vinegar-based sauces by foreign consumers. Preference (p<0.05), matching food (p<0.001), number of purchases (p<0.001), place of purchase (p<0.001), information source (p<0.001), importance of selective attributes (p<0.05), and most frequently purchased vinegar-based sauces (p<0.01)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nationality.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y nationality in purchase intention (p<0.05), packaging (p<0.001), and purchase considerations (p<0.001) of naturally fermented vinegar-based sauce. Developing of vinegar-based sauces and menus should be combined so that it suitable for the food culture of each country.

복분자를 첨가한 데미글라스 소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 with Added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 이정애;안상희;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31-543
    • /
    • 2011
  • In this study,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was used with a Demi-glace sauce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t amounts of Bokbunja (0, 10, 20, 30, and 40%) on the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the Demi-glace sauce. The moisture content of Demi-glace sauce increased but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crude ash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Bokbunja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ntrol group was 43.33%, whereas Bokbunja Demi-glace sauces ranged from 83.13~86.40%. As the amount of added Bokbunja increase, pH decreased, and acidity of the Demi-glace sauces increased. Sauce sweetn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ch sample (p<0.01). Salinity decreased, but viscosity in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Bokbunja increased. Color L, a and b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as storage period increased. The sensory property results showed that the 20% and 30% Bokbunja sauce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The 20% Bokbunja sauce was the most preferred with regards to the balance of a steak containing this sauce with a score 5.34 points.

Applying AHP in Evaluation the Distribution Science of Suppliers for Retails in Vietnam: Case of Saigon Co-op Mart

  • NGUYEN, Nhu-Ty
    • 유통과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35-47
    • /
    • 2021
  • Purpose: Retailing is a very special sector because it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combined products and services to create business values. In this study, the author wants to investigate particular areas in the distribution sciences of the purchasing process in Coopmart (Saigon Coop-Vietnam), which is about sauces and season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data were collected by experts of Saigon coop, which first went through the Delphi method to choose criteria and sub-criteria for the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AHP). Results: After a long process of calculation based on AHP, the final supplier is chosen according to experts' interview; Masan is the most potential candidate to be the main supplier of sauces and seasoning to Coop ma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typical methods such as quantitative analysis of this process - AHP. With the aim of increasing the computational content of the evaluation process suppliers, especially the comparison of suppliers in the same industry as AHP has shown. This enables analyses of all the providers to be more scientific. Conclusions: Thus, this paper would help the facility managers ensure objectives to the reasonable decision, which can be based on AHP to get more information, implement plans and get strategic collaboration with suppliers.

멸치 액젓 중에 존재하는 미분해 펩티드의 특성과 이용 2. 미분해 펩티드에 미치는 숙성기간의 영향 (Properties and Utilization of Undigested Peptides in Anchovy Sauces 2. Effect of Fermentation Periods on Undigested Peptides of Anchovy Sauces)

  • 조영제;김세환;임영선;김인수;김동수;최영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93-398
    • /
    • 1998
  • 멸치 액젓의 숙성 기간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숙성 기간별에 따른 멸치의 총 질소 함량과 미분해성 펩티드의 분포와 특성 등을 semi-micro Kjeldahl 질소정량법, SDS-PAG 전기영동 및 등전점 전기영동법으로 알아보고, 이 중 전보에서 확인된 특정 펩티드를 품질의 지표로 설정할 때, 이에 미치는 숙성기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특정 펩티드의 면적비가 물로 희석한 액젓의 희석 비율을 정확히 반영하는지의 여부도 검토하였다. 수분은 숙성 10개월 이후, $65\%$전후를 유지하였고, 총질소 함량은 숙성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18개월 이후는 증가 속도가 둔화하였다. 한편 단백질 함량은 숙성기간에 따라 감소하였고, 아미노산의 함량은 숙성 10개월 이후에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분자량 55,600 dalton과 46,900 dalton의 펩티드는 숙성기간에 관계없이 나타나, 이들 펩티드가 멸치 액젓의 품질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한편 등전점 5.2, 5.6 및 6.0의 펩티드는 숙성기간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에서 나타났다. 숙성기간에 따른 총질소 함량과 단백질 함량의 변화는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아미노산 함량과 SDS-PAG전기영동에 나타난 분자량 55,600 dalton의 펩티드 면적비와는 거의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8-24개월 동안의 숙성 중에도 거의 영향을 받지않는 특정 펩티드의 면적비는 멸치 액젓의 품질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또한 액젓의 희석에 따른 총 질소 함량의 변화와 SDS-PAG 전기영동상의 펩티드 면적비의 변화는 희석비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콩알 메주 간장 발효 중 이소플라본 함량 (Isoflavone Content in Soy Sauce made with Whole Grain Soybean Meju during Fermentation)

  • 이희영;차용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60-465
    • /
    • 2006
  • 기존의 개량식 메주와 이를 콩알 메주로 대체하여 제국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생산비 절감 효과 및 생리 기능성을 가진 한식 간장의 개발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간장 발효 중의 이소플라본의 함량변화와 동시에 aglycone 형태의 daidzein과 genistein 함량의 변화를 분석 비교하였다. 개랑 메주 간장인 Control 및 제품 A의 총 이소플라본 함량은 발효 120일까지 증가하였다가 그 후로는 아주 완만하게 증가하였고, 발효 180일경에는 발효 초기에 비해 각각 15배 및 4.3배씩 증가하였다. 반면 콩알 메주 간장 B 및 C에서는 발효 0일차에 총 이소플라본 함량이 최대값(각각 $20.53{\mu}g/g$$19.52{\mu}g/g$)을 나타낸 다음 그 후부터는 감소하였다. 콩알 메주 및 밀싻 메주 혼합 간장 D에서는 발효 20일차에 가장 높은 함량이었고, 그 후로 서서히 감소하였다. 총 이소플라본 또는 유리형에 관계없이 이소플라본의 함량의 대부분을 daidzein이 차지하고, 개량 메주 간장(Control 및 제품 A)에서는 숙성과 함께 증가한 반면에, 콩알 메주 간장(제품 B와 C)에서는 발효 0일차에 daidzein의 함량이 최고 많았고, 숙성과 함께 서서히 감소하였고, 대신 genistein함량은 서서히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