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3초

젓갈의 종류 및 첨가수준에 따른 배추 김치의 발효기간 중 특성변화 (Changes in Propertie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and Levels of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during Fermentation)

  • 김광옥;김원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4-330
    • /
    • 1994
  • 소금만으로 짠맛을 낸 김치를 대조군으로 하고 염도가 동일하도록 소금과 새우젓 또는 멸치액젓을 각각 두 수준으로 첨가하여 배추 김치를 제조하여 $20^{\circ}C$에서 발효하는 동안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김치군의 pH는 감소하고 총산함량은 증가하다가 후기에는 그 정도가 완화되었다. 특히 발효 초기에 새우젓군의 pH 감소가 현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전 발효기간을 통해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고젓가군, 저젓갈군의 순서로 감소되었고,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김치군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발효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malic acid와 succinic acid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증가하였다. 전 발효기간을 통하여 lactic acid는 젓갈군이 대조군보다, 고젓갈군이 저젓갈군보다 그리고 새우젓군이 멸치젓군보다 측정치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총균수와 Leuconostoc속 미생물 수는 발효가 계속될수록 증가하다가 4일 이후에는 감소하였으며, Lactobacillus plantarum의 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 중 탄산미, 짠맛, 신맛, 군덕내는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김치군이 점점 더 강하고 경도와 아삭아삭한 정도는 점점 더 약하게 평가되었으며, 젓갈군의 신맛이 대조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약간 강한 경향이 있었다.

  • PDF

시판젓갈류의 품질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Quality Evaluation of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 이경행;김재훈;차보숙;김정옥;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27-1433
    • /
    • 1999
  • 시판 젓갈류의 품질표준화 및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품질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현재 국내에서 수요가 많은 새우젓, 오징어젓 및 조개젓을 대상으로 미생물적, 관능적 및 화학적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시판 새우젓의 관능검사 결과와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상관계수가 0.913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약 $150{\sim}300\;mg%$ 범위에서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이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았다. VBN 함량은 약 $25{\sim}70\;mg%$ 정도로 함량이 많을수록 기호도가 높았고 관능검사 결과와 높은 상관관계(0.7607)가 있어 새우젓 제품의 품질평가에 적합하였다. 시판 오징어젓은 pH가 6.0이상이었을 때 기호도가 높아 관능검사와의 상관계수가 0.8467로 나타나 단순히 pH만으로도 오징어젓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으며 VBN 함량은 30 mg%이하의 제품에서 기호도가 높았으며 상관계수도 0.9581로 가장 높게 나타나 pH와 함께 품질평가에 적합한 실험항목이었다. 시판 조개젓은 VBN의 함량이 40 mg% 미만이었으며 함량이 낮을수록 관능검사 결과가 높아 관능검사와의 회귀분석에 의한 상관계수는 0.9497로 높게 나타나 조개젓의 품질평가에 적합하였다.

  • PDF

젓갈 및 수산물 첨가 김치에 대한 주부의 기호도 및 의식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usewives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Seafoods and Fermented Seafoods Add Kimchi)

  • 김은미;김영명;조진호;우순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26
    • /
    • 1998
  • 본 연구는 김치첨가용 수산부재료(젓갈류 포함)의 사용현황과 문제점, 개선방향 등을 조사하여 수산물 첨가김치의 과학적 제조기술 및 산업화를 위한 김치조미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코져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주로 $30{\sim}50$세 연령대의 가정주부였으며 가족형태는 핵가족 형태로 월평균소득이 $100{\sim}200$ 만원대의 중간소득층이었다. 김치의 기호도는 조사대상자의 65.3%가 매우 좋아 하는 필수식품으로 아직은 우리나라 부식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매일 먹지 않아도 크게 불편하지 않다 6.0%, 싫어한다 0.5%로 나타나 향후 상용식품으로서의 김치의 입지가 변할 것으로 생각된다. 김치를 담글 때 젓갈과 수산물을 첨가하는 이유는 김치의 맛과 냄새를 좋게 하기 때문에, 김치의 영양가를 높여주기 때문에가 각각 79.5%와 54.2%로 나타났으며 첨가하지 않는 이유는 주로 맛과 냄새를 좋지 않게 하기 때문에, 젓갈이 위생상태가 불안해서, 김치를 오래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가 각각 13.5%, 1%, 12.8% 로 나타났다. 김치첨가용 수산부재료중 가장 선호하는 젓갈은 멸치젓(84.9%)과 새우젓(69.1%)이었으며 가장 선호하는 수산물(해조류 제외)은 생굴(76.4%)과 작은 생새우(54.7%)이었고 가장 선호하는 해조류는 청각(58.8%)으로 나타났으나 수산물(해조류 제외)을 사용하지 않는다가 15.3%로 해조류를 사용하지 않는다가 31.4%로 나타났다. 김치의 국제적 발전을 위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한국김치의 식품학적 특성을 살리되 풍미를 국제감각에 맞도록 발전(86.5%)시키고 위생적 안정성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50.9%)고 응답하였다.

  • PDF

김치 독자성의 근거와 형성 과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Basis and Formation Process of Kimchi's Uniqueness)

  • 박채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65-273
    • /
    • 2021
  • The Chinese Sigyeong records the foods of the Primitive Pickling Period, pickling being a universal vegetable storage method, but does not indicate the origin of the pickled vegetables or the location of the source of transmission. Kimchi mainly used salt and sauce-based soaking materials at the beginning of the Fermented Pickling Period (beginning in the 1st to 3rd centuries A.D.), and it differed from the Chinese method, which used alcohol and vinegar. In the Umami-Flavored Pickling Period (beginning in the 14th and 15th centuries A.D.), jeotgal, fermented seafoods, were added, and pickles with a completely new identity were created, one different from any other pickles in the world. Lastly, entering the Complex Fermentation and Pickling Period (beginning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technical process evolved using a separate special seasoning containing red pepper as the secondary immersion source after pickling in brine, the primary immersion source. As a result of this, kimchi was transformed into a food with a unique form and taste not found anywhere else.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kimchi is that the composition of original materials, a combination of salted marine life and vegetable ingredients, is its core identity, and there is a methodological difference in that it is completed through a second process called saesaengchae (生菜)-chimchae (沈菜).

저식염 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8. 저식염 자리돔젓의 정미성분 및 지방산 조성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foods 8. Taste Compoun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ow Salt Fermented Damsel Fish, Chromis notatus)

  • 하진환;한상원;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2-320
    • /
    • 1986
  • 식염농도를 낮게 한 자리젓의 정미성분을 구명하기 위하여 젖산, 솔비톨 및 에틸알코올을 첨가하여 담금한 저식염 자리돔젓 숙성중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TMA, TMAO, 총 creatinine 및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실험하였다. 저염자리젓은 숙성 60일경에 가장 맛이 좋았으며 VBN은 숙성 10일째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숙성 85일후에도 식염농도 $8\%$의 시료와 $10\%$의 시료가 각각 113mg/g 및 83mg/100g을 나타냄으로서 식염농도 $20\%$의 시료보다 더 적은 값을 나타내었다. 아미노질소도 숙성 10일째에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고 이후 60일까지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85일째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원료에는 lysine, taur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proline 및 alanine 이 많아 전 유리아미노산의 $58.8\%$를 차지하였으며 arginine과 tyrosine은 흔적량이었다. 숙성 60일째에는 lysine, glutamic acid, alanine, leucine, aspartic acid 및 valine이 많아 전 유리아미노산의 $58{\sim}71\%$를 차지하였으나 taurine은 검출되지 않았다. 원료에는 핵산관련물질중 IMP 가 $18.6{\mu}mole/g$으로 가장 많았으나 자리젓에서는 hypoxanthine 이 전시료에서 가장 많았고 ATP와 ADP는 숙성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숙성중 TMA는 증가하였으나 TMAO는 감소하여 숙성 60일째에는 흔적량에 불과하였으며, 총 creatinine은 10일째에 급격히 증가하고 이후 큰 변화가 없었다. 원료 및 자리돔 젓갈제품중 지방산조성비가 높은 것은 16:0, 18:1, 16:1, 22:6 및 20:5의 순이었다. 원료에 대하여 식염 $8.0\%$, 젖산 $0.5\%$ 솔비톨 $6.0\%$, 에틸알코올 $6.0\%$, BHA $0.02\%$를 첨가하여 재래식젓갈의 품질에 손색이 없는 저식염 자리돔젓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유산균 강화 자리젓 제조 (Enrichment of Lactic Acid Bacteria in Salted Fish, Chromis notatus)

  • 고영환;김창용;강동섭;하진환;김수현;강영주;송대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0-207
    • /
    • 1991
  • Jariieot is a local food prepared by fermentation of salted fish, Chromis notatus. Since its NaC' content is around 20% like other fermented seafoods, reduction NaCl concentration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risk of health hazard. Addition of KCl and enrichment of lactic acid fermentation were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s resulting from low salt concentration. NaCl and KCl were added to a fish, Chromis notatus simultaneously at concentrations of 10 to 4% and 5 to 2%, respectively. Lactic acid bacteria and glucose at final concentration of 2% were also mixed with the above-salt treated fish to prepare jarijeot. The jarijeot was examined periodically for chemical changes during aging and compared with reference jarijeot containing only 20% of NaCl to find out an appropriate method for quality improvement. The content of ATP and its related compounds was not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f NaCl or the presence of lactic acid bacteria. Nearly no difference in contents of free amino nitrogen, trimethylamine oxide, trimethylamine and volatile basic nitrogen was observed between the jarijeot containing 20% of NaCl only and that containing 10% of NaCl, 5% of KCl, 2% of glucose and cells of Pediococcus halophilus. Moreover, sensory evaluation of both kinds of jarijeots revealed almost the same scores. The number of cells of P. halophilus was maintained at concentration of $10^5$cell/ml for 60days' fermentation in the above mentioned jarijeot containing 10% of NaCl. Its pH was dropped down to 4.2.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pare jarijeot enriched with lactic acid bacteria if KCl and glucose are added at concentration of 5% and 2%, respectively, in addition to NaCl at a final concentration of 10%.

  • PDF

젓갈의 첨가가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eotkal Addition on Quality of Kimchi)

  • 고영태;황자경;백인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3-12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젓갈무첨가시료를 표준시료로하고 5종의 젓갈을 각각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15^{\circ}C$에서 숙성하면서 젓산균의 산생성과 생육, 숙성된 시료의 관능적 특성 및 몇가지 휘발성냄새성분을 분석하였다. pH와 산도의 결과를 보면 표준시료, 멸치액젓, 까나리액젓, 액체육젓시료의 경우는 pH와 산도의 변화 pattern이 유사하였으나, 새우젓시료의 경우는 0. 2, 4일의 pH와 산도의 변화 pattern이 다소 달랐으며, 조개젓의 경우는 전 실험기간을 통하여 pH와 산도의 변화 pattern이 다른 시료와 뚜렷하게 차이를 보였다. 젖산균수의 변화를 보면, 모든 시료의 담근 직후의 젖산균수는 $1.8-2.6{\times}10^{5}\;CFU/mL$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4일 후의 젖산균수도 $1.0-2.5{\times}10^{9}\;CFU/mL$로 표준시료와 젓갈시료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숙성 정도에 따라 다순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인기호도와 맛은 조개젓시료를 제외한 젓갈시료, 특히 새우젓시료가 표준시료보다 우수하였다. $15^{\circ}C$에서 6일간 숙성된 시료의 휘발성냄새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8개의 냄새성분이 확인되었으며 대조시료와 젓갈시료사이에는 근 차이가 없었으나, 새우젓시료의 휘발성냄새성분함량이 다른 시료보다 다소 높았다. 비숙성시료(0 day)와 비교하면 diallyl sulfide와 methyl propyl disulfide가 새로이 생성되었고, ethanol, methyl sulfide, sulfide, dimethyl disulfide는 증가하였으며, allyl mercaptan은 감소하였다.

구술을 통한 전통세대의 음식문화특성 연구 (A Study on the Food-culture's Property of the Traditional Generation through the Oral Interview)

  • 김미혜;정혜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13-630
    • /
    • 2009
  • This thesis, which involves honest life stories of members of the ìtraditionalî Korean generation that lived through the turbulent times of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assesses the meaning and import of Korean cuisine during an individual Korean's lifetime, as well as the relevant properties of the culinary culture of the traditional generation and how those properties continue to influence the present generation of Koreans. Thus, traditional Korean culinary culture was sub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aspects, each of which were exemplified by representative examples. The first of these is slow-food dietary life, which is exemplified by fermented foods. The development of side dishes (panchan) based on fermentation - kimchi, different types of soy and bean paste, salted seafoods, dishes of dried radish or cucumber slices seasoned with soy sauce, and so on - mad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pplementation of food possible for traditional Koreans. The second of these aspects, referred to as friendly dietary life, is exemplified by self-sufficiently produced foods. The system of many species and small production suitable with the season made it possible to produce food from sustainable ecological systems and to maintain locally grown food-cultures, each of which was distinguished from others by a local specialty product. The third aspect of the traditional Korean culinary culture involves the same use of medicinal roots and plant materials for foodstuff, and this is exemplified by the use of foods to cure and prevent diseases. The notion, for example, that 'boiled rice is an invigorant' is characteristic of the notion that diet can function in a preventative medical context, and other similar Korean notions illustrate the importance, also, of the curative properties of food. The fourth and final aspect of traditional Korean culinary culture identified herein is creative dietary life, which can be viewed essentially as a Korean adaptation to the turbulence of life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in Korea. This trend is exemplified by many Korean foods that were created in response to foreign influences, such as onions, cabbages, curry, etc. which found their place in overall Korean culture through the age of Japanese settlement, as well as the Korean war.

탈지방우유에서 가바생성 유산균 배양을 통한 가바생성 연구 (Production of γ-amino Butyric Acid by Lactic Acid Bacteria in Skim Milk)

  • 차진영;김영록;백보람;박지헌;황철원;도형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3-228
    • /
    • 2018
  • 동해안 지역 수산발효식품과 수산물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유산균들을 분리하여 감마아미노낙산(GABA) 활성을 위해 분석을 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를 이용하여 GABA를 생성하는 4개의 균주를 확보하였으며, 16S rRNA sequencing 분석 결과를 통해 FSFL0004, FSFL0005, FSFL0036 균주는 Lactobacillus (Lb.) brevis, 그리고 FGL0007은 Lactococcus (Lc.) lactis에 가장 유사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Lb. brevis FSFL0004와 FSFL0005는 발효된 아귀로부터 분리되었고, Lb. brevis FSFL0036는 갈치 젓갈로부터 분리되었으며, Lc. lactis FGL0007 균주는 참가자미의 내장으로부터 분리되었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사용한 정량분석결과를 보면, FSFL0004, FSFL0005, FSFL0036과 FGL0007에서 각각 $10,754.37{\mu}g/ml$, $13,082.79{\mu}g/ml$, $12,290.19{\mu}g/ml$, $45.07{\mu}g/ml$의 GABA가 생성되었다. GABA가 풍부한 낙농제품의 발효 종균으로서 상용화 실험을 위해 1% MSG를 포함한 탈지방우유에 4개의 균주를 각각 접종하였다. TLC 결과를 보면 4개의 균주 모두가 GABA 생성을 보였다. HPLC 분석 결과를 보면, 4균주 중 Lc. lactis FGL0007이 가장 높은 GABA 생성($431.42{\mu}g/ml$)을 보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GABA가 함유된 유제품 개발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