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y monitori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음향 분석 기반 고압가스 충전시설 안전점검 지능 시스템 모델 (Introduction of Intelligent System Model for Safety Monitoring in a High Pressure Filling Station Based on Sound Analysis)

  • 김성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8-63
    • /
    • 2017
  • 복잡한 플랜트 환경에서의 안전관리는 인적 요인에 의해 좌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인적 오류에 의한 상황 파악의 실패는 심각한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청각 정보에 의해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잡한 환경에서의 안전점검의 새로운 수단을 제시하고자 하며, 인간에 의한 경험적 정보를 수반한 상황 인지율을 달성하기 위해 지능이론의 기법 중에서 퍼지이론을 적용하여 음향 정보를 이용한 안전진단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고압가스 충전시설은 매우 단순한 형태이며, 향후 더욱 복잡한 플랜트 시설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ICAO 국제항공안전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분석과 우리나라 신국제항공안전정책 검토 (A Study on the ICAO international aviation safety policy, a change of paradigm and the government response to the direction)

  • 장만희;황호원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3-96
    • /
    • 2013
  • ICAO는 기존의 항공안전평가제도를 개선한 항공안전평가제도(USOAP)를 1995년 도입하였다. 이는 최근의 항공기 사고율 감소에 효과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13년부터는 기존의 '스냅샷 방식'에서 '상시 모니터링 방식(USOAP-Continuous Monitoring Approach)'으로 전환하였다. ICAO 항공안전평가 결과는 오늘날 국제사회에서 국가의 '항공안전 신인도'를 판단하는 객관적인 지표로써 항공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평가결과가 미흡할 경우엔 항공노선 확충 및 코드쉐어 금지, 환승객 감소 국제항공 비즈니스 및 보험료 인상 등 경제적 불이익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ICAO는 기존의 법규이행(Prescriptive Approach)을 기본으로 하되 리스크 기반(Risk-based) 사전예방형(Proactive Approach) 항공안전시스템 개념을 새로 도입하는 등 국제항공안전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왔다. ICAO가 새로운 국제항공안전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도 이에 발맞춰 국내항공안전정책을 변화시켜 왔다. 특히, 시스템적 안전관리를 위해 기존의 법규이행 중심의 정부 안전감독시스템에 리스크 기반의 사전 예방적 안전관리 개념을 도입하고 있으며, ICAO 국제기준에 따라 항공서비스제공자에게 자체 안전관리시스템(SMS)를 운영토록 항공법에 규정하였다. 또한, 항공안전의 중심 분야인 항공기 운항 및 정비 분야에 대한 안전 증진을 위해 다양한 안전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신 국제항공안전정책 패러다임 변화에 발맞춰 국제사회에서 가장 모범적인 항공안전시스템을 갖춘 나라로 확고히 자리 매김하고, 우리 항공의 경쟁력을 튼튼하게 뒷받침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항공사, 연구기관 등 항공관계자가 모두가 노력할 때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