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lance sauc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멸치액젓 및 까나리액젓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Fermented Anchovy Sauce and Sandlance Sauce)

  • 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2-255
    • /
    • 1999
  •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의 성분 특성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서 재래식 및 공장산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cdot$비교하였다. 재래식 멸치액젓 및 까나리액의 조단백질함량은 멸치액젓이 까나리액젓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pH은 재래식의 경우 멸치액젓이 6.78, 까나리액젓이 5.46이었고, 시판품은 양자 모두 이보다 낮은 5.06$\~$5.68이었다. 재래식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아미노질소함량은 각각 $888.9mg\%$ (w/v) 및 $813.5mg\%$ (w/v)이었고 산도는 각각 $17.6ml\%$ (v/v) 및 $27.7ml\%$ (v/v)였고 시판품은 양자 모두 이보다 약간씩 많았다. 액젓의 색조 비교에서, L값과 b값은 멸치액젓이 약간 높은 반면, a값과 ${\Delta}E$값은 까나리액젓이 높았다. 재래식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각각 $12.40g\%$ (w/v) 및 $9.549g\%$ (w/v)로서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멸치 액젓의 경우 alanine, glutamic acid, leucine, isoleucine, valine 및 Iysine 등이었으며, 까나리액젓에는 arginine,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및 valine의 함량이 많았다. IMP 함량은 재래식 멸치액젓 $12.1 mg\%$ (w/v), 까나리액젓 $67.8mg\%$ (w/v)로 서로 비슷하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HxR의 함량은 각각 $103.7mg\%$ (w/v) 와 $172.4mg\%$ (w/v)로 까나리액젓 쪽의 함량이 월등히 많았다. 양시료 액젓의 TMAO, TMA의 함량은 각각 $108.8mg\%$ (w/v), $60.5 mg\%$ (w/v) 및 $60.1 mg\%$ (w/v), $24.1 mg\%$ (w/v)로서 멸치액젓 쪽의 함량이 많았으며, 크레아틴의 함량은 $62.4\~67.6mg\%$ (w/v)로 양자가 서로 비슷하였다.

  • PDF

시판액젓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Fish Sauces)

  • 장미라;김일영;홍미선;신재민;한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23-431
    • /
    • 2004
  • 시판 액젓류에 대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품질평가방법 및 품질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현재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멸치액젓 19종과 까나리액젓 23종에 대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여 품질을 파악하고, 액젓류의 관능적 특성과 품질지표와의 상관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수분의 경우 멸치액젓은 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까나리액젓은 1종이 수산전통식품 품목별 품질기준을 초과하였다. 식염 농도의 경우 일부 제품에서 높은 식염함량을 나타내 국내 품질규격에 적합하지 않는 고식염 제품들이 제조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pH, 회분, 비중, 순추출물, 휘발성염기질소, 총질소 및 아미노산질소함량은 제조회사별로 다양하게 나타나 품질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들 중 총질소 및 아미노산질소함량이 식품공전규격이나 수산전통식품 품목별 품질기준에 미달인 제품이 멸치액젓 2종, 까나리액젓 3종이었으며, 멸치액젓에 국한한 한국산업규격인 총질소 1.2% 이상에 미달인 제품은 모두 4종으로 나타나 품질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와의 상관관계에서 현재 규격기준인 총질소와 아미노산질소 및 비중, 순추출물, 고형분, 휘발성염기질소가 상관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 품질평가 기준의 지표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 해저 암반수 김치의 제조 및 품질 평가 (Prepara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Kimchi using Mineral Water in Sea Rock)

  • 한영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9-125
    • /
    • 2005
  • A kind of mineral water obtained from the basing of deep under the sea was reported to have a characteristic mineral composition and its effect on the quality of Kimchi was evaluated in this study. Kimchi samples were prepared with NaCl and the mineral water under rock floor as sources of salt together with fermented seafoods and fermented at 20 for 6 days. The qualities of Kimchi were evaluated by analyzing the pH, acidity, number of viable cell, lactic acid bacteria, sensory properties and texture profiles during fermentation. The pH and total acid contents were not different among Kimchi samples. The microbiological changes were not observed in the samples. The sensory scores of Kimchi containing NaCI and fermented sandlance sauce, and of Kimchi containing the mineral water under sea rock floor with fermented seafoo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 On the other hand, Kimchis prepared with NaCl alone or mineral water under sea rock floor alone earned the lowest sensory scores among the tested samples with an exception of firmness of the sample made with the mineral water. As the Kimchi fermentation proceeds, the hardness value of Kimchi prepared with the mineral water became higher than that of Kimchi with NaC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ineral water under sea rock floor could be useful to keep the texture of Kimchi firm during the fermentation.

  • PDF

젓갈 및 젓갈 대용 부재료가 김치의 숙성 중 Angiotensin 전환효소 저해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ted-Fermented Fish Products and Their Alternatives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박덕천;박재홍;구연숙;한진희;변대석;김은미;김영명;김선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920-927
    • /
    • 2000
  • 김치제조에 널리 쓰이는 젓갈류 즉, 멸치젓갈(액젓, 저염 액젓, 육젓), 새우젓갈 및 저염 까나리액젓과 젓갈 대용물로서 굴 가수분해물, 명태육 가수분해물 및 청각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를 $20^{\circ}C,\;10^{\circ}C$$4^{\circ}C$에서 각각 숙성시키면서 숙성에 따른 아미노질소의 함량과 ACE 저해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젓갈류 첨가구의 경우, 아미노질소의 함량과 ACE 저해효과는 모든 숙성온도에서 숙성됨에 따라 어느 정도 증가한 후 대체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젓갈 대용물 첨가구의 경우, 아미노질소는 모든 숙성온도에서 각 시험구별 숙성에 따른 큰 변화 없이 $400{\sim}600\;mg/100\;g$의 함량을 보였으며 ACE 저해효과는 숙성 초기인 $1{\sim}2$일 사이에 급격한 상승 후 완만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첨가된 젓갈 및 젓갈 대용물 중에서는 저염 멸치액젓 첨가구가 모든 숙성온도에서 아미노 질소의 함량(>600 mg/100 g)과 ACE 저해효과 (>80%)가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젓갈 대용물도 ACE 저해효과 면에서 젓갈류에 못지 않은 좋은 효과를 보임으로써 ACE 저해 기능성 김치용 조미소재로 젓갈류와 함께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젓갈 및 젓갈 대용 부재료가 김치의 숙성 중 아질산염 분해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ted-Fermented Fish Products and Their Alternatives on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박덕천;박재홍;구연숙;한진희;변대석;김은미;김영명;김선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942-948
    • /
    • 2000
  • 김치제조에 널리 쓰이는 젓갈류 즉, 멸치젓갈(액젓, 저염 액젓, 육젓), 새우젓갈 및 저염 까나리액젓과 젓갈 대용물로서 굴 가수분해물, 명태육 가수분해물 및 청각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를 $20^{\circ}C,\;10^{\circ}C$$4^{\circ}C$에서 각각 숙성시키면서 숙성에 따른 아질산염의 함량과 그 분해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젓갈류 첨가 김치의 경우, 아질산염 함량은 $20^{\circ}C$ 숙성에서 새우젓갈 및 멸치액젓 첨가구가 한 때 증가하였으나 그 후 다시 감소하였으며 $10^{\circ}C$$4^{\circ}C$의 경우도 대체로 감소하였다(<5 ppm). 젓갈 대용물 첨가 김치의 경우, 아질산염 함량은 숙성초기에 크게 감소한 후 숙성됨에 따라 일정하게 낮은(<2 ppm) 함량을 유지하였다. 각 시험구의 아질산염 분해효과는 젓갈류 첨가구가 다소의 변동을 보였으나 숙성온도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대체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젓갈류 중에서는 저염 멸치액젓 첨가구가, 젓갈대용물 중에서는 굴가수분해물 첨가구가 90% 내외의 효과를 보여 타 시험구 $(70{\sim}80%)$보다 높은 아질산염 분해효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