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pling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3초

Disturbance, Diversity, Regeneration and Composition in Temperate Forests of Western Himalaya, India

  • Tiwari, Om Prakash;Sharma, Chandra Mohan;Rana, Yashwant Singh;Krishan, Ra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6-24
    • /
    • 2019
  • We have investigated the impact of anthropogenic and natural disturbances on regeneration, composition and diversity in some temperate forests of Bhagirathi Catchment Area of Garhwal Himalaya. The forests were categorized on the basis of canopy cover and magnitude of disturbance into highly, moderately and least disturbed classes. The dominant tree species at lower elevation were Pinus roxburghii and Quercus leucotrichophora, while Abies pindrow, Q. semecarpifolia and Rhododenron arboreum were the dominant species at the upper elevational forests. Cythula tomentosa and Indegophera heterentha were the dominant shrub species present in all the forests. Similarly, Circium wallichii and Oxalis corniculata were the dominant herb species found in all forests (except Q. leucotrichophora forest), whereas Thalictrum foliolosum and Viola pilosa were noticed in each forest (except P. roxburghii forest). The tree density values oscillated between $400{\pm}10\;trees\;ha^{-1}$ to $750{\pm}89.1\;trees\;ha^{-1}$ which generally decreased from lower to higher disturbance regimes however, the total basal cover value was highest ($88.1{\pm}23.6m^2\;ha^{-1}$) in highly disturbed forest and lowest ($25.8{\pm}2.2m^2\;ha^{-1}$) in moderately disturbed forest. The shrub and herb densities were maximum in least disturbed forest, while the young regenerating individuals i.e., sapling and seedling were observed increasing from high to low disturbed forests which reflected that the forest fragmentation adversely affected the regeneration. However, A. pindrow and P. roxburghii were found invariably encroaching the habitats of R. arboreum and Q. leucotrichophora at various altitudes, respectively. The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learly indicated that the elevation and lopping intensity have more impact on trees, while shrub and herbs were more influenced by elevation, canopy cover, light attenuation and soil erosion. Pinus roxburghii was the only species which was affected by heavy litter removal and forest fire.

Tree Diversity, Population Structure, Regeneration and Conservation Status in Sacred Groves of Jhargram District, South-West Bengal, India

  • Sen, Uday Kumar;Bhakat, Ram Kuma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3호
    • /
    • pp.169-192
    • /
    • 2021
  • Sacred groves are large areas of virgin or human-modified landscape with a diverse range of species that have been protected by local people for centuries due to cultural, religious beliefs, and taboo that the deities live in them and protect the villagers from various calamitie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diversity, population structure, regeneration and conservation status of tree species in the four 36.86 ha sacred groves of Jhargram district in West Bengal. Tree species composition, population structure and regeneration status were analyzed by randomly establishing of 1 ha subplots within the sacred groves. Density, frequency, basal area, abundance, evenness, and other diversity indices were calculated for adult trees with girth at breast height (GBH) >31 cm. A total of 146 tree species belonging to 116 genera distributed in 44 families from 21 orders were recorded. Pterospermum suberifolium, family Malvaceae showed the highest Species Importance Value Index (SIVI, 21.33) and Fabaceae showed the highest Family Importance Value Index (FIVI, 35.59) values respectively. Individuals are categorised into three groups, seedling, sapling and adult based on girth classes. The majority of tree species exhibited good (52.74%) regeneration followed by fairly (24.66%), poor (15.75%) and no regeneration (6.85%) respectively. With the healthy existence of the sacred grove, the overall population structure of tree species showed a strong regeneration potential. The current data will be useful in determining the current status of tree species and will be used by the forest department, politicians, and conservationists to establish management plans for the conservation of priority species in the region. Since the study areas were sacred groves, tribal members were keen to preserve them due to their religious significance.

제주도 난대림에서 노루 뿔의 성장과정에 의한 어린나무 박피에 관한 연구 (Peeling Damage of Sapling caused by the Developing Process of Roe Deer Antlers in Warm-temperate Forests of Jeju Island)

  • 김은미;박영규;권진오;김지은;강창완;이치봉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4-259
    • /
    • 2012
  • 산림에서 나무껍질이 벗겨지는 피해는 노루를 비롯한 사슴과에 속하는 포유류에 의해 발생하며 먹이 부족이 주요 원인이다. 그러나 제주도에서는 뿔이 녹각으로 되는 과정에서 벨벳을 벗겨내는 행동에 의해 나무껍질이 벗겨지는 피해가 발생하여 이들을 살펴보았다. 국립산림과학원 한남시험림내의 해발 400m에서 500m 사이에 위치한 6km구간의 임도 주변 5m지역을 대상으로 2011년 9월 9일부터 10월 4일까지 맑은날을 택하여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노루가 뿔로 긁은 피해목은 총 25종, 267본이었으며 낙엽활엽수가 18종 134본, 상록활엽수가 5종 71본, 나머지 2종 62본은 침엽수였다. 뿔 긁기로 가장 선호하는 수종은 굴거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um),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비목(Lindera erythrocarpa), 누리장나무(Clerodendrum trichotomum),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 순이었다. 피해목은 주로 3~4년생의 어린나무이며 평균 수고는 $120.7{\pm}42.4cm$이었고, 지상 5cm 높이에서의 직경은 $1.5{\pm}0.5cm$, 피해 시작점(최저점)은 지상에서부터 평균 $22.1{\pm}10.1cm$ 지점이었고, 피해길이는 평균 $27.5{\pm}10.6cm$이었다. 나무껍질이 벗겨지면 이차적으로 균류의 침입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어린나무의 외형이 변하거나 죽게 되어 난대림의 향후 종 구성에 영향을 야기할 수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산림의 식생변화가 예견되는 시점에서 노루의 뿔에 의한 피해는 난대림의 자연 갱신은 물론 조림과 묘목생산 그리고 지속적인 산림경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초령목 개체군의 분포특성과 보전지위평가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and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of Michelia Compressa on Korea)

  • 김종갑;김대신;김수경;정현미;송영기;손성원;고정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82-191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희귀 및 멸종위기야생식물 II 급인 초령목의 자생지에서의 분포와 생육 특성을 파악하고 보전지위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초령목은 흑산도와 제주도에서 자생지가 확인되었는데, 4개의 개체군으로 구분되었다. 자생지에서 314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약 45.9%(144개체)가 해발고도 401m~500m 범위에 분포하였다. 수고는 평균 2.7(±4.8)m였으며, 흉고직경은 12.6(±13.9)cm였고 분지는 평균 1.0(±0.5)개로 나타났다. 초령목의 어린나무 개체들은 어미목에서 반경 30m 이내에 54.3%가 분포하였고, 31m~40m 사이에서 25.8%가 분포하였으며, 반경 60m 이내에 대부분(90.1%)이 확인되었다. 초령목의 어린나무 개체들이 일부 성숙목 주변에서도 확인되지 않고, 극히 한정된 지역에서만 출현하는 것은 자생지 환경뿐만 아니라 생육조건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령목의 종자 산포는 천연하종과 더불어 조류가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천연하종의 범위 이상에서 발견되는 자생지는 조류가 쉴 수 있는 물웅덩이가 근처에 존재하는 공통적인 특징을 지녔기 때문이다. 초령목의 지역 및 국가수준의 IUCN 적색목록 평가기준의 범주는 위급(Critically Endangered) 범주에 해당하며 국내 개체군은 "CR B2ab(v); C2a(i); D" 범주로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보존·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for Natural Monument(No.374) Pyeongdae-ri Torreya nucifera forest of Jeju)

  • 이원호;김동현;김재웅;오해성;최병기;이종성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3-106
    • /
    • 2014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입지환경, 식생자원과 이용 및 관리현황을 조사하고, 현재 적용되는 관리구역에 대한 등급을 설정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은 토지이용형태가 농업지역으로 변화하면서 대상지 주변지역으로의 개발압력에 의한 영향이 우려되며, 비자나무 숲 내 곶자왈지대는 종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요소로 원형보존의 관리계획 설정 및 지형의 변화를 야기하는 개발행위는 배제되어야 한다. 둘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소산식물상은 총 91과 263속 353종 41변종 8품종의 40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 중 환경부 지정 법정 멸종위기식물종 중 멸종위기식물 I II급에 해당하는 식물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나 현재의 서식처 변화 및 종의 병해, 불법 남획 등에 따른 개체 소실에 의해 비자나무 숲 내 종의 절멸 위험도 존재하므로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관리방안 설정 시 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대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비자나무가 상관을 대표하는 식생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노거수 위주의 영속적 관리와 보존전략은 빈약한 연령구조를 야기하였으며, 일부 구역의 인위적 관리에 의한 숲의 건조화, 자연적 천이에 의한 비자나무의 입지 감소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수목밀도의 조절 및 후계목 증식 등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이용에 따른 탐방로의 훼손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화산송이길의 훼손 및 분담율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화산송이의 단순한 보충보다는 현행 탐방로 외에 추가적인 관광루트 개발을 통한 분담율 완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섯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관광요소 중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는 식물적 요소는 이용에 관한 압력이 민감하게 작용하고, 비영속적인 특성상 지속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추가적 관광요소 개발과 동시에 현재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는 요소를 적극 활용하는 등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보호강도별 중요도에 따라 I등급 지역은 존속개체군의 유지와 서식처의 훼손을 방지하고, II등급 지역은 연차별 숲의 재생을 위주로 관리방향을 설정하며, III등급 지역은 비자나무 시범림이나 후계목 증식을 위한 지역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IV등급 지역은 고유 식생의 교란이 많이 발생하는 곳으로 부분별 휴식년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V등급 지역은 비자나무 숲의 관광활용을 위한 서비스 공간 적지에 속한다. 상이한 등급의 지역 인접에 따른 가장자리효과에 대한 방안으로는 상대적으로 등급이 낮은 곳에 환경간섭을 피하기 위한 버퍼존의 설치와 주기적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이식용(移植用)Pot의 제조(製造) 및 그 효과(効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anufacture of Fiber Pot and its Effect for the Good Transplanting)

  • 김지문;이화형;권기원;송호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9
    • /
    • 1980
  • 본(本) 연구(硏究)는 산지이식(山地移植)에서 Jiffy pot를 fiber pot로 대체가능(對替可能)한가 알아보기 위해 수행(遂行)되었다. fiber pot는 fiber, wood waste particle, particle 량(量)의 10%에 해당하는 bark powder로 만들어졌고 또 latex가 결합제(結合劑)로 첨가(添加)되었다. pot는 식물(植物)이 자라는 동안 pot벽(壁)의 wood fiber 분해(分解)에서 생기는 배양토(培養土)의 N흠핍증(欠乏症)을 막기 위해 충분(充分)한 요소액(尿素液)으로 spray되었다. fiber pot의 이용가능성(利用可能性)은 온실조건(溫室條件)하에 두 수종(樹種)의 service test에서 Jiffy pot와 비교(比較)되었다.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비중(比重), 비인열도(比引裂度), 비파열도(比破裂度)에 있어서 30% wood fiber+10%의 bark powder를 포함(包含)한 70% particle과 3% latex로 된 fiber pot가 Jiffy pot에서와 같은 좋은 결과(結果)를 나타냈다. 흡수력(吸水力)에 있어서는 50% fiber+50% particle과 3%-latex로 된 fiber pot가 가장 좋은 결과(結果)를 나타냈다. 뿌리의 pot벽(壁) 관통(貫通), 취급편의성(取扱便宜性)에 대(對)한 상기(上記) 물리적(物理的),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을 고려(考慮)할 때 30%fiber+70%particle과 3%-latex로 된 fiber pot가 좋을 것으로 보였다. 2. Jiffy pot와 마찬가지로 fiber pot에서도 묘목생장(苗木生長)에는 아무런 해(害)가 없었다. 뿌리의 pot벽(壁) 관통능력(貫通能力)은 Jiffy pot보다 fiber pot가 다소 뒤지나 운반(運搬)에 의(依)한 pot의 손상(損傷)은 Jiffy pot보다 약간 더 경미(輕微)했다.

  • PDF

도시공원에 식재된 왕벚나무 수종을 중심으로 한 수목활력도의 정량평가지표 개발 및 이론적 고찰에 관한 연구 (Indicators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ree Vigor Condition and Its Theoretical Implications : A Case Study of Japanese Flowering-cherry Trees in Urban Park)

  • 송영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7-67
    • /
    • 2014
  • The vigor condition of trees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orested area. But difficulties in how to assess the tree vigor condition still remain. Previous efforts were limited in the 1) measurement of single indicator rather than using multiple indices, 2) purpose-oriented measurement such as for air-pollution effect or specific pathological symptom, and 3) ordinal-scale evaluations by field crews 4) despite human errors based on his/her experiences or prior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quantitative and objective methodology for assessing tree vigor condition, by measuring multiple modules and building the profile inventory. Furthermore,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chematic frames describing tree vigor condition. The vigor condition of 56 flowering cherry plants in urban park were assessed by in-situ measurements of following eight items; growth of crown(Gc), growth of shoots, individual tree volume(Vol), plant area index, woody area index, leaf area index, leaf chlorophyll content(Lc) and leaf water content(Lw). For validation, these measurements were compared with the ranks of holistic tree vigor condition, which were visually assessed using a 4-point grading scale based on the expert's knowledge. As a result, the measures of each evaluation item successfully highlighted a variety of aspects in tree vigor condition, including the states of both photosynthetic and non-photosynthetic parts. The variation in the results depending on evaluated parts was shown within an individual tree, even though the broad agreement among the results was foun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tested measurements and 4-point visual assessment, demonstrated that the state of water-stressed foliage of the season (Lw) or the development of plant materials since sapling phase (Vol) could be better viewed from the outer appearance of trees than other symptoms. But only based on the visual assessment, it may be difficult to detect the quality of photosynthesis (Lc) or the recent trend in growth of trees (Gc). To make this methodology simplified for the broad-scale application, the tested eight measurements could be integrated into two component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hich was labelled with 'the amount of plant materials' and 'vigor tren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use of these quantitative and multi-scale indicators underlies the importance of assessing various aspects of tree vigor condition, taking into account the response(s) on different time and spatial scale of pressure(s) shown in each evaluated module. Future study should be advanced for various species at diverse developing stages and environment, and the application to wide areas at a periodic manner.

한국에 있어서 임목에 기생하는 선충조사 I. 묘목기생선충에 관한 연구 (Nematodes Associated with Forest with Forest Trees in Korea I. Studies on Nematodes Associated with Saplings)

  • 최영렬;조명래;문일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0-68
    • /
    • 1992
  • 전국 8개도 림업시험양의 묘포장을 대상으로 묘목기생 선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119수종에서 2목 11화 20속 35종의 선충이 검출되었으며 이중에 Xiphinema insigne는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Geaeenamus n. sp. 는 신종으로 발견되었다.. 묘포장에서 선충검출율을 보면 남부임시묘포장에서만 Tiiehodorus sp.의 검출율이 71.4%로 Tylenehorhynehus claytoni의 57.1%보다 약간 높게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T. claytoni의 검출률이 각 포장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밀도 또한 매우 높았으므로 묘목에 기생하는 선충 중 하?점종임이 밝혀졌다. 각 모포장별 T. claytoni의 검출율은 충남임시묘포장에서는 15종의 묘목에서 전부 검출되어 100 %의 검출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강원 87.5%, 경북 66.6%, 전북 58.3%, 충북 4 48.1%, 경의 41.3%, 전남 40% 등의 순이었다. 주요 기생선충별 검출율을 보면 전북림시에 서는 Crieonemella morgensis가 검출율이 37.5%이고 밀도가 매우 높았으며, 전남림시에서는 Helicotylenehus digonicus 의 검출율이 35%이고 밀도가 매우 높았고, 충남림시에서는 Pararotylenehus pini 의 검출율이 37%로 밀도가 높았고, 경의림시에서는 Tylenehorhynehus nudus와 Crieonemella infarmis의 검출율이 각각 37.9, 27.5%로 밀도가 높았고, 강원림시에서 는 Meloidogyne sp.의 검출율이 12.5로 밀도가 매우 높았다.

  • PDF

황칠나무군락의 식생구조와 입지환경 분석을 통한 생육가능지역 추정 (Estimation of Possible Growing Area by Analysi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Habitat Environment of Dendropanax morifera Community)

  • 전영문;이은혜;이재석
    • 환경생물
    • /
    • 제28권1호
    • /
    • pp.30-39
    • /
    • 2010
  • 남해안 고흥, 해남, 완도, 보길도지역에 분포하는 황칠나무개체군 생육지의 군락구조와 종조성, 그리고 입지환경 등을 조사하였으며, 자생지의 기상요인을 분석하여 생육가능지역을 추정하였다. 황칠나무군락은 종조성의 차이에 의해 구실잣밤나무군과 서어나무군으로 구분되었다. 상대기여도에 의한 우점도값은 전체적으로 동백나무(100.0), 붉가시나무(88.6), 구실잣밤나무(55.8), 황칠나무(41.4), 마삭줄(23.8), 사스레피나무 (19.9), 광나무(11.5) 등 상록활엽수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개체군 분포는 서어나무군이 흉고직경 5 cm 미만의 개체가 전체의 94.2%로 구실잣밤나무군(54.2%)에 비하여 대부분 소경목과 유목의 개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생육지의 토양환경은 약산성의 토양산도, 유기물과 토양함수량이 양호하며 배수성이 좋은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육지의 분포 범위는 대체로 연평균기온이 $13^{\circ}C$ 이상, 일 최저기온이 $7.4^{\circ}C$ 이상, 온량지수(WI) $100^{\circ}C{\cdot}month$ 이상, 그리고 연강수량은 1,344 mm 내외로서 우리나라 서남부 도서와 해안에 인접한 상록활엽수림대 지역들이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황칠나무의 자연생육지에서 확인된 연평균기온 $13^{\circ}C$를 토대로 한 생육가능 등치선은 군산-정읍-광주-진주-포항-영덕을 잇는 선으로 나타났다.

토양중(土壤中) 카드뮴제거(除去)를 위(爲)한 식물(植物)의 재배이용연구(栽培利用硏究) (Studies on the Cadmium removal from Soil through crops cultivation)

  • 김복영;김규식;조재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1-115
    • /
    • 1989
  • 비오염지토양(非汚染地土壤)에 카드뮴을 15ppm 처리(處理)하고 비식용작물(非食用作物)인 섬유작물(纖維作物) 6종(種), 화훼작물(花卉作物) 4종(種), 묘목(苗木) 2종(種)과 수도(水稻)를 비교작물(比較作物)로 Pot 재배(栽培)하고 그 함량(含量) 및 흡수량(吸收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물체중(植物體中) 카드뮴 함량(含量)은 마리골드가 161.7ppm으로 수도(水稻)의 22.5배(倍)로 가장 높았으며, 왕골은 58.3ppm, 코레옵시스 58.0ppm, 해바라기 43.5ppm, 수세미 38.3ppm, 아마(亞麻) 31.9ppm의 순(順)으로 적었다. 2. 카드뮴의 흡수량(吸收量)은 은수원사시나무에서 24.11mg/pot로 가장 많았으며 수도(水稻)의 35.5배(倍)이었고 이타리안 포프라는 10.86mg/pot, 마리골드 9.61mg/pot, 양마(洋麻) 9.04mg/pot 등의 순위(順位)였다. 3. 토양중(土壤中) 카드뮴의 잔존량(殘存量)은 은수원사시나무가 재배(栽倍)된 토양(土壤)이 가장 적고 다음이 목화재배토양(木花栽培土壤)이였다. 4. 카드뮴의 식물체흡수량(植物體吸收量)과 토양중(土壤中) 잔존농도(殘存濃度)와는 유의성(有意性) 있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