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based soil mixtur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7초

Performance of Zoysia spp. and Axonopus compressus Turf on Turf-Paver Complex under Simulated Traffic

  • Chin, Siew-Wai;Ow, Lai-Fern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2호
    • /
    • pp.88-94
    • /
    • 2016
  • Vehicular traffic on turf results in loss of green cover due to direct tearing of shoots and indirect long-term soil compaction. Protection of turfgrass crowns from wear could increase the ability of turf to recover from heavy traffic. Plastic turfpavers have been installed in trafficked areas to reduce soil compaction and to protect turfgrass crowns from wea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raffic performance of turfgrasses (Zoysia matrella and Axonopus compressus) and soil mixture (high, medium and low sand mix) combinations on turf-paver complex. The traffic performance of turf and recovery was evaluated based on percent green cover determined by digital image analysis and spectral reflectance responses by NDVI-meter. Bulk density cores indicated significant increase in soil compaction from medium and low sand mixtures compared to high sand mixture. Higher reduction of percent green cover was observed from A. compressus (30-40%) than Z. matrella (10-20%) across soil mixtures. Both turf species displayed higher wear tolerance when established on higher sand (>50% sand) than low sand mixture. Positive turf recovery was also supported by complementary spectral responses. Establishment of Zoysia matrella turf on turfpaver complex using high sand mixture will result in improved wear tolerance.

옥수수 전분이 주성분인 토양보습제 첨가가 모래 배양토에서 한지형 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rnstarch-Based Absorbent Polymer on the Growth of Cool Season Turfgrasses in Sand-Based Mixture)

  • 최준수;양근모;안상현;조윤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5-84
    • /
    • 2008
  • 본 연구는 한지형 잔디 조성시 잔디 식생층에 혼합되고 있는 유기물 대용으로 옥수수 전분을 주성분으로 제조된 토양 보습제를 사용할 경우 조성 효율 및 토양 수분 보유능력을 평가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처리는 모래+유기물 (5%, v/v) 혼합 대조구, 모래+CAP $20g{\cdot}m^{-2}$ 혼합 처리구, 모래+CAP $20g{\cdot}m^{-2}$+유기물(5%, v/v) 혼합 처리구, 모래+CAP $40g{\cdot}m^{-2}$+유기물(5%, v/v) 혼합 의 4처리로 하였다. 파종 후 1개월 후 피복률은 모래+유기물+CAP $20g{\cdot}m^{-2}$ 및 CAP $40g{\cdot}m^{-2}$ 처리구가 50%로 나타나 유기물 단용 및 CAP 단용 처리구 36.7%에 비해 높은 피복률을 보였다. 또한 CAP 단용 처리구가 유기물 단용 처리구와 같은 수준의 피복률을 보인 것으로 보아 CAP 처리는 유기물 처리와 유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분얼경당 평균 건물중은 파종 1개월 후 조사에서 모래+유기물+CAP $20g{\cdot}m^{-2}$ 및 CAP $40g{\cdot}m^{-2}$ 혼합 리구가 유기물 단용 및 CAP 단용 처리구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분장력은 관수를 실시하는 기간에는 처리간에 변화가 없었으나, 건조기에는 수분 장력이 낮게 나타나 보습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다 정확한 결과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상기 결과로 볼 때 모래+유기물+CAP $20g{\cdot}m^{-2}$ 및 CAP $40g{\cdot}m^{-2}$ 토양 혼합처리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및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초기 피복률 증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MgO계 내화물이 함유된 팽창성 지반에서의 모형말뚝 거동 분석 (Behavior of Model Pile Embedded in Expansive Soil with Magnesia Oxide-Based Refractories)

  • 윤보영;김민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9권11호
    • /
    • pp.33-4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산화마그네슘계 내화물(Magnesium oxide-based refractory)을 함유한 팽창성 지반에서의 말뚝기초 거동을 분석하였다. 고정단 말뚝이 설치된 모형토조에 용융마그네시아(Fused magnesia, FM)를 활용하여 지반의 융기를 유도하였으며, FM함유량(FMc = 30%, 50%, 70%)을 변화하여 시간에 따른 깊이별 융기량과 말뚝의 축력을 분석하였다. FMc가 증가할수록 더 큰 융기량이 측정되었으며, 시료의 표면으로 갈수록 융기량이 누적되어 깊이에 따라 융기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깊이별 융기율의 차이와 그에 따른 팽창압의 차이로 인하여 FMc = 30%와 50%일때 말뚝에 뚜렷한 압축력과 인장력이 발현되었으며, FMc = 70%일 때에는 말뚝 전체에 인장력만이 발현되었다. 이런한 결과는 산화마그네슘계 내화물이 포함된 혼합토 내의 말뚝거동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nd freeze-thaw resistance of sand modified with sludge ash and polypropylene fiber

  • Gullu, Hamza;Fedakar, Halil 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3권1호
    • /
    • pp.25-41
    • /
    • 2017
  • In recent years, the amount of sludge ash (SA) has considerably increased due to rapid urbanization and population growth. In addition, its storage in landfills induce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health problems. Therefore, its disposal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has become more important.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usability of sludge ash as an additive with polypropylene fiber (PF) to stabilize marginal sand based on the compressive strength performances from UCS tests. For this purpose, a series of UCS tests was conducte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study, the used inclusion rates were 10, 15, 20 and 30% for sludge ash and 0, 0.5 and 1% for polypropylene fiber by total dry weight of the sand+sludge ash mixture and the prepared samples were cured for 7 and 14 days prior to the testing. Freezing and thawing resistance of the mixture including 10% sludge ash and 0, 0.5 and 1% polypropylene fiber was also examined. On the basis of UCS testing results, it is said that sludge ash inclusion remarkably enhances UCS performance of sand. Moreover, the addition of polypropylene fiber to the admixtures including sand and sludge ash significantly improves their stress-strain characteristics and post-peak strength loss as well as UCS. As a result of this paper, it is suggested that sludge ash be successfully reused with polypropylene fiber for stabilizing sand in soil stabilization applications.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ome environmental concerns such as the disposal problem of sludge ash, recycling, sustainability, environmental pollution, etc. as well as the cost of an engineering project.

간극공기압을 고려하는 불포화토의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Partially Saturated Soil Considering Pore-air Pressure)

  • 김재홍;황영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95-102
    • /
    • 2011
  • 불포화 지반을 이루고 있는 흙의 알갱이, 물과 공기의 연계해석이 전체 지반의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흙 알갱이와 물의 두 가지 요소로 해석되어지는 기존 관점과의 차이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원인을 비교하였다. 열역학적 가정을 토대로 평형방정식을 이용하여 불포화토 거동을 지배하는 물과 공기의 흐름 관계를 유한요속해석을 위한 수학적인 알고리즘을 유도하여 배수시험 수치해석을 통해 기존 문헌과 비교 검증하였다. 3상으로 이루어진 불포화토 거동을 통해서 흙의 알갱이와 물과의 상호작용에서 공기압의 역할을 분석하여 불포화 지반 내에 물과 공기의 두가지 흐름에 대해 지반공학적인 적용성을 알아보았다.

Predicting strength development of RMSM using ultrasonic pulse velocity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 Sheen, Nain Y.;Huang, Jeng L.;Le, Hien D.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2권6호
    • /
    • pp.785-802
    • /
    • 2013
  • Ready-mixed soil material, known as a kind of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 is a new way of soil cement combination. It can be used as backfill materials. In this paper,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nonlinear regression approach were applied to predic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ready-mixed soil material containing Portland cement, slag, sand, and soil in mixture. The data used for analyzing were obtained from our testing program. In the experiment, we carried out a mix design with three proportions of sand to soil (e.g., 6:4, 5:5, and 4:6). In addition, blast furnace slag partially replaced cement to improve workability, whereas the water-to-binder ratio was fixed. Testing was conducted on samples to estimate its engineering properties as per ASTM such as flowability, strength, and pulse velocity. Based on testing data, the empirical pulse velocity-strength correlation was established by regression method. Next, three topologies of neural network were developed to predict the strength, namely ANN-I, ANN-II, and ANN-III. The first two models are back-propagation feed-forward networks, and the other one is radial basis neural network. The results show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ready-mixed soil material can be well-predicted from neural networks. Among all currently proposed neural network models, the ANN-I gives the best prediction because it is closest to the actual strength. Moreover, considering combination of pulse velocity and other factors, viz. curing time, and material contents in mixture, the proposed neural networks offer better evaluation than interpolated from pulse velocity only.

평택 궁리유적 조선시대 회곽묘의 재료학적 특성 및 제작기법 해석 (Interpretation of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Making Techniques for Lime-Soil Mixture on Tomb Barrier of Pyeongtaek Gungri Site in Joseon Dynasty)

  • 강산하;이찬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1호
    • /
    • pp.49-65
    • /
    • 2018
  • 회곽묘는 조선시대 묘제의 한 형태로서 석회, 모래, 황토를 혼합한 삼물을 이용하여 곽을 축조한 무덤이다. 이 연구에서는 평택 궁리유적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회곽묘를 대상으로 제작방식에 따라 층벽식과 통벽식으로 구분하여 재료학적 및 제작특성을 검토하였다. 분석시료는 석회혼합물과 토양으로 분류하였으며 회곽의 제작방식에 따른 삼물의 혼합특성도 해석하였다. 회곽은 내부의 환경을 제어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벽체에서 상대적으로 석회함량이 높은 삼물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마감하는 층이나 바닥에는 상대적으로 석회함량이 적은 저품질의 삼물을 사용하였다. 전체적으로 층벽식보다 통벽식 회곽에서 석회함량이 높으며 물성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물의 혼합에 사용한 토양과 유구 주변의 토양이 광물학 및 지구화학적으로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삼물의 제조에 사용한 모래와 황토는 유구 주변에 분포하는 토양을 사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궁리유적 인근에는 대규모의 석회암 산지가 다수 분포하고 있다. 또한 아산만을 통해 유입되는 바닷길이 유적 인근까지 연결되어 수운 등의 방법을 통해 인근 산지에서 석회재료가 공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인공지반의 토양조성과 토양심도가 중엽형들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mixtures and Soil Depths on the Growth of Zoysia japonica for the Artificial Planting Ground)

  • 이은엽;문석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4-32
    • /
    • 1999
  • 인공지반의 환경조건에 적합한 토양을 개발하기 위해 토양종류(9종류)와 토심(10cm, 15cm, 20cm - 토양 5종류)을 달리했을 때의 들잔디의 생육상태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아율(발아개체수)은 밭흙에서 가장 저조하고, 공극률과 투수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버미큘라이트와 모래를 혼합한 토양(VSS, VSS, VS)에서 높게 나타났다. 2. 발병율(발병개체수) 역시 공극률과 투수능력이 상대적으로 불량한 밭흙에서 가장 높고, 버미큘라이트를 주재료로 한 V, VSH 토양에서 낮았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통기성과 투수능력이 양호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3. 생육상태(초장)는 버미큘라이트+모래+부숙톱밥을 혼합한 VSH, VSS 토양에서 좋았고 버미큘라이트에서 가장 낮았다. 이는 들잔디의 수직 생장효과(초장)가 토양의 물리적성질(통기성, 투수율 등) 외에도 유기질계의 토양개량재에 의해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4. 피복율은 발병율(발병 개체수)이 높고 발아세가 초기부터 불량했던 밭흙에서 가장 저조했으며, VSH(버미큘라이트20%+모래70%+부숙톱밥10%), VSS(버미큘라이트40%+모래50%+부숙롭밥10%) 토양에서 월등히 높았다. 5. 황변율은 VS(버미큘라이트70%+모래30%) 등 버미큘라이트 혼합토양에서 비교적 높고, SCS, SHS 등 유기질계 토양개량재 혼합율이 높은 토양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6. SCS(밭흙50%+훈탄30%+모래20%), SHS(밭흙50%+부숙톱밥30%+모래20%) 혼합토는 인공지반 녹지의 푸른기간 연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토심에 따른 들잔디의 생육은 대체적으로 토심 10cm보다는 토심 15cm, 20cm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간의 통계적인 유의차이가 토양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생육상태의 특성이 토심 뿐만 아니라 토양종류에도 영향을 받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수평생장(피복율)의 측정결과 토심 15cm구와 20cm구간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던 점으로 미루어 보아 토양종류에 따라서는 토심 15cm이 생존에 필요한 최소토심만이 아니라 생육상태도 양호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양종류에 따라서는 들잔디의 생육에 양호한 토심을 줄여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7. 토심에 따른 들잔디의 생육은 대체적으로 토심 10cm보다는 토심 15cm, 20cm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아율(발아개체수), 수평생장(피복율), 황변율의 측정결과 토심 15cm구와 20cm구간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던 점으로 미루어 보아 토양구성에 따라서는 토심 15cm가 생존에 필요한 최소토심만이 아니라 생육상태도 양호할 것으로 판단된다. 8. 본 연구결과는 현재까지 실시된 토양분석과 단기간의 들잔디의 생육결과이므로 인공지반의 토양구성과 들잔디의 생육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매립석탄회가 혼합된 인공혼합토의 전단특성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Soil Mixture with Pond Ash)

  • 김경오;박성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0호
    • /
    • pp.39-47
    • /
    • 2013
  • 최근 해안을 따라 산업단지 등을 조성하기 위하여 해성점토로 이루어진 준설토를 활용한 매립공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해성점토로 조성된 지반은 전단강도가 매우 작고 압축성이 크게되어 매립지반 위에 항만구조물, 도로 등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지반개량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설계 당시 예측한 거동과 실제 발생하는 거동이 상이한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반 조성 시에 모래 등 양질의 토사를 이용하여야 하나 토사 부족 및 경제적인 문제로 인해 준설된 해성점토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석탄회중 재활용되지 않고 매립되는 매립석탄회를 활용하여 준설토와 혼합하여 인공매립토를 조성하여 부지조성에 활용하고자 인공매립토의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따라, 점토와 매립석탄회 저회와 비회 혼합비율이 다른 인공매립토의 전단강도 특성을 살펴보았다. 실험에는 준설토를 대신하여 카올리나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시료성형기를 이용하여 총 6종류의 인공매립토 지반을 조성하였으며, 전단강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삼축압축시험(CU TEST)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매립석탄회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내부마찰각 증가, 점착력 감소, 간극수압계수(A)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매립석탄회 저회와 비회의 혼합에 따라 저회 보다 비회가 전단강도 및 간극수압계수(A)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석류 충격력 특성 평가를 위한 모형실험 연구 (A Study on Model Experiment for Evaluation of Debris Flow's Impact Force Characteristics)

  • 김진환;이용수;박근보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11호
    • /
    • pp.5-15
    • /
    • 2010
  • 산사태의 한 종류인 토석류(debris flow)는 물과 비교적 높은 농도로 섞인 암석, 자갈, 모래, 흙의 혼합물이 빠르게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토석류는 주로 장마철과 대풍이 지나가는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상기후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해 계절과 무관하게 토석류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발생시 나타나는 충격력의 특정을 파악하고자 2가지 자갈과 혼합시료를 이용하여 토석류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토석류 모형실험 결과, 토석류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력은 토석류 양에 비례하여 나타나지 않으며 토석류를 구성하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