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ed Chinese cabbag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초

In vivo와 in vitro에서 김치가 혈액성상과 면역세포배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imchi on Hematological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vivo and in vitro)

  • 송영선;김미정;권명자;송영옥;이은경;윤현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208-1214
    • /
    • 199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know the effect of kimchi on the hematological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vivo and in vitro, respectively. To study the effects of kimchi on the hematological parameters, rats(S.D., male)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fed diets containing of 3%, 5% and 10% kimchi or kimchi free diet(control) for 6 weeks. The results of CBC(complete blood cell) tests obtained from the bloods of rates were as follows ; In 10% kimchi group, the level of WBC(white blood cells), RBC(red blood cells), Hgb(hemoglobin), Hct(hematocri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those of control group(p<0.05). MCV(mean corpuscular volume), one of the red cell indices, w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nimals fed 10% kimchi(p<0.05). RDW(Red cell distritution width) and PCT(plateletcrit) was lowest in 10% kimchi group(p<0.05). To examine the effects of kimchi on immune cell growth in vitro, three types of mouse immune cells-spleen cells, bone marrow cells, thymus cells-were cultured with extracts of salted Chinese cabbage, fresh kimchi and fermented kimchi(for 1 week) for 12 or 20 days. Control was supplemented with PBS(phosphate buffer saline) excluding kimchi extract. The results of spleen cell, bone marrow cell, and thymus cell cultures showed similar tendency: control medium accelerated death of cells, extracts of salted Chinese cabbage reduced the rate of cell death, and extracts of fresh kimchi and fermented kimchi promoted cell growth.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kimchi possibly has an effect on the hematopoietic ability and increases immune cell development and growth in vivo.

  • PDF

녹차의 첨가방법이 김치의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Methods of Green Tea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 김경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06-410
    • /
    • 2002
  • 김치제조시 녹차의 첨가방법이 발효특성과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의 녹차추출물를 함유하는 소금물로 절인 후 담근 김치(I), 절임배추를 1% 녹차추출 물에 일정시간 담금후 제조한 김치(II), 녹차 1%를 양념과 혼합하여 담근 김치(III)의 3가지 방법으로 김치를 제조한 후 1$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pH, 산도, 균수, 색상 및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대조구의 pH는 숙성중 I~III의 경우보다 낮아 녹차처리구가 숙성이 지연되었다. 산도의 경우도 pH와 역으로 pH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녹차처리방법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대조구의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각각 6.16~9.29 및 4.59~8.42 log cfu/mL로I~III의 5.40~8.38 및 4.99~8.07 log cfu/mL보다 높았다. 김치조직의 L*값은 I< II

Mitomycin C 유도 소핵 생성 유발에 대한 배추김치 및 부추김치 추출물의 마우스 말초혈에서의 억제 효과 (Anticlastogenic Effect of Bcechu (Chinese cabbage) Kimchi and Buchu (leek) Kimchi in mitomycin C-induced micronucleus formations by supravital staining of mouse peripheral reticulocytes)

  • 류재천;박건영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56
    • /
    • 2001
  • Kimchi is a major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as a supplying source of vitamin and minerals which is prepared with various vegetables and condiments such as red pepper, garlic and salted fish etc. There are many types of Kimchi depending on the ingredients and preparation methods used. To investigate the clastogenicity and anticlastogenicity of Baechu (Chinese cabbage) Kimchi and Buchu (leek, Allium odorum) Kimchi in mouse, it was performed acridine orange supravital staining of micronucleus (AOSS-MN) assay using mouse peripheral reticulocytes. Baechu Kimchi and Buchu Kimchi were cultivated by organic agricultural technique, and Kimchi samples were prepared by methanol extraction and lyophilization. First of all, it was studied the clastogenicity of two Kimchi samples themselves (250-1,000 mg/kg) after oral adminstration in mouse. And also to study the anticlastogenic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Kimchi samples, mitomycin C (MMC, 1 mg/kg, i.p.) was used as micronucleus inducing agent in this study. Dosing scheme was performed as simultaneous (co-treatment), 3 hr before (pre-treatment) and 3 hr after (post-treatment) with MMC treatment. Two Kimchi samples in the range of 250-1,000 mg/kg did not reveal any clastogenic effect in AOSS-MN assay in mouse. They also revealed anticlastogenic effects in post-treatment of Baechu Kimchi (1,000 mg/kg), and in pre-treatment of Buchu Kimchi (500 and 1,000 mg/kg)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nticlastogenic effect revealed 1 and 6 hr after treatment of Baechu Kimchi, and Buchu Kimchi with 3 and 6 hr pretreatment.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antimutagenic and anticlastogenic mechanisms of Baechu and Buchu Kimchi in vivo attributed to sipindle formation and kinetic behavior of mutagens such as absorption and metabolism etc.

  • PDF

Increased Preservative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Kimchi with Addition of Green Tea Leaves

  • Park, Woon-Young;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5권4호
    • /
    • pp.189-193
    • /
    • 2000
  • Preserv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green tea leaves added Chinese cabbage kimchi (GK1, GK2, GK3, and GK4 : 1, 2, 3 and 4 of green tea leaves (GTL) in proportion of 100 of salted Chinese cabbage were added to kimchi)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Chinese cabbage kimchi without GTL (control kimchi, CK). Fermentation period of GKs was further delayed than that of CK. The initial pH and acidity between GKs an CK were similar, but the time reach optimally ripened status of kimchi (pH 4.3) was different. CK took 6 days, while GK1, GK2, GK3 and GK4 took 6, 10, 12 and 14 days at 10℃, respectively. The growth of Leuconostoc sp. and Lactobacilus sp. in GKs delayed comparing to those in FCK. Among GKs, as the added amount of green tea leaves increased,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as retarded. The antimutagenic effects of juices from GKs and CK were studied against aflatoxin B₁(AFB₁) in the Ames test on Salmonella typehimurium TA100 and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in the SOS chromotest using E. coli PQ37. Juices from optimally ripened GKs (pH 4.3) showed 52∼76% inhibition rates against the indirect mutagen, aflatoxin B₁ induced mutagenicity while 49% inhibition rate by CK in the Ames test. Juices from GKs and CK showed 44∼67% and 36% inhibition rate against direct mutagen, MNNG (70 ng/assay) induce mutagenicity in the SOS chromotest. Thus GKs delayed fermentation period of kimchi and exhibited higher antimutagenic activity than CK.

  • PDF

배추의 소금절임시 염수의 초기온도가 김치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itial Temperature of Salt Solution during Salting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 박인경;김순희;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47-753
    • /
    • 1996
  • 배추절임 시 소금용액의 온도를 $40~80^{\circ}C$ 범위로 달리하여 절임한 배추로 김치를 담근 후 $1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H는 $40^{\circ}C$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율이 낮아서 최적 pH로 유지 되는 기간이 연장되었으며 산도도 pH의 결과와 대등하였다. $40^{\circ}C$ 처리군은 맛있는 김치의 신맛을 유지하는 기간이 길고, 아삭거리는 조직감이 높았으며, 종합적인 맛에 대한 평가치가 높았다. 또 총 균수 및 젖산균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적었으며 젖산 함랑이 낮아 가식기간이 연장되었다. 경도는 발효 전반에 걸쳐서 $40^{\circ}C$ 처리군이 가장 높은 반면 씹힘성은 $40^{\circ}C$ 처리군이 가장 낮아 $40^{\circ}C$ 처리 김치가 조직감이 좋은 김치로 평가되었다.

  • PDF

품종별 가을배추로 제조한 절임배추의 저장중 특성변화 (Changes in Some Characteristics of Brined Chinese Cabbage of Fall Cultivars During Storage)

  • 이인선;박완수;구영조;강국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9-245
    • /
    • 1994
  • 김치제조용 간절임 배추의 품종선정 및 장기간 저장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가을에 수확한 10종의 김장용 원료배추를 절임한 후 온도별로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변화 및 생균수를 측정하여 그 저장성을 검토하였다. pH의 변화는 $0^{\circ}C$ 저장의 경우 녹탑 등 7종은 저장 21일째에도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신기원, 큰여름, 노란맛 등 3종은 큰 폭으로 저하되었다. $10^{\circ}C$의 경우는 거성과 큰여름을 제외한 모든 품종이 저장 7일째 pH $4.21{\sim}4.95$로 저하되었다. 총산함량의 변화는 $0^{\circ}C$ 저장의 경우 대부분의 품종이 저장 32일까지도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가락신1호, 신기원, 노란맛은 초기의 3배까지 증가하였다. $10^{\circ}C$의 경우는 저장 41일 이후부터 몇 품종을 제외한 대부분이 0.6% 이상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의 변화를 보면 $0^{\circ}C$의 경우 노란맛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10^{\circ}C$의 경우는 거의 모든 품종이 저장 7일째 최고균수로 증가하였다. 유산균수의 변화는 총균수의 변화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저장 절임배추로 김치를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0^{\circ}C$ 처리구는 큰여름이, $10^{\circ}C$ 처리구는 신기원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배추김치의 표준화 연구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 조은주;이선미;이숙희;박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24-332
    • /
    • 1998
  • 배추김치의 표준화를 위하여 조리서 및 관련 연구 논문과 김치공장에서의 담금방법과 재료배합비의 표준값을 구하여 표준화김치로 선정하고 뚜렷한 차이가 있었던 고춧가루의 첨가농도는 관능검사 및 이화학적 실험과 항돌연변이 효과와 in vitro 항암 기능성을 검토하여 결정하였다. 배추김치 담금시 사용빈도가 50% 이상인 부재료는 무, 파였으며, 양념류로는 고춧가루, 마늘, 생강, 젓갈, 설탕으로 나타났다. 또 재료배합비는 절인배추 100에 대해 무 $13.0{\pm}7.0$, 파 $2.0{\pm}0.5$, 마늘 $1.4{\pm}0.4$, 생강 $0.6{\pm}0.3$, 멸치액젓 $2.2{\pm}1.6$, 설탕 $1.0{\pm}0.3$, 최종염도 $2.7{\pm}0.3$로 결정되었으며, 고춧가루의 배합비는 차이를 보여 $2.5{\pm}0.3$$3.5{\pm}0.8$로 나타났다. $15^{\circ}C$에서 0, 2, 4, 6, 8, 10일간 김치를 발효시키면서 관능검사및 이화학적 실험을 실시한 결과 발효 기간은 4일이 가장 적당히 익은 상태였다. 고춧가루의 배합비는 3.5%인 경우가 2.5%인 경우에 비해 관능적으로 우수하였고, pH가 서서히 감소되어 보존성도 있었으며, 김치의 맛에 관여하는 젖산균인 Leuconostoc속 젖산균수도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선정된 표준화 배추 김치 즙액은 $AFB_1$에 대한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였고, SRB assay에서는 AGS 인체 위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는데 고춧가루의 배합비는 3.5%인 경우가 2.5%인 경우에 비해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가 더 뛰어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표준화 배추김치의 재료 및 배합비는 배추 100에 대해 고춧가루 3.5, 무 13.0, 파 2.0, 마늘 1.4, 생강 0.6, 멸치 액젓 2.2, 설탕 1.0, 최종염도 2.7로 결정되었다. 배추김치의 담금방법은 배추를 10% 소금물에서 10시간 절이고, 물기를 뺀 후, 무, 파는 채 썰어 고춧가루 갠 것을 넣은 다음, 멸치액젓을 넣고, 마늘, 생강, 설탕을 섞은 후 고루 버무린다.

  • PDF

기능성 배추 김치의 발효 특성과 암세포 증식저해능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against Mouse Carcinoma Cell Line of Kimchi prepared with Functional Cabbage)

  • 유광원;이성현;신은혜;황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07-1014
    • /
    • 2017
  • To compare functional Chinese cabbage('Amtak' baechu; F1 hybrid cultivar between Brassica rapa and B. perkinensis, AB) with general Chinese cabbage ('Chunkwang' baechu; general spring cultivar, CB), two kinds of kimchi(ABK and CBK) prepared with AB and CB cultivar were fermented at $10^{\circ}C$ for 10 days. Their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against mouse carcinoma cell lines were investigated. General kimchi(CBK) showed mature pH on the $6^{th}$ day of fermentation, whereas functional kimchi(ABK) reached pH on the $9^{th}$ day. CBK also exhibited acidity of mature stage on the $6^{th}$ day, but ABK reached mature acidity on the $9^{th}$ day. Although ABK and CBK were salted in the same condition, ABK had lower salinity than CBK, throughout the fermentation time. The highest total bacterial and lactic bacterial counts of CBK showed on the $8^{th}$ day of fermentation, but ABK showed the highest total bacterial and lactic bacterial counts on the $10^{th}$ day. The texture of ABK was harder than CBK for fermentation time. This seems to be corrleated with the slower fermentation rate of ABK. ABK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nti-proliferative activity (54.6% cell viability of control) in B16BL6 at $1,000{\mu}g/mL$. ABK was also higher in anti-proliferative activity than CBK throughout the fermentation tim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ABK between the fermentation times. In conclusion, fermentation of ABK showed a better texture, due to the slow fermentation rate and more anti-proliferative activity against mouse carcinoma cell line than those of CBK.

월동 배추의 저온 저장 방법별 포장 및 염장 처리에 따른 품질 특성 (Cold Storage, Packing and Salting Treatments Affect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inter Chinese Cabbages)

  • 이정수;최지원;정대성;임채일;박수형;이윤석;임상철;전창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4-29
    • /
    • 2007
  • 월동배추의 저장방법에 따른 특성과 김치를 위해 절였을 경우 특성을 조사하여 배추의 효과적인 저장방법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저장방법(PE 필름백, 플라스틱 컨테이너, 망저장, 움저장)에 따른 배추의 특성을 3개월 동안 조사한 결과, PE 필름백에 저장한 배추가 겉잎이 부패하는 단점이 있으나 다른 처리에 비해 감모율, 정선 손실율, 외관 등에서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저장방법을 달리하여 배추를 절였을 경우에 처리별로 절임특성이 큰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로 월동배추의 저장 방법이 절임 특성에는 큰 영향이 없지만 저장방법에 따라서 중량 감모 및 정선손실 정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배추는 저장중의 이러한 손실을 줄이고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보다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총설 - 절인배추의 위생적 절임수 재활용 처리기술 (Hygienic process of recycling salting solution of salted chinese cabbage)

  • 정진웅;성정민
    • 식품기술
    • /
    • 제26권2호
    • /
    • pp.92-100
    • /
    • 2013
  • 배추 절임 공정에서 위해 미생물로부터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위생적 세척 처리기술개발로 효율적인 재활용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전기분해수를 활용하여 실험하였다. 전기 분해수의 농도는 100 ppm 으로 염수와 전해수의 비율을 1:9, 2:8, 5:5로 20회 반복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절임수 재활용 횟수인 3~5회를 훨씬 초과하여 10회 이상 반복하여도 총균수가 초기에 비해 2 log CFU/g 이상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재활용 처리된 염수의 pH나 산도 또한 초기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기존의 재활용 방법에 비해 효율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조사되어진 바에 따르면 절임 공정에서 사용되어진 염수의 회수율은 70~80%에 달했으며, 절임공정에서 본 연구에서와 같이 전해수와 사용된 절임수가 1:9 또는 2:8 비율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재활용 처리되어진 염수로 절인 배추로 김치를 제조하여 관능평가를 한 결과, 기존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김치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본 재활용 시스템 방법은 기존의 시스템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절인 배추의 성상 변화와 김치의 맛의 변화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