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 reduction projec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이산화타이타늄의 용융염 전기분해 반응기구 규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amination of Reaction Mechanism for Molten Salt Electrolysis of Titanium Dioxide)

  • 조성구;정재영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2-187
    • /
    • 2009
  • The molten salt electrolysis is applied to reduce titanium dioxide to titanium metal using calcium chloride as an electrolyte and the reaction mechanism of the reduction process is examined by analyzing the reaction products. The process conditions to obtain titanium metal for $900^{\circ}C$ correspond to 2.9~3.2 V and 24 hours. The reaction products for 2.9 V at $900^{\circ}C$ include irregular-shaped titanium oxides such as $Ti_4O_7$, $Ti_3O_5$ and $Ti_2O_3$ and polyhedral $CaTiO_3$. Using these microstructure analysis, the sequential reaction mechanism for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titanium dioxide to titanium is proposed.

가공식품 나트륨 저감화 가이드라인 (A Guideline for Sodium Reduction of Processed Foods)

  • 김의수;임구상;최경숙;정광호;이미영;류승호;윤은경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49권2호
    • /
    • pp.8-17
    • /
    • 2016
  • Sodium is a component of salt and naturally taken in the process of taking in table salt. For food processing, salt is very important. In general, salt adds flavor and taste including a salty taste and rheologically,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issues. Also, it helps in improving preservability of food by controling growth of microorganisms. But excessive intake of salt has been blamed for outbreak of high blood pressure, heart disease, stroke, osteoporosis, kidney stone, stomach cancer and others. For this reason, there are active efforts to reduce sodium of processed foods all around the world. In Korea, a guideline for sodium reduction in 27 items and 44 kinds of foods including confectionery was suggested as part of the 'processed food sodium reduction guideline development project', which has been conducted since 2012.

델파이 조사를 통한 저염화사업 성과평가 지표 분석 (Analysis by Delphi Survey of a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for a Salt Reduction Project)

  • 김현희;신은경;이혜진;이난희;천병렬;안문영;이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5호
    • /
    • pp.486-49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저염화 사업의 성과 평가 지표의 현황을 분석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저염화 사업 성과 평가지표의 적절성 및 측정방법의 타당도와 수행용이성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건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저염화 사업 성과 평가지표로는'소금 섭취량', '적정 소금 섭취 인구비율', '싱겁게 먹는 인구 비율', '나트륨 감소법 인지율', '가공식품 구입시 영양표시 정보 확인율', '국의 염도 감소율', '저염 실천하는 모범음식점 증가율', '참가자 만족도', '소금 판매량', '뇌졸중 사망률'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2) 델파이 조사 결과, 저염화사업 성과 평가지표로서 영양학적 평가지표로는 1일 소금 섭취량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정 소금 섭취 인구비율과 싱겁게 먹는 인구 비율 등도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학적 지표로는 뇌졸중 사망률과 위암사망률이 적절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영양학적 성과 지표 측정방법 중 24시간 소변 수집법이 타당성은 가장 높았으나, 수행용이성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짜게 먹는 식태도 조사 방법이 수행용이성이 가장 높았으며, 짜게 먹는 식행동 조사와 미각판정 방법이 수행용이성이 그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영양학적 성과지표 측정방법의 타당성과 수행용이성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 이들의 평균 점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순위를 비교하였을 경우 식행동 조사와 식태도 조사가 1, 2순위로 가장 높았고 음식섭취빈도 조사, 미각판정법이 그 다음 순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미각판정법의 신뢰도를 조사한 결과 5개의 시료 농도별 짠맛에 대한 미각판정 결과 남자의 경우 검사자간 판정 결과의 상관계수가 0.774 (p < 0.01)였으며, 여자의 경우도 0.781 (p < 0.01)로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검사자내 신뢰도 조사에서는 짠맛에 대한 미각판정 결과 남자의 경우 첫 번째, 두 번째 판정결과에 대한 상관계수가 0.591 (p < 0.01), 여자의 경우 0.399 (p < 0.01)로 모두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여주어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델파이 조사를 1회 실시한 것이 한계점이라할 수 있으나, 이제 막 저염화 사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저염화 사업의 성과 평가지표개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켰다는데 그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싱겁게 먹는 인구비율은 적정 소금 섭취 인구비율과 함께 보건소 단위에서 저염화 사업을 할 때 특히 교육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저염화 사업에서 이 지표의 적합성 여부를 살펴보기 위한 실질적인 적용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지 못하였으나, 미각판정 도구의 농도에 대한 선호도와 강도를 점수화하여 판정과정과 결과 판정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개발함으로써 미각판정법의 표준화를 확보하는 추구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대구시 나트륨 줄이기 실천음식점 종사자와 고객의 짠 음식 선호도에 따른 나트륨 저감화 실천도 및 나트륨 추정섭취량 비교 (Comparison of Sodium Reduction Practice and Estimated Sodium Intake by Salty Food Preference on Employees and Customers of Sodium Reduction Restaurant in Daegu, Korea)

  • 이수진;김건엽;이연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7-35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degree of sodium reduction practice and estimate sodium intake by salty food preference. Methods: Sodium reduction practices, salty food preferences and estimated sodium intake were surveyed for restaurant owners (n = 80), employees (n = 82) and customers (n = 727) at the restaurants participating in the sodium reduction project in Daegu, Korea. Estimated sodium intake was performed by examining sex, age, body mass index (BMI), salty eating habit and dietary behaviors. Results: The degree of sodium reduction practi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alinity meter use (P < 0.001), low salt seasonings (P < 0.001) and efforts to make the foods as bland as possible overall (P < 0.001) in the restaurants participating in sodium reduction project than in homes (P < 0.001). The degree of sodium reduction practice appeared lower in the high salty food preference group than in the low-preference group in such items as efforts to make the foods as bland as possible overall (P < 0.05) and washing the salty taste and then cooking (P < 0.05). The high-preference group showed high-salt dietary behavior, including eating all the soup until nothing was left (P < 0.05) more than the low-preference group, but low-salt dietary behavior included checking the sodium content in processed foods (P < 0 .0 5) less than the low-preference group. The high-preference group was higher in the soup and stew intake frequency than the low-preference group (P < 0.05) and much lower in nuts (P < 0.05) and fruits (P < 0.05) intake frequency. The high-preference group had a higher salty eating habit (P < 0.05), salty taste assessment (P < 0.05) and estimated sodium intake (P < 0.05) than the low-preference group.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salty food preference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lower sodium reduction practice and higher estimated sodium in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