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ral geography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5초

농촌지향 이주 가구의 귀촌적응과정과 영농실태 (Adaption Process of Migration and Reality of Households Heading to Farming)

  • 오수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1-11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귀촌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귀촌적응과정과 영농실태를 분석하여 특성에 따른 귀촌정책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시민의 농촌지향 이주자들이 어떤 동기와 특성을 갖고 귀촌하였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실태를 살펴보았다. 귀촌동기는 경제외적 사유가 주를 이루며, 귀촌 시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은 배우자와 부모로 나타났다. 귀촌자금은 초기영농활동을 위해 주로 사용되었으며, 영농생활 시 가장 큰 도움과 영농지식과 기술을 가장 많이 얻은 곳은 이웃 독농가였다. 영농생활의 가장 큰 애로사항과 농촌 거주시 가장 큰 불편사항은 영농자금조달과 소득수준이며 이를 위한 정부 지원책을 가장 바라고 있었다. 향후 농촌생활방향은 농업을 본업으로 하며 농촌에 계속 거주하겠다고 응답하여 미래의 농촌현실은 밝을 것이다. 앞으로 이와 같은 동향과 특성을 기초로 세밀한 도시민의 농촌지향 인구의 정착방안에 대한 발전전략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 PDF

고령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도시와 농촌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 Employment: Focusing on the Comparison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 구양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4-12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으로, 특히 도시와 농촌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노인실태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가구관련 특성, 경제적 특성, 최장기직업 특성, 생활환경 특성, 지역 특성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거주 노인에 비해 농촌거주 노인이 현재 일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았다. 도시와 농촌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 고령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더 다양하고 복잡하게 나타났다. 고령자의 일자리에 있어서 도시와 농촌의 지역 차이에 따른 차별화된 정책과 지원이 필요함을 도출할 수 있다.

  • PDF

농촌지역의 컴퓨터와 인터넷 보급 : 강원도 황둔 정보화마을의 사례 (Computers and the Internet in Rural Areas: The Case of Hwangdun E-village)

  • woo-kung Huh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01-515
    • /
    • 2001
  • 강원도 원주시 황둔 마을은 2000년 강원도의 농츤정보화 시범마을로 지정된 곳으로, 마을에 고속통신망이 놓이고 100가구에 컴퓨터가 그리고 66가구에는 인터넷 텔레비전이 보급되었으며, 또한 마을 행정실을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갖춘 정보센터로 꾸미게 되었다. 황둔의 정보화사업은 전례가 없던 일로 곧 전국적인 관심을 불러 일으켰고, 전국 농촌 여러 곳에서 엇비슷한 정보화 시범 사업이 필쳐지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황둔 정보화마을의 이러한 전위적 위치에 주목하여. 2001년초에 현지 조사하고 정보화마을 사업이 황둔 마을과 그 주민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인지를 밝히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컴퓨터와 인터넷 텔레비전 보급가구 및 이용자의 특성, 컴퓨터의 이용 빈도와 내용 및 문제점, 컴퓨터 도입 이후의 마을 변화 등을 중점 조사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설명하고, 학술적 정치적 시사점을 토론하였다.

  • PDF

러번 디자인과 도시환경 개선 (Rurban Design and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

  • 이자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7-15
    • /
    • 2018
  • 러번 계획은 자연지형, 농촌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보전하고 수용하여 도시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산업화 기간 동안 훼손된 커뮤니티를 회복시킬 수 있는 디자인적 개념이다. 한국의 서울 일극 집중과 대도시 스프롤에 의한 도시 주변지역의 농촌요소 감퇴 및 지역성 파괴는 산업화 이후 도시 개발의 난제가 되어 왔지만, 여전히 국토 불균형 개발과 환경 훼손이 과제로 남아있다. 20세기 후반 제시된 뉴어바니즘의 전통과 다양성 회복이라는 계획 사조는 일찍이 산업화와 도시화를 경험한 대도시의 계획의 패러다임이 되고 있다. 그러나 뉴어바니즘의 유럽식 혹은 미국식 계획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러번 디자인의 철학적 개념은 농촌적 요소의 활용을 보다 직접적으로 적용하고, 자원 순환적인 환경보전과 적정한 소비 및 적합한 규모를 중심으로 한 계획, 지역의 특성을 최대 활용한 경관디자인 계획이라는 점에서 뉴어바니즘의 한계를 보완하는 실천적 전략이 될 것이다.

Rethink the interlink between land degradation and livelihood of rural communities in Chilga district, Northwest Ethiopia

  • Gashu, Kassahun;Muchie, Yitbare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4호
    • /
    • pp.139-149
    • /
    • 2018
  • Background: Ethiopia is among the poorest countries where land degradation caused livelihood problem to its inhabitants. The livelihood of rural communities in Ethiopia is seriously threatened by land degradation. Land is the major natural resource that economic, social, infrastructure, and other human activities are undertaken on. Thus, land resour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rural livelihoods, and lack of sustainable land management practices leads to land degradation. Thu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interlink between land degradation and livelihood of rural communities in Chilga district, Northwest Ethiopia. It also addresses the factors which influence income diversification for livelihood of households in the study area. Result: The result depicts that the major causes of land degradation are both natural and anthropogenic. Land degradation and livelihood are negatively interlinked with each other. The livelihood of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in the study area is dependent on subsistence agriculture both farming and animal husbandry with low diversification. The survey result showed that more than half (69%) of the sample households have farm size of less than 2 ha, nearly one third (31%) have 2.0-2.5 ha, and insignificant number of farmers have more than 2.5 ha. More than 80% of the respondents pointed out that land degradation has impacts both on crop yield and livestock production. Most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farmland size, and family size have statistical significant influence (at P < .01 and P < .05 levels) for income diversification of households, while marital status on the other hand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ough it has positive relation with income diversification in this study.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awareness should be created in the community about the livelihood diversification mechanisms which enabled them to engage in different income-generating activities and comprehensive watershed management should be implemented.

농촌개발정책이 농촌경관 변화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ural Landscape Change by Government's Development Policy)

  • 강영은;최동욱;홍성희;정윤희;김상범;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21-35
    • /
    • 2011
  • 본 연구는 근대화 이후 급격하게 변천되어온 우리나라 농촌지역 원형의 모습과 이의 변화양상을 고찰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근대 이후 농촌지역의 변천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한국 농촌농촌경관 변화의 보편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향후 농촌경관의 보전 및 관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 목적이다. 농촌경관의 변화를 면밀히 파악하기 위한 경관유형은 해당 경관이 입지하고 있는 장소 및 속성에 따라 주거경관, 생산경관, 녹지경관, 수변경관, 가로경관, 상징 및 신앙경관의 총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이의 유형별 총체적인 변화 내용 및 과정을 분석하였다.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에 의하여 도출한 경관의 변화 양상은 크게 경관 요소의 형성, 변경, 이전, 손실, 복원의 5가지 유형으로 도출할 수 있었으며, 경관의 전체적 구조 및 구성체계 등의 거시적 변화에서부터 개별 경관요소의 형태, 재료, 크기, 색채 등의 미시적 변화에 이르기까지 복합적인 경관변화가 지속되어온 것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농촌개발정책에 의한 농촌경관의 변화를 거시적 차원에서 분석한 연구로, 개발정책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농촌마을에 적용시키기 어렵다는 것이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농촌개발정책의 흐름과 경관변화간의 상응관계에 주목하여 변화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농촌경관계획 및 관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기초로 향후 연구는 개발정책으로 인한 경관변화뿐만이 아니라 사회 경제적 요소 등 다양한 측면으로 인한 변화 양상을 고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귀농·귀촌인(가구)의 정착 및 적응 실태와 정책적 함의 - 경상북도를 사례로 - (Settlement and Adaptation Status of Urban to Rural Migrants and Policy Implications : the Case of Gyeongbuk Province)

  • 이철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7-225
    • /
    • 2015
  • 본 연구는 경상북도를 사례로 귀농 귀촌의 유형별 정착 및 적응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경상북도 귀농 귀촌인(가구)의 속성은 시 공간적으로 차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이들의 정착 및 적응 실태는 그 유형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밝혀졌다. U턴은 영농과 농촌공동체생활의 경험을 가진 이촌향도 1세대가 주류로, 상대적으로 경종에 종사하는 비중이 크다. J턴과 I턴은 귀농 초기 영농기술과 농촌생활에 대한 경험이 없고 전원생활의 향유가 주된 동기로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의 비율이 높다. U턴은 상대적으로 타 유형에 비해 적응과정에 있어서의 만족도가 낮고 그 과정의 문제점은 주로 가족 및 공동체 자산을 통해서 해결하고 있다. I턴과 J턴은 정착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준비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정책적 함의로는 일반적이고 포괄적 지원정책의 탈피, 귀농 귀촌의 지역 및 유형별 속성에 '뿌리내려진 정책(embedded policies)'으로의 전환, 귀농 귀촌정책 거버넌스 체제의 개선, 이주 전 준비과정에 대한 지원 및 유형별 맞춤형 지원의 강화 그리고 귀농 귀촌가구와 기존 주민의 정주기반의 통합적 개선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귀향농가(歸鄕農家)의 발생원인(發生原因)과 적응과정(適應適程) (The Cause and Adaptation Process of Kwihyang Nongga)

  • 우종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9-113
    • /
    • 1997
  • 본 연구는 영농을 목적으로 도시에서 농촌으로 거주지를 이동하는 귀향농가의 발생이유와 그들의 적응과정을 미시적 사례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1980년대 이전의 귀향농가 발생은 가족 부양이나 도시적응실패 등의 사회적 원인이었지만 최근의 귀향농가 발생은 재배작물의 수익성을 고려한 경제적 원인이 더 크게 작용된 결과이다. 귀향농가의 발생유형은 이촌 후 고향으로 귀농하는 경우가 많지만 직접적인 영농경험이 없는 도시거주자가 수익성을 고려한 특정작물의 재배를 목적으로 귀농하기도 한다. 특히 최근의 귀향농가는 농업경영형태에 있어서 소유농지가 전혀없이 순수 임차에 의해 발생되기도 하며 농지의 매입보다 임차지의 확대를 통해 경영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그런점에서 귀향농가의 증가는 산업화 이후 노동력부족에 따른 농촌의 경지이응을 저하를 완화시키는 방안이 될 수 있다. 현재까지는 귀향농가의 비중이 미약한 것이 사실이지만 최근들어 증가 추세에 있고 귀향하는 경영주가 젊은 연령층이므로 이들에 의한 파급효과는 기대해 볼 수 있다. 따라서 과소지역으로서의 농촌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귀향농가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모색되어야 하는데 이들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자금지원이나 영농조건의 개선도 중요하지만 교육여건과 생활시설의 개선 등 하부구조의 확충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 PDF

귀농.귀촌지 선정에 있어서 이중환의 <택리지> 재조명 - 현대 귀농.귀촌 지침서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Interpretation of Jung-Hwan Lee's in the Decision Making of a Returnfarm Place -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Contemporary Guide Books -)

  • 허성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21-128
    • /
    • 2012
  •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returnfarmer is increasing in Korea, interlinked with baby boomer's retirement. One of the returnfarmer's serious problems is the decision making for his returnfarm place. This study intends to get information about a ideal returnfarm place by interpreting Jung-Hwan Lee's written in the Choseon Dynasty, and to use it for returnfarmer's decision making as a lesson in the present age. In the results, this study could finds 8 evaluation criteria in his book except his 4 requirements for a ideal place to live : Ji-ri(地理, geographic), Saeng-ri(生理, physiology), In-sim(人心, popular mind), and San-su(山水, landscape), which are (1) distance from seoul, (2)multi-habitation, (3)convenient transportation, (4)a natural disaster, (5)thief(public order), (6)refuge from a war & escaping from a troubled society, (7)feeling from a place, and (8)Jang-gi(poison coming from earth).

유럽 산간마을의 건축과 경관형성실태에 관한 연구 - 독일의 남서부지역 블랙 포레스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rchitecture and Structure of Landscape Building in Remote Mountain Village - Focused on Southwestern Black Forest Area, Germany -)

  • 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41-4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ether the architecture of the mountain village conforms to the geography and local landscape, and become a unique scenic element. Also, the study is to grasp the status of the village landscape design elements. The methods and contents of the study were surveyed by field research with references in Biederbach community, an isolated mountain village in Southwestern Germany. The time frame for the survey research is July 2015. The contents of the study include the analysis of the village's landscape structure, architecture, and landscape design pattern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First, the village landscape structure seen in the mid-distance view is the hilly scene of the alpine region, which houses the sloping terrain of Black Forest and surrounds the residential area with the grassland covered by the Black Forest. Second, the main elements of the town's landscape building are historical culture, traditional architecture, topology and nature, and artificial environmental design. Third, the landscape design utilizing the village's resources creates a sustainable community's residenti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