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 Box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7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을 보이는 대학생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in a College Student with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우희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55-69
    • /
    • 2010
  • A college student who exhibited several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was used as a case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sandplay therapy for PTSD sufferers. In total, 27 sessions of the sandplay treatment program were used to conduct psychological tests before and after the sessions. Any changes in the manner of expressions on the sand box during the treatment, and the results of pre and post psychological tests on aspects of depression, anxiety and interrelationships were analyzed. Overall results showed that the subject exhibited progressive behavioral improvement and signs of recovery. Psychological tests revealed reduced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improved interrelationship scores. In conclusion, sandplay therapy does exhibit positive benefits a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PTSD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온오프라인 연계 관광 메타버스 개발 (Development of On/Offline Mixed Metaverse for Tourism Industries)

  • 이범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611-612
    • /
    • 2022
  • 메타버스는 게임 기술을 활용하여 현실의 다양한 현상이나 경제 활동들을 가상의 세계로 구현하고 이를 실세계와 유사하게 동작하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일컫는 말로서 최근의 코로나19 펜데믹 상황과 맞물려 주목 받고 있는 게임 확장 기술군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해 지역 대표 관광지의 시그니처(signature) 구조물들과 공간을 메타버스 플랫폼 상에 구현하고 구현된 공간에서 사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관광 수요를 촉진시키며, 오프라인 이벤트와의 유기적인 연동을 통해 궁극적인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온오프라인 연계 메타버스 콘텐츠를 구현한다. 구현된 메타버스 콘텐츠에서는 개인별로 설정된 캐릭터를 활용해 구현된 가상 공간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가상 공간에서 체득된 정보를 온라인 상에서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관광 메타버스 콘텐츠는 샌드박스형 메타버스 플랫홈으로 개발된 디토랜드를 기반으로 한다.

  • PDF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불균질 매질에서 유기오염물(NAPL)의 정화효율에 관한 실험 (Study of Surfactant Enhanced Remediation Methods for Organic Pollutant(NAPL) Distributed over the Heterogeneous Medium)

  • 서형기;이민희;정상용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4호
    • /
    • pp.51-59
    • /
    • 2001
  • 불균질 매질 내 분포하는 비 수용성 유기오염물(NAPL; non-aqueous phase liquid)을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원위치 정화 방법으로 정화하는 칼럼 및 박스실험을 실시하였다. Ottawa 모래를 이용한 균질 칼럼실험을 통하여 NAPL에 대한 계면활성제용액의 정화 효율 증가를 검증하였고, 실제 오염지역의 토양을 이용한 칼럼실험을 통하여 불균질 토양에서의 정화 효율을 측정하였으며, 불균질 층리 구조와 단층구조를 모형화한 2차원 박스를 사용한 NAPL 정화 실험을 통하여 불균질 매질에서의 정화 효율을 규명하였다. LNAPL 오염원으로 o-xylene이, DNAPL 오염원으로 PCE(tetrachloroethylene)가 이용되었고, 계면활성제로는 비이온성 올리에마이드(oleamide)가, 매질로는 유류로 오염된 오염지역으로부터 채취한 실제토양과 Ottawa 모래가 실험에 사용되었다. 1% 계면활성제용액과 증류수를 주입하여 NAPL을 세정하였고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를 이용하여 NAPL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균질 Ottawa 모래충진 칼럼의 경우 계면활성제를 주입할 경우가 증류수를 주입할 때보다 o-xylene의 최대유출농도가 약 460배, 불균질 토양의 경우 약 250배, 불균질 층상구조에서는 약 150배 증가를 나타내었다. 불균질 매질에서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세정법(flushing method)으로 NAPL을 정화시, 균질 매질에서의 정화 효과보다는 정화 효율이 감소하나, 여전히 증류수만을 이용한 세정방법보다 훨씬 높은 정화 효과를 보이며, 빠른 시간 내에 NAPL이 정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불균질 매질에서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토양세정방법의 효율성이 정량화 되었으며,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채수주입법의 현장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산이온의 탄소의 $\delta$$^{13}$C(PDB)값은 -6.2~0.0$\textperthousand$범위이며, 그 기원은 대수층인 지층내 탄산염암 또는 탄산염 광물의 용해에서 유래한 무기기원 탄소로 해석된다.다.으로 변화하였으며 치료 전에 반응하지 않던 항원에 새롭게 반응하는 항체가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었다.ms of chlorophyll-a concentration estimation, however, the accuracy stays very similar compared to that of the CZCS-type algorithm. This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nature of in-water algorithm which relies on spectral ratio of water-leaving radiances.ethanol의 혈중농도(血中濃度)가 높을수록 더 심(甚)한 혈압강하작용(血壓降下作用)을 나타내며, ethanol 로 인(因)한 이뇨작용(利尿作用)도 ethanol 량(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뇨량(尿量)도 증가(增加)함을 보여 주었다.ults showed that the overall quality of Sullungtang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parity increased for Hanwoo cows. The Sullungtang extracted from bones of heifer had the best sensory scores as well as nutritional quality when compared to those extracted from the cows with parity. Therefore,

  • PDF

인공 하수 주입 및 양수에 따른 대수층의 수리학적 특성 연구 (Investigation on Hydraulic Properties According to Artificial Recharge and Extraction)

  • 강정옥;이소정;김창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95-1005
    • /
    • 2005
  • 지하수 과도 개발에 따라 연안 대수층에 발생하는 해수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인공 하수처리수의 대수층 함양수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sand box를 이용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인공 하수처리수의 함양에 의한 해수침투 경계면의 이동 억제 및 회복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공 대수층 내에서 양수, 저장, 인공 하수 처리수 주입의 변화에 따른 해수/담수 경계면의 수리학적 거동 특성을 평가하였다. 주어진 실험 조건에 따른 해수/담수 경계면의 변화는 Surfer 8(Golden Software, USA)에 의하여 도시화 되었다. 해수와 담수의 경계면은 양수량의 변화에 의하여 민감하게 영향을 받았으며 양수량을 감소시키더라도 경계면의 담수대 이동 속도는 더욱 증가하였다. 그러나 함양량이 감소할 경우 오히려 경계면이 담수대로 이동하는 속도는 감소하였다. 염수의 침투는 함양과 양수가 동시에 이루어질 때보다 양수를 하지 않으면서 함양이 이루어진 경우 더욱 저지되었으며 염수의 염도는 인공 함양수에 의해 희석되어 저하되었다. 결론적으로 인공함양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경우 지하 대수층의 담수 자원을 안정하게 이용하는 동시에 해수침투를 수리학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뽕나무 고조섭목에 관한 연구 I. 섭목방법 및 시기가 활착률에 미치는 영향 (Studes on the Hardwood Cutting of Mulberry(Morus alba L.) I. Effect of Cutting Methods and Seasons n Rootability)

  • 이동한;김동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14
    • /
    • 1986
  • 고조삽목의 실용화를 위해, 삽상의 종류, 상토, 삽목시기, 발근촉진제의 효과, 삽목전처리, 삼수채취부위 등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삽목방법 중 활착률이 가장 높은 구는 사토에서 유합조직을 형성시킨 후 삽목하는 구였으며, 보온못자리구에서는 완전히 고사하여 가장 낮았다. 2. 삽목적기는 3월 26일로 이때에는 수상자, 사토상토를 제외하고 활착률 100%를 보였다. 3. 삽목채취 부위별 활착률은 상<중<하부 순으로 높았으나, 유합조직구에서는 중부에서 70-100%의 높은 활착률을 보였다. 4. 발근촉진제 Rootone-F 포도는 지조상·중부, 그리고 온상 20cm구에서 포도하지 않은 것보다 활착률을 높였으나, 다른 구에서는 뚜렷한 효과가 없었다. 5. 상토의 토성은 활착률에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는다. 6. 삽목전 처리 중 3월 15일 채취, 빙고에 저장하였다가 삽목하거나, 유합조직의 형성후 삽목하는 경우 타처리에 비해 현저히 활착률이 높았으며, 채취후 방치하였다 삽목하는 전혀 활착되지 않았다.

  • PDF

Comparison of numerical and analytical solutions for reinforced soil wall shaking table tests

  • Zarnani, Saman;El-Emam, Magdi M.;Bathurst, Richard J.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권4호
    • /
    • pp.291-321
    • /
    • 2011
  • The paper describes a simple numerical FLAC model that was developed to simulate the dynamic response of two instrumented reduced-scale model reinforced soil walls constructed on a 1-g shaking table. The models were 1 m high by 1.4 m wide by 2.4 m long and were constructed with a uniform size sand backfill, a polymeric geogrid reinforcement material with appropriately scaled stiffness, and a structural full-height rigid panel facing. The wall toe was constructed to simulate a perfectly hinged toe (i.e. toe allowed to rotate only) in one model and an idealized sliding toe (i.e. toe allowed to rotate and slide horizontally) in the other. Physical and numerical models were subjected to the same stepped amplitude sinusoidal base acceleration record.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component materials (e.g. backfill and reinforcement) were determined from independent laboratory testing (reinforcement) and by back-fitting results of a numerical FLAC model for direct shear box testing to the corresponding physical test results. A simple elastic-plastic model with Mohr-Coulomb failure criterion for the sand was judged to give satisfactory agreement with measured wall results. The numerical results are also compared to closed-form solutions for reinforcement loads. In most cases predicted and closed-form solutions fall within the accuracy of measured loads based on ${\pm}1$ standard deviation applied to physical measurements. The paper summarizes important lessons learned and implications to the seismic design and performance of geosynthetic reinforced soil walls.

Uniform large scale cohesionless soil sample preparation using mobile pluviator

  • Jamil, Irfan;Ahmad, Irshad;Ullah, Wali;Junaid, Muhammad;Khan, Shahid Al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8권5호
    • /
    • pp.521-529
    • /
    • 2022
  • This research work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air pluviation method for preparing uniform sand specimens for conducting large scale laboratory testing. Simulating real field conditions and to get reliable results, air pluviation method is highly desirable. This paper presents a special technique called air pluviation or sand raining technique for achieving uniform relative density. The apparatus is accompanied by a hopper, shutters with different orifice sizes and numbers and set of sieves. Before using this apparatus, calibration curves are drawn for relative density against different height of fall (H) and shutter sizes. From these calibration curves,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relative density of 60%, the shutter size of 13mm and height of fall of 457.2 mm, are selected and maintained throughout the pluviation process. The density obtained from the mobile pluviator is then verified using the Dynamic Cone Penetrometer (DCP) test where the soil is poured in the box using defined shutter size and fall heigh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DCP test are averaged as 60±0.5 which was desirable. The mobile pluviator used in this research is also capable of obtaining relative densities up to 90%. The instrument is validated using experimental and numerical approach. In numerical study, Plaxis 3D software is used in which the soil mass is defined by 10-Node tetrahedral elements and 6-Node plate is used to simulate plate behavior in the validation phase. The results obtained from numerical approach were compared with that of experimental one which showed very close correlation.

배수조건에 따른 액상화 수치모델의 거동평가 (Evaluation of the Numerical Liquefaction Model Behavior with Drainage Condition)

  • 이진선;김성남;김동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11호
    • /
    • pp.63-74
    • /
    • 2019
  • 동적원심모형 시험 결과를 기준으로 액상화모델과 응답이력해석 절차에 대한 검증을 시행하였다. 사용된 동적원심모형시험 결과는 LEAP-2017(Liquefaction Experiments Analysis Project)의 일환으로 시행된 결과이다. 시험을 위한 모형지반은 오타와 F-65모래를 이용하여 강성토조 내부 수면아래 상대밀도 55%, 표면경사 5°로 조성되었다. 진폭이 변화하는 주파수 1Hz 사인파형 입력운동을 강성토조 하단에 가진하였다. 수치해석은 원심모형시험의 원형스케일에 대해서 2차원 유한차분 해석기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지반은 전단파괴 이전 이력감쇠를 나타내며 전단 파괴기준은 Mohr-Coulomb 모델을 따르도록 모델링 되었다. 정적평형 후 반복하중으로 인한 간극수압의 변화를 묘사하기 위하여 Byrne의 액상화 모델을 적용하였다. 액상화 해석에 적합한 흐름조건을 확인을 위하여 수치해석은 배수 및 비배수 조건으로 시행하였으며, 비배수 해석조건에서 시행된 수치해석결과가 원심모형시험과 유사한 결과를 제시함을 알 수 있었다.

Investigation on the flexural behaviour of ferrocement pipes and roof panels subjected to bending moment

  • Alnuaimi, A.S.;Hago, A.W.;Al-Jabri, K.S.;Al-Saidy, A.H.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33권4호
    • /
    • pp.503-527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experimental results on the behaviour and ultimate load of fifteen pipes and six roof panels made of ferrocement. Additional results from three roof panels, carried out by others, are also compared with this research results. OPC cement, natural sand and galvanised iron wire mesh wer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20 mm thick specimens. The pipe length was 2 m and roof panel length was 2.1 m. The main variables studied were the number of wire mesh layers which were 1, 2, 3, 4 and 6 layers, the inner pipe diameter which were 105, 210 and 315 mm, cross sectional shape of the panel which were channel and box sections and the depth of the edge beam which were 95 mm and 50 mm. All specimens were simply supported and tested for pure bending with test span of 600 mm at mid-span. Tests revealed that increasing the number of wire mesh layers increases the flexural strength and stiffness. Increasing the pipe diameter or depth of edge beam of the panel increases the cracking and ultimate moments. The change in the pipe diameter led to larger effect on ultimate moment than the effect of change in the number of wire mesh layers. The box section showed behaviour and strength similar to that of the channel with same depth and number of wire mesh layers.

동결토 전단강도를 활용한 동착강도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Predicting Adfreeze Bond Strength from Shear Strength of Frozen Soil)

  • 최창호;고성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0호
    • /
    • pp.13-23
    • /
    • 2011
  • 동토기반 말뚝기초의 지지력은 말뚝구조물 표면과 주변 토사의 접촉면에서 발현되는 동착강도에 의해 산정되며, 이는 동착-강도가 동토지반 기초설계를 위한 가장 주요한 설계정수임을 의미한다. 동착강도는 토사종류, 동결온도, 말뚝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지중응력, 재하속도, 말뚝구조물의 표면 거칠기 등 다양한 인자들에 동시다발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960년대부터 동토지반 기초설계를 위한 동착강도 산정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으나, 대부분 동결온도와 말뚝구조물 표면특성에 대한 영향은 고려하고 있는 반면 동착강도의 주요 영향인자 중 하나인 지중응력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소정깊이 이상의 말뚝기초 설계를 위한 동착강도 산정방법으로 활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결온도뿐 아니라 지중응력이 동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직접전단시험기를 활용한 동결토 전단강도 및 동착강도 측정실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전단강도와 동착강도는 모두 동결온도 조건이 낮아질수록, 혹은 수직응력 조건이 커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단강도와 동착강도의 정량적 관계분석을 위해 정의된 전단강도와 동착강도의 비 $r_s$는 초기 동결온도에서는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동결온도가 낮아질수록 증가하며 수렴구간을 형성해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인 연구결과로서 동결온도 및 수직응력 조건을 바탕으로 결정된 $r_s$값을 이용하여 동결토의 전단강도로부터 동착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