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and-bar

Search Result 140, Processing Time 0.178 seconds

지형형태와 변화를 반영한 대조차 해빈 분류: 태안지역 해빈을 사례로(2017-2018) (Macrotidal Beach Classifications Considering Beach Profiles and Changes: The Case of Beaches in Taean Region (2017-2018))

  • 김찬웅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7-65
    • /
    • 2019
  • A case study was conducted in Taean region to seek a more detailed macrotidal beach classification than existing beach classification models (Masselink and Short, 1993). Seepage and ridge & runnel were used for classification. On 20 beaches, 68 transects were surveyed 5 times using VRS-GPS. Cross-section area from the transect profiles, mean grain size from sediment analysis, significant wave height from Swan-wave modeling and beach embaymentization from aerial photograph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types. The transects were classified into 5 types in Taean region; Type 1: low tidal terrace, Type 2: low tidal terrace & ridge, Type 3: dissipative, Type 4: seasonal ridge, and Type 5: ridge & runnel. Generally, seepage was related to coarse sediment size and ridge & runnel was related to high significant wave height. Each typ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there was a tendency between the types. The low tidal terrace type had coarse sediments, because this type is excluded from the littoral cell. In this study, the ridge and runnel type could be applied to the classification because the study area is limited only to the macrotidal environment in Taean region.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금강 하도내의 퇴적지형 변화 특성 연구: 공주보 개방 전·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epositional Landform Change in the Geum River Channel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Focusing on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Gate of Gongju Weir)

  • 윤혜연;윤광성;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13
    • /
    • 2021
  • In this study is aerial photos and UAV(Unmanned Aerial Vehicle) images were used t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depositional landform changes in the Geum river channels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gate of Gongju weir. Based on the depositional landform classification result, the main stream and the bare land occupied most of the area in all periods, and also found that the main stream, mid-channel island, and sand bar occupied a greater degree of area increase or decrease compared to other landforms in the classification item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depositional landform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gate of Gongju weir, it is judged that the depositional landforms have changed due to the decreased water level of the Geum river after the opening of the weir, the summer rainy season and typhoons, river stabilization after the effluence of Daecheong dam, supply and deposition of river sediments and fixation of vegetati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tudy of river depositional landforms and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and conservation plans for the landforms in river channels.

콘크리트 고온 가열 이후 CFRP와 GFRP의 부착강도 특성 (Post-Thermal Exposure Bond Strength Properties of CFRP and GFRP in Concrete)

  • 김주성;정수미;김영진;박선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09-517
    • /
    • 2023
  • 철근 부식을 해결하기 위해 FRP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CFRP는 경량화로 시공성이 용이하며, 내식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나 이형철근 대체제로 지목되고 있다. 하지만 CFRP는 섬유와 레진을 압착하여 만들어져 열에 취약한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CFRP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본 연구에서는 고온 가열 이후 CFRP와 GFRP의 부착강도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규사코팅 CFRP와 리브형 CFRP, GFRP 모두 비슷한 부착강도 발현을 보였다.

한강하구에서 하도변화와 식물천이의 상호작용에 따른 습지형성 기작 (Mechanism of Wetland Formation according to Interaction of River Bed Fluctuation and Plant Success in the Hangang River Estuary)

  • 이삼희;윤석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20-330
    • /
    • 2022
  • 하구둑과 같은 횡단구조물이 없는 자연 하구인 한강하구는 바다와 하천을 연결하는 생태통로로서 생물종 다양성이 풍부하여 생태 가치가 높다. 한강하구에서는 유사분급이 입체적으로 다양하게 분포하여 기후변화 및 하천개발 등과 같은 여러 변화 요인에 따라 하상구조가 민감하게 변하는 특성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하도육역화와 하도복단면 발달의 원인이 된다. 국가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장항습지에서는 하도 지형변화에 따라 식물천이가 현저하다. 본 연구 목적은 이에 대한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습지형성 기작을 규명하는 데 있다. 조사연구 결과, 인위적으로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초기의 장항습지가 이후 성장하는 과정에 유량에 따른 하도 미지형 변화와 식물천이 사이에 상호 밀접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하상의 주재료(모래)가 아닌 부재(Sub-materials of river bed)인 점성의 표층 하상재료(워시로드 성질의 미세립사)가 선구식물(새섬매자기 등)에 포집되면서 복단면 형태(습지)로 성장하는 데 매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습지가 하도복단면 형태로 발달한 후에는 선구식물이 다른 식물종으로 천이되는 양상도 나타났다.

지지부재로 이형철근을 설치하는 띠형 강보강재의 인발성능 평가 (The Evaluation for Pullout Performance of Steel Strip Reinforcements with Deformed-Bars as Transverse Members)

  • 정성규;김주형;조삼덕;이광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77-8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지부재가 설치된 띠형 강보강재에 대한 실내인발시험을 수행하였다. 주문진 표준사를 사용하여 상대밀도 80%인 모형지반을 조성하였고, 지지부재의 개수를 0~2개로 구분하여 실내인발시험을 수행하였다. 상재압은 $50kN/m^2{\sim}200kN/m^2$까지 4단계로 구분하여 적용하였고, 1mm/min 속도로 강보강재를 인발하였다. 표면이 매끄러운 띠형 강보강재의 인발저항력은 보강재 표면과 지반 사이에서 마찰저항만 발현되기 때문에 인발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다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반면, 지지부재를 설치한 강보강재의 인발저항력은 마찰저항뿐만 아니라 수동저항도 함께 발현되므로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강재의 형태에 관계없이 최대인발저항은 상재압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부재를 1개 설치한 경우에 비해 지지부재를 2개 설치했을 때의 최대수동저항은 작게 나타났다. 이는 지지부재의 설치 간격 및 위치에 따라 지지부재에서 발현되는 수동저항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되며, 지지부재 설치 위치 및 간격에 따른 추가 인발시험을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D정수장 정밀여과막 실증플랜트의 최적 운전조건 연구 (A Study on Operating Condition of Test-Bed Plant using Membrane filtration of D Water Treatment Plant in Gwang-Ju)

  • 양형재;이승훈;문경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55-163
    • /
    • 2017
  • 최근 막여과 공정은 입자상 물질뿐만 아니라 Giardia, cryptosporidium과 같은 병원성미생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됨에 따라 국내외 적용성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D정수장의 원수 침전상등수의 처리를 위해 $120m^3/d$ 처리규모의 Pilot Plant (2014. 1월부터 운영)와 $2,500m^3/d$ 처리규모의 실증실험시설(2015. 1월부터 운영)의 막여과 공정을 운영하면서 최적 운전조건과 한계여과속도를 찾고자 하였다. 정밀여과막의 Pilot-test에서 얻어진 운전모드는 유입 1.0분, 여과 36.5분, 공기역세 0.9분, 역세 1.0분, 배출 1.0분이었으며, 이를 적용하여 실증실험을 하였다. 한계여과속도(critical flux)는 Pilot 운전에서 Flux 20, 40, 56 및 62 LMH일 때의 시간의 변화에 따른 막간차압의 증가식을 기반으로 $50L/m^2-h$로 산정(TMP 0.5bar 이내)되었다. 화학세정은 1차로 산세정 2회, 2차로 알칼리 세정을 하여 95%의 회복율을 얻었다. 이러한 적정 조건으로 운전한 결과 처리수의 탁도는 봄 여름 가을 겨울 평균 각각 0.028, 0.024, 0.026 및 0.028 NTU, 연평균 탁도는 0.026 NTU로, 탁도 제거율은 98.4%로 나타났다. 광주광역시 D정수장의 원수 침전상등수를 1일 $2,500m^3$ 처리하는 실증실험시설 운영을 통해 부유고형물 및 콜로이드성 물질을 제거하는데 탁월한 처리성능을 확인하였고, 일반적인 모래여과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적정운영기술이 확보되었다.

메타카올린과 폐타이어 잔입자를 사용한 고강도콘크리트의 내화성능에 관한 기초적 연구 (Fundamental Study of Fire-Proof Characteristics of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Meta-Kaolin and Waste Tire Chip)

  • 이문환;이세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89-97
    • /
    • 2008
  • 메타카올린을 시멘트 치환재로, 잔골재를 폐타이어 잔입자로 일부 치환시킴으로써 건축물 화재시 고강도콘크리트를 폭렬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내부에 배근된 철근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방법의 검토 및 이들 재료를 혼입한 고강도콘크리트의 기초적 성상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메타카올린은 콘크리트 자체의 내화성을 향상시키며, 고강도콘크리트의 내부 팽창압의 상쇄 기능을 폐타이어 잔입자가 분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부적으로는 메타카올린을 시멘트에 대해 4$\sim$8%의 중량비로, 폐타이어 잔입자를 0.6$\sim$3 mm의 입도 범위를 사용하며, 잔골재인 모래에 대해 5$\sim$10%의 중량비로 치환하는 것이 고강도콘크리트의 폭렬 방지를 위해 유효한 배합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알루미늄합금(合金) 주물(鑄物)의 급탕(給湯)거리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eeding Distance of Aluminium Alloy Casting)

  • 정운재;김동옥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21
    • /
    • 1983
  • In order to determine the feeding distance of aluminiun alloys (Alsi7Mg and AlCu4Ti) bar castings in the sand mold, the distance of the sound castings has been observed by radiograph for various risers, melt treatment, and casting design. Variation of porosity and hardness with the distance from the riser were also measu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casting soundness. The results obained were as follows; 1) The modulus of riser should be 1.4 times of the casting`s 2) The maximum distance which can be made sound is greatly dependent on chemical composition and ingate location, and follows the rules given by the formula; a) When the melt flows into the casting first, and the riser afterward, D = 37.7 ${\sqrt{T}}$ for AlSi7Mg D = 31.2 ${\sqrt{T}}$ for pure aluminium D ${\ge}$ 54.8 ${\sqrt{T}}$ for AlCu4Ti Where T = casting thickness in mm Of this maximum distance, $aa{\sqrt{T}}$ for AlSi7Mg and 7.5 ${\sqrt{T}}$ for pure aluminium is made sound by the chilling effect of the casting edge. b) When the melt flows into the casting passing through the riser, $30{\times}30{\times}600mm$ bars can be made sound in all cases 3) Percentage of porosity is higer in AlCu4Ti than AlSi7Mg. And it is increased gradually by moving closer to the riser in case of $30{\times}30{\times}600mm$ bars, but for the $30{\times}30{\times}600mm$ bars it is increased gradually by moving closer to the center of bars. 4) Hardness variation is similar to the tendency of porosity. And it decreased gradually with approaching to the center in case of $30{\times}30{\times}600mm$ bars.

  • PDF

한강 하구 습지복원을 위한 장항습지의 사주 지형변화 및 식생정착 (Topographical change of sandbar and vegetation settlement in Jang-Hang wetlands for Han River Estuary Wetlands Restoration)

  • 안홍규;김시내;정상준;이동준;이삼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77-288
    • /
    • 2012
  • 기수역은 하천의 종횡단 방향으로 수질 하안 저질 재료 및 미지형이 변화하는 환경변화가 매우 큰 공간으로 이러한 환경의 질적 차이에 의하여 생물 서식처가 달라지는 특수한 공간이다. 본 연구는 신곡 수중보의 건설과 수중보 하류의 과도한 준설 등이 수리적인 여건 변화를 제공하였고 이로 인하여 사주 변화가 급격히 진행된 한강의 장항습지를 대상으로 하구습지의 공간적 변화 추이와 장항습지의 물리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사주부 식생의 정착과 확장과정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장항습지의 사주면적은 1985년과 비교하여 2006년도에는 6배정도로 습지가 확장되었고, 갈대군락은 점차 감소하는 반면 선버들 군락은 증가하였다. 또한 토층분석 결과 장항습지는 하천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습지의 중류역에서부터 목본류가 정착하여 상하류로 확산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립조도와 하상형상조도를 고려한 내성천 하류의 흐름저항 분석 (Flow Resistance Analysis for Lower Naesung Stream Considering Grain and Bedform Roughness)

  • 지운;김지성;이찬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12호
    • /
    • pp.1209-122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내성천 하류 구간을 대상으로 검보정된 1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흐름모의를 수행함으로써 추정된 구간 조도계수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실측 및 모의된 수리조건을 이용하여 향석 지점에서의 하상형태 예측을 수행하였으며 사립조도에 의한 흐름저항 계수 값을 고려하여 총 흐름저항 조도계수를 산정하였다. 수치모의에 의해 추정된 구간 조도계수와 사립조도 및 하상형태에 의한 흐름저항 계수를 추정한 결과 값을 상호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저수류 영역 흐름에서는 사립조도 및 하상형태에 의한 흐름저항 외에 식생, 만곡도, 사주 등의 기타 요인들에 의한 영향이 크게 반영되어 수치모의 상의 조도계수 값이 사립조도 및 하상형태에 의해 추정 가능한 조도계수 범위보다 크게 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00m^3/s$ 이상의 천이구간 및 고수류 영역에서는 사립조도 및 하상형태 예측에 의한 조도계수 범위에 수치모의에 의해 검증된 Manning 조도계수가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