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ccharinity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3초

복분자 과즙과 복분자 주를 첨가한 푸딩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dding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Fruit Juice and Bokbunja Wine)

  • 유옥경;백향임;차연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16-620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kbunja pudding, using various levels of Bokbunja fruit juice (140, 150, and 130 g), Bokbunja Wine (10, 20, and 20 g), gelatin (18, 17, and 16 g) and sugar (250, 200, and 150 g). In order to establish the optimal added amounts, chemical composition, saccharinity, color,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various cases were analyzed and assessed. The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saccharinity of the Bokbunja pudding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of added sugar. Additionally, as the amount of added Gelatin was increased, the L values (lightness) of the Bokbunja pudding decreased. Conversely,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values all decreased with decreasing levels of added gelatin and sugar. The optimal mixing condition for the Bokbunja pudding was determined via sensory evaluation. Sensory characteristics, including flavor, sweetness,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highest in the type C produc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type C product was as follows: moisture 71.47%, carbohydrate 24.70%, crude protein 3.83%, crude fat 0.001%, and crude ash 0.001%.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optimum mixing ratio for the most satisfactory sensory characteristics of Bokbunja was as follows: Bokbunja fruit juice 130 g, Bokbunja Wine 20 g, Gelatin 16 g, Sugar 150 g, Bokbunja Flavor 0.3 g, and Water 400 g.

도라지 분말을 첨가한 식혜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 Prepared with the Roots Powder of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 정승일;유현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59-76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도라지를 전통 음료인 식혜에 활용하여 도라지의 이용을 증대시키고자, 도라지 가루를 다양한 농도(0.5%, 1%, 2%, 3%)로 첨가하여 식혜를 제조한 후 15일간 저장기간 중 품질 특성 변화와 관능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장 1일 후 대조군 식혜의 pH는 5.78이었고, 도라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여 3% 첨가군은 5.64였다. 저장기간에 따라 pH는 감소하였는데, 특히 대조군이 도라지 첨가군에 비해 급격히 감소하였다. 도라지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당도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대조군의 당도는 9.59%였고 3% 첨가군은 11.77%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당도 변화를 보면, 도라지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대 당도에 도달하는 기간이 증가하였고, 대조군과 0.5%, 1% 도라지 분말 첨가군은 일정기간 저장 후 당도가 감소하였으나, 2%와 3% 첨가군은 저장기간 내 당도가 감소하지 않았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대조군의 저장 1일 후는 53.23이었고, 도라지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대조군, 도라지 분말 첨가군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L값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도라지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아졌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수치가 높아졌다. 저장기간 중 총균수 검사에서 저장 1일후까지는 대조군과 도라지 분말 첨가군 모두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대조군, 0.5%, 1%, 2% 첨가군은 3일후엔 미생물이 검출되었으나 3% 첨가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15일 저장기간 후 대조군은 $1.91{\times}10^9$ CFU/mL이었고, 0.5, 1, 2, 3%의 도라지 분말 첨가군은 $8.43{\times}10^8$, $9.77{\times}10^7$, $2.10{\times}10^7$, $7.21{\times}10^6$ CFU/mL로 도라지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총 균수 증가 속도가 지연되어 도라지 분말 첨가가 식혜의 저장성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 식혜 밥알의 조직감, 통통함, 뜨는 정도, 식혜의 맛, 향, 단맛은 대조군과 0.5%와 1% 첨가군이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식혜의 색, 쓴맛은 대조군과 0.5% 첨가군이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0.5%와 1% 첨가군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0.5% 첨가군이 5.38로 가장 높았고, 대조군, 1%, 2%, 3% 첨가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식혜에 도라지 분말을 0.5~1% 정도 첨가하는 것이 관능평가 면에서 적당할 것으로 생각되며, 도라지 분말 첨가 식혜는 저장기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도라지의 생리기능 면까지 보완된 기능성 음료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황기 추출액을 첨가한 식혜의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 Prepared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 민성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16-223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Sikhe prepared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The pH of the Sikh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the added extract. The L value (Light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 content, whereas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extracts. The saccharinity of the Sikhe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the extract. The microbial cell counts of the Sikhe samples presented no distinct differences in the early storage period, but the total microbial cell count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 over a longer storage period. Adding the extract did not affect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Sikhe. Thus,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addition of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 has no impact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ikhe and can reduce the amount of added sugar. In addition, these results indicate Astragalus membranaceus may inhibit normal microbial growth and extend the shelf life of Sikhe.

  • PDF

우식유발식품에 의한 인공타액내 pH 변화와 당 분해 효소 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tificiality Salivary pH and Sugar Fermentation Test of Caries Potentiality Foods)

  • 지윤정;박수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3-309
    • /
    • 2012
  • 청소년을 대상으로 간식섭취실태를 조사하고, 간식품의 총당도, 간식품의 pH, S. mutans의 산생성능과 당분해효소활성도를 측정하여, 치아우식유발지수가 낮은 간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치아우식유발지수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간식품 28종류의(고체군 21가지, 액체군 7가지) 당도를 측정한 결과 오레오가 43.5로 가장 높았고, 스윙칩과 마이쮸가 39.3, 땅콩카라멜 38.8, 츄파춥스 37.2, 소보루빵 33.9 순이었으며, 포카리스웨트와 녹차가 0으로 가장 낮았다. 설탕이 많이 함유된 음식에서 총당도의 값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S. mutans의 산생성능에 의한 pH 평균값은 pH 5.33이였으며, 실험군의 S. mutans 산생성능에 의한 평균 pH변화는 10분 배양 후 pH 5.27, 30분 후 pH 5.21, 1시간 후 pH 5.15, 24시간 배양 후에는 pH 4.80으로 S. mutans의 당분해효소활성에 의한 산생성도 증가로 대조군보다 pH값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 S. mutans의 당분해효소활성도를 비색법으로 관찰한 결과 glucose의 활성도는 78.58%, sucrose의 활성도는 75%, galactose의 활성도는 71.42%로 대부분의 시료에서 Positive인 orange & yellow color로 나타났다.

Changes of Vacuum Packed Pork Quality during Storage after Aging with Korean Traditional Sauces

  • Moon, Sung-Sil;Jin, Sang-Keun;Kim, Il-Suk;Park, Ki-Hoon;Hah, Kyung-He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5-321
    • /
    • 2006
  • Sixteen somimembranosus muscles were seamed out from sixteen left carcasses. They were cut into $7{\times}10{\times}2cm$ pieces and mixed randomly. Samples were assigned to four treatments: (T1) soy-based sauce; (T2) Kimchi-based sauce; (T3) pickled shrimp-based sauce; and (T4) onion-based sauce. Each treatment was aged in plastic box at $1^{\circ}C$ for 10 days. These samples were vacuum-packaged after treatment with sauces and held in a chill at $1^{\circ}C$ for 28 days. The pH of aged port in general,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storage in all treatments. Its falling rate was the slowest in T4 of all treatments, while it was faster in T2 and T3 than in T4. The salinity of aged pork was decreased (p<0.05) for T2 with increased storage days, but increased (p<0.05) for T1. The salinity showed T2 to b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1 and T4 on 1 day, but to be lower(p<0.05) than T1 on 28 day. The saccharinity of T3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on 1 day than those of T1 and T4, but decreased (p<0.05) on 14 and 28 day. While saccharinity of T1 was significantly the lowest(p<0.05) of all treatments on 1 day and increased (p<0.05) with increased storage days. For T1 and T2, the WHC (water holding capacity) results showed higher (p<0.05) on 14 day than on 1 and 28 day. On 28 day, the WHC result showed T4 to be the highest(p<0.05) of all treatments, but T2 to be the lowest (p<0.05). On 28 day, the shear force results showed a big difference (p<0.05) among treatments, being in order of T4>T3>T2>T1. Panelists rated T1 as having higher(p<0.05) aroma,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an other treatments.

참다래 과즙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Pressed Kiwi(Actinidia chinensis var. 'Halla Gold') Juice)

  • 오현정;백진우;이주연;오영주;임상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10-120
    • /
    • 2013
  • 참다래 과즙, 카라기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5가지 참다래 젤리를 제조하여, 일반성분, 당도, 산도, 색도, 텍스츄어 등의 품질특성 및 관능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5가지 참다래 젤리 시제품의 일반성분 분석결과에서 수분, 조지방, 탄수화물의 함량은 5%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조회분, 조단백, pH 및 총산의 함량에서 차이를 보였다. 참다래 과즙 첨가량이 높을수록 pH는 낮았고, 산도는 높았다. 참다래 젤리의 당도는 첨가한 참다래 과즙의 양이 많을수록 당도가 높았으며,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 페놀,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참다래 과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카라기난의 농도가 높을수록 참다래 젤리 시제품의 경도, 검성, 씹힘성은 높아졌고, L값은 낮아졌다. 5가지 참다래 젤리 시제품 중 향, 단맛, 텍스츄어, 전체적인 기호도는 JKJ(Jeju Kiwi Jelly)-3 시료가 가장 높았다 : JKJ-3 시료의 수분함량은 $75.1{\pm}0.5%$, 탄수화물은 $24.2{\pm}0.5%$, 조단백은 $0.29{\pm}0.05%$, 회분은 $0.44{\pm}0.02%$를 보였다. 참다래 과즙 20% 및 카라기난 2.3% 첨가한 JKJ-3 시료의 향은 3.65, 단맛은 3.35, 경도는 3.35, 텍스츄어는 3.50, 전체적인 기호도는 3.60을 나타내었다.

  • PDF

오렌지 및 포도 농축액과 과당의 첨가량에 따른 soy kefir의 품질특성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Orange and Grape Concentrates, and Fructos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Kefir)

  • 이숙영;나성훈;이시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30-335
    • /
    • 200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haracterize the quality of soy kefir made with soymilk in combination with fructose (5%, 10%) and one of the extracts from orange (10%, 15%) and grape (5%, 10%) with differently adjusted amounts as defendant variables. The lactic acid bacteria, yeast and total microbial counts of soy kefir were respectively $1.3{\times}10^7$ CFU/ml, $1.6{\times}10^8$ CFU/ml, $1.5{\times}10^8$ CFU/ml, soy kefir was propered to drink. pH of soy kefir mixed by orange and grape extracts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dd fructose 5%. Acidity became significantly high when orange and grape extracts were added, which means acidity showed similar tendency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saccharinity of soy kefir was not significantly in orange extract, but soy kefir added fructose 10% was high more than fructose 5% in grape extract. In sensory evaluation, soy kefirs added orange extract 15%, fructose 5% and grape extract 10%, fructose 5% were estimated highly on color, astrigent taste, sour taste, mouth feel and overall quality.

분말 마와 절편 마의 품질변화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nges Powder Yam and Sliced Yams)

  • 고의석;심원철;김찬우;이학래;전규배;김재능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7-3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분말 마와 절편 마의 품질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알코올 전처리시 농도와 그 시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 색차, 무게, 수분함량, 당도, 부패율 변화를 측정하였다. 절편 마의 알코올 전처리는 5%, 10% 농도의 알코올을 이용하여 각각 5초, 10초씩 침지시켰으며, 포장재는 OPP ($30{\mu}m$), PET ($30{\mu}m$), ON ($30{\mu}m$)를 사용하였다. 분말 마는 저온저장을 하였을 때 품질의 변화 없이 유지되었으며 상온저장에서는 약 5일 이후 품질이 변화되었다. 또한 분말 마는 유통 중 수분의 차단을 위해 수분 차단성을 고려한 포장재 사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편 마의 품질유지효과는 저온저장에서 ON 필름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분말 마와 절편 마의 갈변 억제를 위해서 저온저장에서 산소투과도가 낮은 소재를 사용할 경우 품질저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건강음료로서의 자작나무 수액의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인자 (Factors Affecting on Sap Flows of Birch Trees, Betula platyphylla as a Healthy Beverages)

  • 조남석;김홍은;민두식;박철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3호
    • /
    • pp.93-99
    • /
    • 1998
  • Lately public interest in tree saps of maple and birch trees stimulated to increase demands for sap drink as a natural medical beverage. In order to understand factors affecting tree sap flows, birch species, particularly Betula platyphylla in Mt.Sobaek area, were monitored for daily sap flows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DBH, tapping hole sizes and direction of hole drilling on the trunks.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saps were also analyzed. The sap flow initiated from the end of March and finished at the end of April. The flow maxima appeared from April 14th to April 26th. Total amounts of the sap flow obtained from birch tree were over 1,800 ml per day per one tree. Sap flow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DBH and tree age. Six milimeter drilled hole resulted in the highest sap flows. Sap flows increased with increases of diameter and height of the trees. Hole drilling to downward side(south-facing) of tree produced almost doubled sap flows than that of upward one(north-facing), while rightside drilling produced same amounts of saps to that of leftside one. Six mm drilling gave the best results not only in maximum flows but also effective hole occluding rates. The saps have in the range of 4.5 to 5.6 pH and l.0 - 2.0% of saccharinity. Sucrose, glucose, fructose and high mineral contents were found in the saps of birch tree. The tree saps could be utilized not only medicinal drink, but also one of the healthy beverages.

  • PDF

전통 양념이 저온 숙성 돼지고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ditional Seasoni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Temperature Aging Pork)

  • 진상근;김일석;허선진;박기훈;류현지;김인진;하경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1041-1050
    • /
    • 2005
  • 돼지 뒷다리 부위를 동일한 비율의 양념액((T1, 간장소스; T2, 김치소스; T3, 새우젓소스; T4, 양파소스)에 침지하여 $1{\pm}1^{\circ}C$에서 30일간 저온에서 숙성기간 동안 양념 돈육의 품질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숙성기간동안 pH는 T3구가 가장 높게 나나났으며(p<0.05), 염도와 당도는 T1구가 높았다. 보수력은 T3를 제외하고는 숙성기간 동안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전단가는 T1구와 T4구는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VBN은 T1구와 T3구는 숙성 20일까지 증가하다 30일에 다시 감소하였으며, T2구와 T4구는 숙성 20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p<0.05). TBARS는 T1구는 숙성 초기에 비해 숙성 20일 이후 크게 증가하였으며(p<0.05), T2구는 전 숙성기간 동안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면육색의 경우 L*값은 숙성 초기에 비해 숙성 말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a*값과 b*값은 숙성기간에 따라 T2구는 증가하고 T4구는 감소하였다. 심부육색에서 L*값은 숙성기간에 따라 T1구와 T3구는 낮아졌고 T4구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값과 b*값은 숙성기간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는 대부분 숙성 10일까지는 상승하다 숙성 말기에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처리구 간에 T3구는 숙성 초기부터 높게 나타났다(p<0.05). 대장균 수는 T4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들에서는 숙성기간에 따라 감소하였다. 유산균 수는 T3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들은 숙성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숙성기간에 따라 일정한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숙성 초기에 T4구에서 향, 풍미, 연도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숙성 10일과 20일에는 T1구가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처리구 간에 주목할 만한 품질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각 처리구마다 각각의 고유한 품질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숙성 양념육으로서의 가치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