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and convenience

검색결과 1,073건 처리시간 0.032초

SNS를 통한 외식선택속성이, 고객만족도, 타인추천 영향관계 (Through SNS Eat Out Select Properties, Customer Satisfaction, Recommendation of Others Affect Relations)

  • 김건휘;한지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3-15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SNS를 통한 외식선택속성이 고객만족도와 타인추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SNS를 통해 외식업체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28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나머지 322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실증연구에 사용되었다. 조사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계프로그램 SPSS 2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외식선택속성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전체 회귀식의 설명력은 $R^2=.521$(adjusted $R^2=.515$)이고, F값은 86.325이고, 회귀식은 p=0.000으로 정(+)의 영향력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 중 실속 추구형(B=0.540, p<0.001), 안전 추구형(B=0.292, p<0.001)은 유의하게 나타나 정(+)의 영향력이 나타났고, 편의 추구형(B=0.071, p<0.001)과 품위 추구형(B=0.002, p<0.001)은 부(-)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둘째, 고객만족도가 타인추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전체 회귀식의 설명력은 $R^2=.539$(adjusted $R^2=.538$)이고, F값은 374.765이고, 회귀식은 p=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어 회귀선모델이 적합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 고객만족도(B=0.540, p<0.001)는 정(+)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스마트카 정보보안 침해위협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An analysis on invasion threat and a study on countermeasures for Smart Car)

  • 이명렬;박재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74-380
    • /
    • 2017
  • 약 IoT(Internet of Things)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사물과 시스템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 등을 지칭 한다. 사물인터넷환경의 발전은 더욱 경량화되고 지능적인 센서, 가볍고 다양한 환경에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발전을 수반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기술의 발전은 안전기능과 사용자 편의성 등을 적용한 스마트카 환경의 빠른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긍정적인 효과를 발위하기도 하지만 보안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스마트카 서비스는 개인 생활의 큰 재앙을 유발 할 수 있다. 스마트카는 기존 차량에 여러 형태의 통신기능이 적용되고 차량을 제어 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며 이에 대한 인증우회, 데이터 위변조를 통한 차량의 불법 제어를 통한 오동작 유발, 차량 운행 정보 탈취를 통한 개인 행태 정보 유출 등 다양한 보안 위협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스마트카 서비스의 형태를 알아보고 스마트카 서비스가 가지는 보안 위협을 시나리오 기반으로 도출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안전한 스마트카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삼복첩의 장단점에 대한 인식조사와 삼복첩 부작용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Investigation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Acupoint Sticking in Dog-Days and Side Effects of Acupoint Sticking in Dog-Days)

  • 김형중;이은주;이선행;장규태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96-107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caregivers think advantageous and disadvantageous regarding Acupoint sticking Dog-days. Also, to know whether Acupoint sticking in Dog-days affect vital signs, and to investigate if occurrence of side effects are related to application duration, sweat, or compliance to precautionary measures. Methods Survey has been handed out to parents of the children who took Acupoint sticking in Dog-days. 10 days after the first dose was administered, survey was performed to examine any side effect occurrences, characteristics of sweat, duration of application, parents' thought about this therapy. Also, vital signs were checked before the first dose, and 10 days after to see any differences in vital signs in regards to this therapy. Results Preferable opinions about Acupoint sticking in Dog-days are 'convenient than herbal medications' (76.5%), 'less reluctance of child' (47.1%), 'reasonable price' (20.6%), 'good effectiveness' (17.6%), 'less side effect' (14.7%), 'no worry about agrochemicals or heavy metals uptake' (11.8%). Downsides were 'difficult to admit to hospital right on the Dog-days' (73.5%), 'no conspicuous effectiveness' (11.8%), 'expensive' (5.9%), 'reluctance of child' (2.9%). Vital sign differences were minimal when examined before and after Acupoint sticking in Dog-days. Side effects occurred 5 times in 34 cases, and they were erythema, itchiness, and hot sensation. There were no scars or blisters reported. All 5 cases were resolved without any interventions within 3 days. Conclusions Acupoint sticking in Dog-days doesn't affect vital signs. Severe side effect is rare, reported side effects were relatively mild, suggesting that it may be safe and well-tolerated. 'Convenience' (76.5%) is biggest advantage of Acupoint sticking in Dog-days and 'less reluctance of child' is also big advantage of Acupoint sticking in Dog-days. 'Difficulty to admit to hospital right on the Dog-days' (73.5%) is biggest disadvantage of Acupoint sticking in Dog-days.

일 소아 중환자실에서의 12시간 교대근무가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삶의 질, 안전사건 보고 및 시간 외 근무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12-hour Shifts on Job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Hospital Incident Reporting, and Overtime Hours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 임은영;엄주연;장은지;김나연;하은주;이선희;김희경;김연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3-361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job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QOL), incident report rate and overtime hours for 12-hour shifts and for 8-hour shifts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ICU).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36 staff nurses from a PICU in a regional hospital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regarding job satisfaction and QOL at 6 months before and after the beginning of 12-hour shifts. Incident report rate and overtime hours for both 12-hour and 8-hour shifts were compared. Comparisons were made using $x^2$-test, paired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Results: After 12-hour shifts were initiated,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3.93, p<.001) and QOL was higher for nurses on 12-hour shifts compared to 8-hour (t=7.83, p<.00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incident report rate ($x^2=0.15$, p=.720). The overtimes decreased from $36.3{\pm}34.7$ to $17.3{\pm}34.9$ minutes (Z=-8.91, p<.001).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12-hour shifts can be an effective ways of scheduling for staff nurse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without increasing patient safety incidents or prolonged overtime work hours.

CCTV 영상을 활용한 동적 객체의 위치 추적 및 시각화 방안 (Location Tracking and Visualization of Dynamic Objects using CCTV Images)

  • 박상진;조국;임준혁;김민찬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1권1호
    • /
    • pp.53-65
    • /
    • 2021
  • 국내·외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다양한 C-ITS 관련 도로 인프라 구축 사업들은 다양한 센서 기술들을 융합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도로 인프라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센서 관련 기술 향상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CCTV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CCTV는 현재 도로 상태 및 상황, 보안 등의 이유로 많은 양이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단순한 영상 모니터링에 주로 활용되고 있어 자율주행 측면에서 센서들에 비해 활용도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구축된 CCTV영상에서 이동체(차량·사람 등)들을 식별·추적하고, 이들의 정보를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분석·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Yolov4와 Deep sort 알고리즘을 활용한 이동체 식별·추적과 Kafka 기반의 실시간 다중 사용자 지원 서버 구축, 영상과 공간 좌표계 간의 변환 행렬 정의, 그리고 정밀도로지도, 항공맵 등을 활용한 맵기반 이동체 시각화를 진행하였으며,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위치 정합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방안을 통해 CCTV가 단순한 모니터링 역할을 넘어 도로 인프라 측면에서 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센서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공 자전거 시스템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세종시 사례 중심 (Modeling and Simulation for Analyzing Efficient Operations on Public Bike System: A Case Study of Sejong City)

  • 배장원;최선한;이천희;백의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103-112
    • /
    • 2021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공공 자전거 시스템 운영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대도시의 공공 자전거 시스템은 시민에 대한 공공성과 편리성을 모두 확보해야하기 때문에, 도입부터 운영까지 다양한 이슈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라스트 마일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개인 모빌리티 사업과의 공존을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 역시 대비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공공 자전거 시스템의 효율적 운영 관리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한 방법은 공공 자전거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조와 행태를 모델링 하여 다른 도시에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하였고, 컴포넌트 기반의 모델 구성으로 향후 모델의 수정 및 확장이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방법의 사례로 세종시 공공 자전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세종시 공공 자전거 시스템의 데이터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출하고, 도출된 결과를 세종시 실데이터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검증된 모델을 이용하여, 세종시에 적합한 공공 자전거 서비스를 설계하고 분석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안전한 인증을 위한 자바 기반의 PKI 시스템 연구 (A Study of Java-based PKI System for Secure Authentication on Mobile Devices)

  • 최병선;김상국;채철주;이재광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4C권4호
    • /
    • pp.331-340
    • /
    • 2007
  •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은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것은 언제 어디서든지 정보가 누출되거나 왜곡될 위험성 또한 존재하기 마련이다. 특히, 프라이버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우리 일상생활과 융합되어 편리함을 제공해주는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이 오히려 모바일 네트워크 감시 체제를 구축하는 심각한 역기능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들은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고 컴퓨팅 연산 능력이 적은 저성능 휴대 장치들이 많기 때문에, 컴퓨팅 연산이 많이 요구되는 공개키 암호 기술을 저성능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면서, 컴퓨팅 연산 능력이 적은 저성능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는 자바 기반의 암호 모듈 및 PKI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내 표준 암호 알고리즘(SEED, KCDSA, HAS160)과 인증서를 기반으로 세션키와 공개키를 조합함으로서 최소한의 암복호화 연산을 통해 인증 및 전자 서명을 제공하며, 이를 대표적인 모바일 단말기인 PDA 환경에서 세션키 분배 및 사용자 인증이 안전하게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엔트로피 개념에 의한 부정류 유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Discharge in Unsteady Condition by Using the Entropy Concept)

  • 추태호;채수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159-6166
    • /
    • 2012
  • 수자원에서 특히 중요한 홍수기에 대한 유량 측정은 어려움이 있고 모든 하천에 대한 지속적인 유량측정은 현재 시스템상에서는 불가능하다. 그래서 유량의 생산을 위해서 그동안 수위유량 관계 곡선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수위-유량 관계 곡선은 그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수위와 유량만의 관계를 사용하므로 정확성 면에서 항상 문제가 있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hiu의 엔트로피 개념의 2차원 유속공식을 사용하여 새로운 평균유속공식을 유도하였다. 본 공식은 수심, 중력가속도, 동수경사, 에너지경사, 동점성 계수 등 하천의 수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최대유속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최대유속과 평균유속사이의 선형관계를 검증할 수 있었고 그 결과로써 하천단면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평형상태의 ${\phi}(M)$을 산정하였다. 평형상태의 ${\phi}(M)$을 사용하여 평균유속을 산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유량을 산정하였다. 본 공식의 검증을 위해서 고리형 특성을 보이는 부정류 상황에서의 실험실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계산된 유량과 실측된 유량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매우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실험실 데이터 및 하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가 지속되어 진다면 수자원 분야에 널리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테러리즘에 대한 특수경비원의 인식분석 (An Analysis of Special Guards' Perception on Terrorism)

  • 김효준;박헌영;안병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273-285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특수경비업무에 종사하는 경비원들의 테러에 대한 인식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특수경비원들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설정 편의추출법을 이용하여 특수경비업체의 경비원 4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작성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특수경비원들은 항공기, 고속철도, 지하철, 버스에서 테러가 발생할 것이라는 인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서는 p<.05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테러의 유형별로는 폭탄테러가 일어날 것으로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생화학테러와 요인 인질 테러가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테러의 목적으로는 정치적 목적이 가장 클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념적 목적과 사회적 목적이 그 뒤를 이었다.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테러 우려와 대응은 두 하위변인 모두 여자가 남자보다 테러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대 이상이 20대 보다 테러에 대한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두 하위변인 모두 대졸이상이 고졸이하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지역별로는 대도시가 중소도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단지 관리와 주거품질이 주민들의 주거만족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PT Management and Residence Quality on Residenc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인용준;오덕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552-56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아파트단지 관리 요인과 주거품질 요인이 주민들의 주거만족 및 추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대전광역시 도안단지 아파트단지 주민 218명을 조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아파트단지 관리, 주거품질, 주거만족, 추천의도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수행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평가하였다. 또한, 아파트단지 관리와 주거품질이 주거만족,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인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아파트단지 관리 요인 중 유지관리 요인과 생활관리 요인은 주민들의 주거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파트단지 주거품질 요인 중 편리성, 안전성, 쾌적성, 경제성 요인은 주민들의 주거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민들의 주거만족은 추천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아파트단지 주민들의 주거만족 및 추천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아파트단지 관리 요인과 주거품질 요인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