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ad vegetable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5초

변비 환자를 위한 고섬유질 음식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High fiber Food for Constipation)

  • 박혜원;정혜정;최은정;이지정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715-723
    • /
    • 2002
  • In recent yearn, eating habit that is not right causes disease the dietary fiber (DF) intakes of Korean decreases. Occurrence of chronic disease such as constipation increased gradual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of high fiber standard recipes for one day including major source of DF such as vegetables, cereals and grain products, seaweeds, fruits, fungi and mushrooms, and legumes and products for improving constipation through dietary treatment. Nutrient analysis per person marked energy, protein, fat and DF content. The food of high I : S ratio (Insoluble fibers: Soluble fibers) are soybean sprout salad, rice gruel with vegetables, pan fried mushroom with vegetables. The food of low I:S ratio are fermented soybean paste stew, fried rice with kimchi, fruits salad with yogurt dressing and seasoned noodle with vegetables. The representative high fiber diet menu is rice gruel with vegetable, rice with radish and oyster, fermented soybean paste stew, kimchi stew, assorted soybean sprout salad, three kinds of pancake roll, pan fried mushroom with vegetables, fruits salad with yogurt dressing and seasoned noodle with vegetables. The menu developed in this study, contains fiber of at least 8.97 times of RDA and in point view of 1 day intake, that is similar to the scope of RDA, 20-25 g per day. This findings should be appliable to nutritional education and medical food for constipation. And also, the aim of study is constipation patients easily applicate that developed the food of high fiber using Korean common food. And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be the basic data about clinical test of food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 danger of high fiber diet. The representative high fiber diet menu is rice gruel with vegetable, rice with radish and oyster, fermented soybean paste stew, kimchi stew, assorted soybean sprout salad, three kinds of pancake roll, pan fried mushroom with vegetables, fruits salad with yoghurt dressing and seasoned noodle with vegetables. This findings should be applicable to nutritional education and medical food for constipation.

쌈샐러드 채소류의 일반성분과 식이섬유에 관한 연구 (The Composition of Dietary Fiber on New Vegetables)

  • 김지민;김대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52-856
    • /
    • 2004
  • 쌈샐러드 11종류의 일반성 분과 구조탄수화물인 식이섬유류(TDF, IDF, SDF, NDF, DFi)를 측정하였다 쌈샐러드의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이 2∼3배 높았으며 조회분의 경우 곡류보다 7배 가량 높았다. 전조물 기준으로 TDF 함유량에 있어서 Costamary가 32.61%로 낮았으나 Treviso가 41.22%로 높았으며, IDF는 Red leaf beet이 21.58%로 낮았고, Treviso가 28.95%로 높았으나 SDF는 Nakai이 6.60%로 낮았고 Common danelion이 14.70%로 매우 높았다. 건물기준으로 total carbohyate는 Salad bowl이 73.65%로 가장 높았고 Red leaf beet이 36.30%로 가장 낮았고, NDF는 Nakai가 48.83%로 가장 높았고 Red leaf beet이 29.60%로 가장 낮았다 ADL은 Salad bowl이 27.65%로 높았고 가장 낮은 것은 Com salad로 2.92%였으며 hemicellulose는 Nakai가 22.55%로 가장 높았고 Salad bowl이 2.15%로 낮았다.

Antioxidant Activity of Salad Vegetables Grown in Korea

  • Xin Zao;Song, Kyung-Bin;Kim, Mee-R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4호
    • /
    • pp.289-294
    • /
    • 2004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orty two kinds of salad vegetables grown in Korea was evaluated. Methanol extract of freeze-dried vegetable was assayed b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1,2-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Fe^{2+}$-catalyze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by TBA method. Total phenolics were determined colorimetrically using Folin-Ciocalteu reagent.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expressed by perilla leaf, followed by dandelion leaf, red and green leafy lettuce, of which $IC_{50}$ was less than 0.10 mg/mL. Angelica leaf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on for lipid peroxidation with $95\%$, and then dandelion leaf, water spinach, and perilla leaf inhibited over $80\%$. However, lettuce (Iceberg) and young Chinese cabbage exhibited the lowest antioxidant activity based on both assay methods. High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s were observed (p < 0.001). The results suggested that salad vegetables, especially perilla leaf, leafy lettuce, dandelion or angelica, could be used for easily accessible sources of natural antioxidants.

채소류의 전통조리법에 의한 이화학적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bles by Korean Traditional Cooking Methods)

  • 안명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7-188
    • /
    • 1999
  • 15종의 채소류를 생채, 데침, 찜, 끓임, 볶음 조림할 때 Vit.A, Niacin, AsA 및 P, Fe, Mg, Ca, Na, K의 잔존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생채에서 Vit.A는 도라지, 상추, 오이의 잔존량이 높은 반면 무는 50%로 가장 낮았고 Niacin과 AsA는 전반적으로 잔존율이 높았으며 무, 상추, 돌나물, 오이, 들깻잎에서는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에서는 P은 도라지, 양배추, 상추에서, Fe은 도라지, 양배추, 돌나물에서, Mg과 Ca은 도라지, 상추, 돌나물에서 K은 양배추와 상추에서 잔존율이 높았다. 2. 데침시에 Vit.A는 콩나물, 숙주에서, Niacin는 콩나물, 숙주, 들깻잎에서 잔존율이 높았으나 AsA는 다른 비타민에 비하여 잔존율이 크게 떨어졌다. 무기질은 P은 참취, 콩나물, 숙주에서, Fe은 참취, 숙주, 시금치에서, Mg은 들깻잎에서, Ca은 시금치, 들깻잎에서, Na은 시금치에서, K은 무, 들깻잎에서 잔존율이 높은 편이었다. 3. 찜에서 Vit.A는 양배추에서, Niacin은 가지, 양배추, 들깻잎, 오이에서, AsA는 무, 양배추, 오이에서 잔존율이 높았으며 잔존율이 아주 낮은 것은 Vit.A에서의 무와 들깻잎, AsA는 들깻잎이었다. 무기질 중 P은 양배추, 오이, 들깻잎에서, Ca은 양배추, 오이, 무에서, Na은 무, 오이, 양배추에서, K은 들깻잎, 양배추에서 잔존율이 높았다. 한편, 무기질의 잔존율이 아주 낮은 것은 Fe은 호박, 가지에서, Mg은 호박에서, Ca과 Na은 들깻잎에서, K은 가지이었다. 4. 끓임시에 Vit.A는 콩나물, 숙주에서 Niacin은 콩나물, 참취, 숙주에서 잔존율이 높은 반면 AsA는 대체로 50%이하의 낮은 잔존율을 보였다. 극히 저조한 잔존율을 보인 것은 Vit.A의 무, 호박, 참취, 시금치, AsA의 시금치, 호박, 참취, 숙주이었다. 무기질에서 P은 숙주, 호박, 참취에서, Fe은 시금치, 무, 숙주에서, Mg은 참취, 무에서 Ca은 호박, 시금치에서 잔존율이 높았고 Na와 K은 이들에 비해 잔존율이 낮은 편이었다. 그중, 극히 낮은 잔존율을 보인 것은 Fe에서 콩나물, 호박, Mg에서 시금치, 콩나물, 숙주, Na에서 콩나물, K에서 콩나물, 시금치이었다. 5. 볶음시에 Vit.A는 도라지, 당근, 시금치에서 Niacin은 도라지에서 AsA는 가지에서 잔존율이 높은 편이나, 무, 참취에서는 Niacin이 무, 참취, 도라지에서는 AsA의 잔존율이 아주 낮았다. P은 호박, 참취, 도라지, 당근에서 Fe은 참취, 도라지에서 Mg은 참취, 도라지, 당근, 호박에서 Ca과 Na은 도라지, 당근, 오이에서 K은 호박, 참취, 도라지, 당근에서 잔존율이 아주 낮았으며 가지는 모든 무기질의 잔존율이 아주 낮았으며 그 외 호박에서는 Fe이, 돌나물에서는 K이 극히 낮은 잔존율을 보였다. 조림시에는 Vit.A는 우엉에서, Niacin은 무, 우엉 모두 잔존율이 높은 반면 AsA는 둘다 낮은 편이었다. 무기질은 무에서 Fe, Ca, Na, K과 우엉에서는 Na, P, K의 잔존량이 높은 반면 우엉에서 Fe의 잔존율이 극히 낮았다. 6. 각종 조리시 비타민과 무기질의 잔존상태가 전체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인 채소의 순서는 사용된 횟수에 차이가 있으나 도라지>들깻잎, 양배추>무, 오이>참취, 상추>숙주>시금치, 우엉, 돌나물>당근, 호박>콩나물>가지로 나타났으며, 조리법 중에서 잔존율이 좋은 것은 비타민의 경우는 생채이었고 무기질은 생채, 볶음, 조림이었다. 또한 Vit.A는 생채, 볶음, 조림에서 Niacin은 생채, 조림, 찜에서 AsA는 생채에서 잔존율이 좋았으며 P은 볶음, 생채에서, Fe은 생채, 데침, 끓임, 조림, 볶음에서 Mg은 생채, 조림, 볶음에서 Ca은 생채, 찜, 끓임, 조림, 볶음에서 Na은 조림, 볶음에서 K은 생채, 조림, 볶음에서 잔존율이 좋은 편이었다.

  • PDF

샐러드 드레싱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와 이용 실태 조사 연구 -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umer′s Preference and Use Patterns of Salad Dressing)

  • 김미향;이수진;김향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45-355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sumers'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n the salad and its dressings, via a total of 401 subjects in the Taegu area on the basis of 5-point Likert scale. Anthropometric data included the total subjects consisted of 66 females and 335 males: categorized by age, 20's (103), 30's (135). 40's (83), over 50's (80), The average size of family was 4.2 persons. According to BMI, 64.8% of the subjects belonged to the normal group. The age group that liked salad most was the 20's group, which was also the group that ate salad most frequently. The salad was perceived as food item which is convenient to eat(3.83), healthy(3.63), easy to prepare(3.73) and delicious(3.61) but rarely as a expensive item(2.44). The ingredients, used for salad preparation included fruits and vegetables(3.19) such as tomato and cucumber. Among the salad dressings, the fruit dressing was preferred the most(4.59), while the mayonnaise the least(3.59). The mayonnaise was perceived as an item with highest calories(4.1), and hardly perceived as a luxury item(2.78). The preference for the fruits dressing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education(p<0.05), age(p<0.001) and BMI(p<0.001). The higher the degree of education, the lower the level of age group, and the lower the BMI, the higher preference for the fruit salad dressing was demonstrated.

  • PDF

외부 운반 학교급식의 미생물학적 품질 평가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Quality of Outsourced School Meals)

  • 정현숙;류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8권4호
    • /
    • pp.372-38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resource for establishment of hygienic management standards for meal delivery from the central kitchen to schools. Flow diagrams for delivery of food were analyzed, and time-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food and environment were measured. Four different foods samples including Mexican salad, radish salad, stir-fried pork and vegetables, and stir-fried chicken and vegetables were collected after production and before service. Microbiolog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aerobic plate counts (APC), Enterobacteriaceae, coliforms, E. coli, Salmonella spp., S. aureus, B. cereus, C. perfringens, and L. monocytogenes. After completion of production of cooked foods 2~3 hours were taken for the cooked foods to reach the temperature danger zone. Food temperatures at the meal service did not meet the recommended temperatures ($10/57^{\circ}C$) for conventional school food service systems. The highest APC counts were observed in radish salad (5.70 log CFU/g), followed by Mexican salad (5.18 log CFU/g). Enterobacteriaceae and coliform counts were within acceptable levels of those recommended by the UK Public Health Laboratory Service. No E. coli or pathogens were found.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termin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in school food service systems, and suggest that time-temperature control during delivery is necessary for the safety of cooked foods.

샐러드의 미생물학적 위해 감소를 위한 세척 조건 확립 (Establishment of Washing Conditions for Salad to Reduce the Microbial Hazard)

  • 김정원;김수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03-708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washing conditions for vegetable salad to reduce the microbial hazard by using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and eventually to implement HACCP for salad processing. By using the salad production line of Shinkeum Co. located in Gwacheon, Gyunggi-do, salad samples were washed under several washing conditions (chlorine dip period, chlorine concentration, rinse time, etc.)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conditions. The original washing line consisted of 3 baths (100 ppm chlorine water dip, water rinse, and water rinse), each with a capacity of 100 L of tap water and 5 kg of salad. First, the salad samples were washed with 100 ppm of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for various dip times (3, 6, 9, 12 min); however, only a 1 log- or less-reduction in total microbial counts was achieved in all groups and the time of chlorine water dip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in reducing the microbial hazard. When another water bath was added before the chlorine water dip (4-bath washing), a 2 log-reduction in total microbial counts was achieved. This result suggested the importance of pre-dipping salad materials in water before chlorine treatment to reduce the organic load on the surface of the vegetables. Coliforms were not detected at all after washing. As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50{\sim}150\;ppm)$ and rinse time $(0.5{\sim}2\;min)$ increased, greater microbial reduction was achieved; however, physical damage of the salad was observed. Finally, the optimum washing conditions for salad were determined as 3 min-water dip, 3 min-chlorine (100 ppm) dip, 2 min-rinse, and 2 min-rinse.

채소의 Ascorbic Acid함량과 조리방법 (The Cookery Method and Ascorbic Acid of Vegetables)

  • 김행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4-39
    • /
    • 1971
  •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okery methods and the loss of Ascorbic acid included in fresh vegetables, t he best cookery method to minimize the loss of it has been studied. For being scald and parch, those scald only in the water and those parch the salad oil had fained the least loss of it, while those parch had gotten generally the less loss than those scald. And when the cooked vegetables were left alone in the air. Ascorbic acid included in those were decayed exponentially, and its half time was about two hours.

  • PDF

신선편의 냉장·냉동 과채류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의 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ve Models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Fresh-Cut Fruits and Vegetables)

  • 김근향;임주영;김연호;양소영;윤기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95-50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에서 오염 가능성이 있는 병원성식중독 균 L. monocytogenes에 대해 신선편의 샐러드, 파인애플, 냉동망고에서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예측 모델을 다른 제품에서 적용 여부를 검증하였다. 시료에 L. monocytogenes를 접종하여 각각의 저장 온도에 보관 시 샐러드는 13℃, 파인애플은 10℃ 이상에서 성장하였으며, 두 식품 중 파인애플에서 L. monocytogenes가 더 빠르게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냉동망고에 접종한 L. monocytogenes는 -2, -10, -18℃의 저장온도에서 온도가 낮아질수록 delta 값이 커지며 생존력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본 실험 검증을 통해 같은 신선편의 과일, 채소 식품 그룹에 속하더라도 식품 각각의 특성에 따라 L. monocytogenes의 성장 패턴은 일정하지 않으며 각기 다른 행동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신선편의 샐러드 및 절단된 과일류는 냉장유통 되며 추가세척 없이 소비되는 제품 특성상 공정과정에서 L. monocytogenes에 의한 오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위생관리에 주의하고 유통과정에서 온도 남용이 되지 않도록 유통온도 관리에도 유의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새싹채소의 기호도 및 이용 실태 (Studies in the Consumption and Preference for Sprout Vegetables)

  • 이경숙;박금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96-905
    • /
    • 2014
  • 본 연구는 새싹채소와 새싹채소 메뉴의 인지도, 선호도, 이용 실태 및 대중화방안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남녀 5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새싹채소의 이용 실태 중 구입 동기는 '건강을 위하여'가 가장 많았고, 구입 시 지식 여부는 '신선도만 확인하고 구매 한다'가 46.9%로 높았으며, 연령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구매 시 고려사항은 '신선도', '친환경제품', '가격' 순으로 나타났으며, 30대는 '신선도'를, 50대는 '친환경 제품'을, 60세 이상은 '가격'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구입용도는 '비빔밥용', '샐러드용'이 높았으며, 구입 장소는 '대형마트 및 백화점'이 81.4%로 가장 많았다. 새싹채소의 구입 빈도는 월 1~2회가 63.8%로 가장 많았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구입 빈도가 증가했다. 새싹채소의 인지도는 무, 순무, 배추, 적무, 보리 순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선호도는 보리, 순무, 무, 배추, 적무 순으로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높을수록 새싹채소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았다. 새싹채소 메뉴의 선호도는 비빔밥, 샐러드, 비빔국수, 쌈밥 순으로 높았으며, 녹즙이 가장 낮았다. 새싹채소 인식 정도는 '체중조절에 도움이 된다'가 높은 인식수준을 보인 반면 '칼슘을 함유하여 뼈와 치아에 좋다'가 낮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새싹채소의 이용도를 높이고 대중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제품의 위생성, 저장성, 다양한 새싹채소 메뉴개발, 제조회사의 신뢰도, 다양한 유통판매구조 확보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중화 항목을 요인 분석한 결과, 상품품질요인과 판매촉진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이 두 요인 모두 새싹채소 메뉴의 선호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p<0.001). 이상의 결과 새싹채소의 인지도 및 이용 실태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새싹채소의 소비 확대를 위해서는 생산, 가공 및 유통 등에서 위생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새싹채소 메뉴개발 및 품질향상과 판매촉진활동으로 소비자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