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eng shik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1초

3, 40대 도시 기혼여성의 생식제품에 대한 인식 및 음용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ㆍ4대 광역시 지역 거주 주부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Status of Recognition and Intake of Saeng Shik among Urban Housewives)

  • 박미현;이지연;김화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708-71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recognition and intake of Saeng shik among housewives in Seoul, Busan, Daegu, Kwangju and Daejeon during February, 2002. Saeng shik is an uncooked freeze dried powdered food made from grains and vegetables. We interviewed 800 housewives, aged 30 to 49 years, living in urban area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individual interviews on demographic characteristcs, status of recognition of Saeng shik, and the intake of Saeng shik.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orty percentage of the subjects were well acquainted with Saeng shik. More than 60% of the subjects understood that Saeng shik is ‘the thing of grains and vegetables in the form of freeze-dried powder without heating process’. Saeng shik was taken by 16.9% of subjects. There was a significant regional and economic level difference in Saeng shik intake (p<0.05). Among the reasons given for Saeng shik intake, meal substitution ranked the highest. Other reasons were prevention of adult diseases, or it being a low calorie food. The survey questioned which the subjects considered before buying Saeng shik, taste, effect, constitution, sanitation and safety, satiety. ‘Taste’ ranked the highest. Among the subject who had experienced taking Saeng shik, 35.6% answered that they would continue taking Saeng shit. The reasons given for stopping taking Saeng shik included its high cost and taste. The subjects recognized it not only as a meal substitute, but also as a nutrient supplement. Based on these results on urban housewives' status of recognition of Saeng shik and their intake of it, more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Saeng shik.

Glass/Epoxy 적층 복합판의 충격 응답 및 충격 응력 (The Impact Response and Impact Stress of Glass/Epoxy Laminated Composite Plates)

  • 김문생;김남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9-39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impact behaviors of laminated composite plates subjected to the transverse low-velocity impact by the steel ball. A plate finite element model based on Whitney and Pagano's the first-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FSDT) in conjunction with experimental static contact laws is formulated and the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impact experiments. Because the input data and the output data printed at every integration time step are lots of amount, these are interactively poecessed by the developed pre-processor(PREPLOT) and postprecessor(POSTPLOT). All results from these procesors are automatically generated by CALCOMP plotter. Test materials are glass/expoxy composite materials. The specimens are composed of [$0^{\circ} /45^{\circ}/0^{\circ}/-45^{\circ}/0^{\circ}/]2s\ and \[90^{\circ}/45^{\circ}/90^{\circ}/-45^{\circ}/90^{\circ}/$]2s stacking sequences and have $4.5^t{\times}200^w{\times}200^l$(mm) and $4.5^t{\times}300^w{\times}300^l$(mm) dimensions.

  • PDF

배수 개선처리에 따른 토양 투수속도 변화가 논에서 CH4 및 N2O 배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Percolation Rate by Different Drainage Treatments on CH4 and N2O Emissions from Paddy Field)

  • 고지연;이재생;정기열;최영대;이동욱;윤을수;김춘식;박성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14-220
    • /
    • 2007
  • The effects of soil percolation rate on $CH_4$ and $N_2O$ emissions were investigated from paddy fields with different drainage systems. Subsurface tile drainage plot of soil percolation rate $11.9mm\;d^{-1}$ and non-subsurface drainage plots of soil percolation rate $7.4mm\;d^{-1}$ and $6.9mm\;d^{-1}$ were designed. The effects of rice straw application were measured at each drainage plots. The subsurface tile drainage plot of soil percolation rate $11.9mm\;d^{-1}$ showed the lower emission amount both of $CH_4$ and $N_2O$ among treatments. In the subsurface tile drainage plot of $11.9mm\;d^{-1}$ percolation rate, 46% of $CH_4$ and 33% of $N_2O$ emission amounts were reduced in comparison of non-subsurface drainage plot of $6.9mm\;d^{-1}$ percolation rate. With rice straw application, the $CH_4$ emission amount was 2.1 times to that from no-applied plot, the $N_2O$ emission amount was not affected by rice straw application.

R/C 쌍곡 냉각탑의 극한 거동 (Ultimate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Hyperbolic Cooling Tower)

  • 민창식;김생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59-70
    • /
    • 1992
  • 풍하중(風荷重)을 받는 쌍곡 냉각탑의 비탄성(非彈性), 비선형(非線型) 극한(極限) 거동(擧動)을 Cray Y-MP 슈퍼 컴퓨터에 개발(開發)한 유한요소(有限要素)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연구(研究)하였다. 유한요소 망(mesh)을 각각 잘게 잘라서 3모델을 만들고, 이 모델들을 이용하여 탄성과 비탄성 해석으로 유한요소 망의 수렴관계(mesh convergence)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유한요소의 크기가 냉각탑의 극한거동을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음을 볼 수 있었다. 비록 쌍곡 냉각탑이 풍하중(風荷重)에 대해서 막응력(膜應力)(membrane stress)으로 저항하나, 본 연구(研究) 결과(結果) 휨응력(應力)(bending stress)도 냉각탑의 파괴와 거동(擧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아 내었다. 해석(解析)한 냉각탑은 형성값(Shape factor)이 1.48에 이르렀고, 이는 냉각탑의 자오선 응력(meridional stress)이 원둘레방향으로 상당히 재분배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재분배에 대한 사실은 배치된 철근의 항복이 바람방향 자오선으로부터 $30^{\circ}C$에 까지 나타난 것으로 더욱더 뚜렷하였다. 현재의 탄성해석을 이용하는 냉각탑 설계(設計) 방법은 안전(安全)측에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1보다 큰 형상값을 설계시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더욱더 많은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R/C 쌍곡 포물선 '안장' 쉘의 극한 거동 연구(研究) (Investigation on R/C Hyperbolic Paraboloid (HP) Saddle Shell Ultimate Behavior)

  • 민창식;김생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1-20
    • /
    • 1993
  • 쌍곡 포물선 '안장' 쉘의 극한(極限) 거동(擧動)을 슈퍼 컴퓨터에 개발한 유한요소(有限要素)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연구(研究)하였다. 잘게 자른 3 모델을($16{\times}16$, $32{\times}32$$64{\times}64$) 이용하여 탄성(彈性)과 비탄성(非彈性) 해석으로 유한요소 망(mesh)의 수렴관계를 연구하였으며, 해석 결과 $32{\times}32$ 모델의 해(解)가 $64{\times}64$ 모델의 결과에 매우 가깝게 나타나서, 이 모델이 수렴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비탄성(非彈性) 해석 결과(結果) '안장' 쉘이 상당한 응력(應力)재분포 능력(能力)을 갖고 있었으며, 극한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균열과 철근의 항복이 전체 젤에 걸쳐서 나타났다. 이 현상에 따라 응력 분포가 고전적인 막이론(膜理論)(Membrane theory)의 결과에 접근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개발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설계시에 콘크리트 쉘구조물의 비선형 극한거동을 산정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USLE 및 GIS, RS를 이용한 서낙동강 유역 농경지 토양침식 위험도 평가 (Assessment of Arable Soil Erosion Risk in Seo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GIS, RS and USLE)

  • 고지연;이재생;정기열;윤을수;최영대;김춘식;김복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3-183
    • /
    • 2006
  • 서낙동강 유역에서 USLE모형을 이용하여 농경지의 작물생산량 및 농업용수 수질과 관련 있는 농경지의 토양침식량을 평가하였다. 모형인자의 data set은 구축에 드는 노력과 시간의 소모를 최소화하고자 정밀토양도, 인공위성 영상 및 DEM자료로부터 RS와 GIS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는데, 토양상별 K 인자를 정밀토양도에 적용하여 주제도를 작성하고, 인공위성 영상(Landsat TM)으로부터 토지 피복도를 작성하여 C 및 P 인자의 주제도를 작성하였으며, DEM으로부터 LS 인자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R인자는 서낙동강 유역 내에 위치하는 김해농업기술센터의 AWS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농경지발생 토양침식량은 유역전체 발생량의 31.5%였고, 농경지 토양유실량의 97.5%는 밭토양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낙동강 유역이 삼각주평야지대로 경사가 거의 없으나 밭토양의 30.4%는 severe 및 very severe의 침식정도에 분포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식생의 토지 피복 상태 및 강우량의 정도에 따라 작물재배기(5월~9월)와 비재배기(10월~4월)로 나누어 토양침식량을 평가한 결과, 작물재배기는 연간 토양유실위험도와 유사한 경향이었고, 작물비재배포기는 R 값이 작물재포기의 약 1/5에 불과하였음에도 산과 인접한 경사지 밭토양의 일부는 severe 및 very severe의 토양침식 등급을 나타내어서 토양침식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였다.

현수교(懸垂橋)의 비틀림진동(振動)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f Torsional Vibrations of Suspended Bridges)

  • 민창식;김생빈;손승요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27-37
    • /
    • 1983
  • 본(本) 연구(硏究)는 경기도(京畿道) 설계심의회(設計審議會)에서 천마산(天馬山) 청소년(靑少年) 심신수련장(心身修練場) 현수교(懸垂橋) 설계심의시(設計審議時) 현수교(懸垂橋)의 동적(動的) 거동(擧動)에 대한 설계미비(設計未備)의 원인(原因)이 아직도 체계화(體系化)되지 못한 우리 나라 현수교(懸垂橋)의 설계자료(設計資料)와 지침(指針)의 불비(不備)함에 그 동기(動機)를 얻어, 유한요소법(有限要素法)을 적용(適用)하여 현수교(懸垂橋)의 비틀림진동(振動)에 대한 고유진동수(固有振動數)와 이에 상응(相應)하는 고유진동형(固有振動形)을 구(求)하였다. 실제(實際)로 현수교(懸垂橋)의 일반적(一般的) 거동(擧動)은 수직(垂直) 수평면(水平面) 내(內)에서의 연성(連成)된 운동(運動)으로 표시(表示)되지만 사용목적(使用目的)에 부합(附合)하여 그 진폭(振幅)을 미소(微小)하도록 제한(制限)하면 수직(垂直) 비틀림 진동(振動)은 단독(單獨)으로 비연성화(非連成化)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석하였다. 1973년 6월에 개통된 Streamlined Box-Girder Type인 남해대교(南海大橋)와 Lateral Bracing으로 이루어진 단경간의 천마산(天馬山)의 현수교(懸垂橋)의 설계자료(設計資料)를 이용하여 수치해(數値解)를 얻었으며, 천마산(天馬山) 현수교(懸垂橋)의 경우(境遇) 보조(補助) 보강(補强)케이블의 유무(有無)에 따른 고유진동수(固有振動數)와 진동형(振動形)을 구(求)하여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보강(補强)케이블의 유무(有無)에 따라 초기의 진동수(振動數) 등에서는 그 영향이 매우 뚜렷하였으나, 진동형(振動形)이 복잡해짐에 따라 보강(補强)케이블의 영향은 미약했거나 또는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왔다. 남해대교(南海大橋)에 있어서 유한요소기법(有限要素技法)과 전자계산기에 의해 본(本) 연구(硏究)에서 구한 고유진동수(固有振動數)와 남해대교(南海大橋) 건설지(建設誌)에 있는 Frequency Equation으로 구한 값 또는 풍동실험(風洞實驗)에 의한 결과(結果) 등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으며, 비교(比較) 결과(結果) 좋은 일치(一致)를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