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onvexity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1초

3-11세 아동의 두개 및 연조직의 성장변화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SEMI-LONGITUDINAL STUDY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CRANIO-FACIAL SOFT TISSUE OF CHILDREN AGED FROM 3 TO 11)

  • 박영철;최광철;한희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91-904
    • /
    • 1997
  • 현대 교정의 치료 목표는 기능 교합과 안모의 심미성에 있다고 하겠으나 이중 심미적 외모에 대한 중요성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경조직과 연조직의 성장과 발육에 대한 지식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이전의 연구는 주로 두부방사선적 연구를 통한 골격적 분석에 치중하여 왔다. 하지만 안모의 심미성에 관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악안면 연조직은 하부경조직의 영향을 받지만 긴밀한 연관 관계를 구하기는 어렵다는 연구들이 근래에 보고되었다. 이에 본 저자는 성장기 한국인 3-11세 아동 중에 전신 질환이 없고 발육 상태가 양호하며 교합 상태가 정상인 남자 137명과 여자 106명을 대상으로 만 2년간 두부 방사선 사진을 채득하여 연조직의 분석을 facial form, lip position & posture, Nose, Thickness의 4 부분으로 나누어 성장과의 관계를 연구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Facial Form Facial convexity가 남자 아동에 있어서 약간의 증가량을 보였는데 이는 A-Sn의 증가율이 남자 아동에서 큰 것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또한 안면 하방 구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방 구조보다 더 많은 성장이 일어났다. 2. Lip position and posture Nasolabial angle은 연령에 따라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이 평균값은 남자 93.11, 여자 97.56으로 서양인의 102보다는 예각을 보였으며 Esthetic line에 대한 돌출도는 대체로 큰 변화가 없었다. 남자 아동이 여자 아동보다 입술의 돌출도가 더 큰 값을 보였는데 이는 심미적 이유로 발치를 고려할 때 차이를 보일 수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상악 전치의 노출도는 남녀 공히 2-3mm의 값을 보였다. 3. Nose 비저의 절대적 길이는 성장에 따라 증가하는데 비해 Sn-N'-Pn은 연령 증가의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코의 성장이 전하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4. Thickness A-Sn의 길이는 남녀 아동에 있어서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그중 남자 아동에 있어서 변화폭이 컸다. 상순 후경과 하순 후경 역시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Pogonion의 연조직 두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다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

  • PDF

Influence of heritability on craniofacial soft tissue characteristics of monozygotic twins, dizygotic twins, and their siblings using Falconer's method an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 Song, Jeongmin;Chae, Hwa Sung;Shin, Jeong Won;Sung, Joohon;Song, Yun-Mi;Baek, Seung-Hak;Kim, Young H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11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eritability on the craniofacial soft tissue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of monozygotic (MZ) twins, dizygotic (DZ) twins, and their siblings (SIB). Methods: The samples comprised Korean adult twins and their siblings (mean age, 39.8 years; MZ group, n = 36 pairs; DZ group, n = 13 pairs of the same gender; and SIB group, n = 26 pairs of the same gender). Thirty cephalometric variables were measured to characterize facial profile, facial height, soft-tissue thickness, and projection of nose and lip. Falconer's method was used to calculate heritability (low heritability, $h^2$ < 0.2; high heritability, $h^2$ > 0.9). After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 was performed to extract the models, we calculated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value and heritability of each component. Results: The MZ group exhibited higher ICC values for all cephalometric variables than DZ and SIB groups. Among cephalometric variables, the highest ${h^2}_{(MZ-DZ)}$ and ${h^2}_{(MZ-SIB)}$ values were observed for the nasolabial angle (NLA, 1.544 and 2.036), chin angle (1.342 and 1.112), soft tissue chin thickness (2.872 and 1.226), and upper lip thickness ratio (1.592 and 1.026). PCA derived eight components with 84.5% of a cumulative explanation. The components that exhibited higher values of ${h^2}_{(MZ-DZ)}$ and ${h^2}_{(MZ-SIB)}$ were PCA2, which includes facial convexity, NLA, and nose projection (1.026 and 0.972), and PCA7, which includes chin angle and soft tissue chin thickness (2.107 and 1.169). Conclusions: The nose and soft tissue chin were more influenced by genetic factors than other soft tissues.

아시아 성인 연조직 측모의 비교분석 (SOFT TISSUE PROFILES OF YOUNG ORIENTAL ADULTS)

  • 정규림;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81-889
    • /
    • 1997
  • 이 연구는 정상 교합과 양호한 안모를 가진 169명의 남자와 174명의 여자 아시아 각국 인을 대상으로 연조직 측모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100명의 한국인, 100명의 중국인, 72명의 월남인 및 71명의 일본인으로부터 촬영된 측모두부방사선사진 상에서 9개의 계측점을 설정하고 전산 입력한 뒤 6 개의 연조직 계측 항목에 대한 측정을 시행한 후 통계 처리하였다. 분산 분적에서 중국인의 총 측모(GI'-Pr-Pg')는 한국인이나 월남인에서 보다 적은 돌출도를 보였다(P<0.01). 중국인의 안면평면측모(GI'-Sn'-Pg') 역시 월남인 보다 적은 돌출각을 나타내었다(P<0.01). 홀더웨이의 하순각(Pg'-LS:N-B)은 월남인에서 가장 컸고 다음으로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의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월남인의 상순은 중국인에서보다 리???츠의 심미적 기준선에 더 많이 근접하였고 한국인과 일본인에서의 상순은 기준선보다 후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하순은 심미적 기준선에 근접한 반면 중국인과 월남인의 하순은 기준선 보다 2 mm 전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인과 월남인의 비순각은 중국인과 일본인에서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간의 성차는 기본적으로 코의 높이에서 상이하였고 이로 인하여 여자에서의 총 측모각과 비순각이 남자보다 크게 나타났다(P<0.001). 이러한 결과는 아시아 각국인 들의 연조직 측모에 대하여 단일 표준치에 의한 분석 평가가 적절하지 않으며 각 인종별 표준치 설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PDF

측두하악관절 퇴행성관절질환을 동반한 전치부개교환자의 측모두부방사선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APPRAISAL OF THE OPEN-BITE CASES WITH THE DEGENERATIVE JOINT DISEAS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 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55-474
    • /
    • 1993
  • Degenerative joint disease(DJD) has hun known as one of the diseases which affect the middleor old-aged people. But as orthodontists are getting interested in the adult orthodontics, it is not rare for them to meet the open-bite patients with the TMJ DJD in their clinic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open-bite cases with TMJ DJD. Twelve TMJ DJD patients($15.1\~39.5$ years old) were selected from the patients who visited Department of Orthodon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ephalograms were taken and means from 60 measurements were compared by t-test with those of the fifty four healthy adults($20.0\~26.7$ years old) who have normal occlusion and TMJ. In this study male and female are compared respectively, for in the normal samples 26 measurem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and the female. The results and conclusions axe as follows: 1 In DJD group, ANB and Angle of convexity decreased, which means the retruding of the mandible. The interincisal angle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The means of the overbite were -2.1mm in male and -3.0mm in female, and the means of the overjet were 5.6mm in male and 6.7mm in female. The profile was similar to that of Angle's Class II div.1 open-bite. 2. SN-GoMe and FMA increased in DJD but SN-PP and FH-P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MJ DJD open-bite cases, the bony structure lower than the palatal plane seem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open-bite. 3. In DJD group, PH-ArGo, SArGo and Y-sxis angle increased significantly, but genial angl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means of hか were 50.1mm in male and 40.2mm in female, which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of the normal(56.5mm in male, 50.9mm in female). These findings seemed to indicate the posterior rotation of mandible resulted from the shortening of the ramus height. 4. Anterior faical height(AFH), upper anterior facial height(UAFH) and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LAEH) of DJD showed no significant increase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ram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upper anterior facial height to lower anterior facial height(UAFH/LAFH). But, lower posterior facial height(LPFH)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5. It was thought that the peculiar profile of the TMJ DJD open-bite was resulted from the posterior rotation of mandible as the ramus became short following the degerative destruction of of the condylar head and neck.

  • PDF

한국인 악안면 연조직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F KOREAN SOFT TISSUE PROFILE)

  • 오천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9-93
    • /
    • 1982
  • The purpose of orthodontic treatment is to achieve normal occlusion and good facial esthetics for individual patients. To produce harmonized facial balance, treatment planning for patient who require orthodontic treatment should include both a hard tissue and soft tissue cephalometric analysis. Author studied to derive the normal standards of soft tissue profile in Koreans by roentgenocephalometric analysis. For this study 12 soft tissue profile landmarks were plotted and 23 linear length, 9 soft tissue thickness, 8 vertical height length, 12 angles of soft tissue profile, and 3 vertical proportion were measured. The subjects consisted of 166 males and 209 females from 7 to 19 years with normal occlusion and acceptable profiles, and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ag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From the basis of N-Pog (Nasion-Pogonion) plane, the growth of facial soft tissue in the middle region especially nose area was greater than others facial region. 2. From the basis of G-Pog' (Glabella-soft tissue Pogonion) plane, the values of linear measurement of soft tissue Nasion and Inferior labial sulcus decreased and nose tip grew forward as growing older. 3. The growth of the facial soft tissue thickness was greatest in superior labial sulcus and the thickness of soft tissue nasion gradually became thinner as growing old. 4. The thickness of upper and lower lip was 14.47mm, 14.57mm in adulr male, 12.76mm, 13.78mm in adult female. 5. The soft tissue thickness of the lower lip was thicker than that of upper lip in all age groups and both sexes, 6. The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lips were 25.04mm, 49.97mm in adult male and 23.50mm, 48.39mm in adult female. 7. By the significant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fifth adult group on all vertical length measurements of lower face. 8. In fifth adult group, the perpendicular distance from LS, LI to Steiner's line and Ricketts' esthetic line were as follow; Steiner line to LS, LI were 7.98mm, 5.84mm in male. Steiner line to LS, LI were 6.71mm, 5.08mm in female. Ricketts' esthetic line to LS, LI were -0.40mm, 1.72mm in male. Ricketts' esthetic line to Ls, LI were -1.38mm 0.65mm in female. 9. In fifth adult group, the facial convexity angle and lower facial component angle were $171.17^{\circ}142.94^{\circ}$ in male and $172.5^{\circ}$, $144.41^{\circ}$ in female.

  • PDF

안면골격 형태와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CO-CR DISCREPANCY AND FACIAL SKELETAL TYPE)

  • 조진영;이영준;박영국;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39-853
    • /
    • 1998
  • 이 연구는 각 유형의 부정교합과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량 간의 상호관련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각 부정교합자 군에서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를 3차원적으로 비교 평가하고, 각 안면골격 형태의 특징에 따른 변위량의 차이 유무를 분석하고, 각 유형의 부정교합 골격형태에서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와 두개안면골격 계측요소 간의 상관성을 검정하였다. 242명의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중심교합위 상태에서 얻어진 측모두부X선규격사진을 계측하고 이들을 수평적, 수직적 관계에 의하여 9군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들로부터 중심위와 중심교합위에서의 교합기록을 채득하고 face-bow로 안궁이전을 한 뒤 석고모형을 교합기에 중심위 상태로 탑재하였다. CPI를 이용하여 중심위와 중심교합위의 하악과두위치를 측정하고 이들과 각 군의 측모두부X선규격사진 계측치와의 상관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통계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의 양과 방향에서 좌측과 우측은 증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후방보다는 상하변위의 좌 우측 상관성이 다소 높았다. 2. II급 부정 교합군이 I 급과 III급 부정교합군에 비해 좌우측간의 중심 교합위-중심위 변위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3. 각 부정교합군에서의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 유형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중심교합위 상태의 측모두부X선규격사진상에서의 안면골격의 형태요소와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간에는 상관성이 적었다. 5. II급 brachyfacial skeleton과 III급 mesofacial skeleton의 일부 계측치에서 CPI수치를 예측할 수 있는 항목들이 나타났다.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의 양과 방향은 특정한 안면형태요소와는 무관하며 하악과두의 위치변이는 부정교합양태나 안면골격 형태와 관계없이 발현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