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brics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1초

두 초임 수학교사의 수업의 질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quality of instruction of two beginning mathematics teachers: Toward the above criteria)

  • 박미미;김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1호
    • /
    • pp.179-198
    • /
    • 2022
  • 수학 수업의 질은 교사들마다 그리고 교사들의 수업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일정 수준 이상의 질을 가지는 수학 수업을 운영하는 역량은 경력교사 뿐만 아니라 초임교사들에게도 요구된다.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이 질적으로 큰 상이함 없이 일정 수준 이상의 질을 보여주는 지를 확인하는 것은 교사교육의 현황을 가늠해보는 척도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의 질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를 위한 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교육 및 근무 환경 등에서 유사점이 많은 두 초임 수학교사의 수업을 edTPA의 수업 실행 규준 중 학습 환경, 학습 참여, 학습 심화, 표상 도구 규준의 네 가지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은 모든 규준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점수가 나타났으나, 다른 한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은 학습 환경 규준을 제외한 나머지 규준에서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유아관찰기록척도(K-COR-II) 타당화 연구 (A Study for Validation of the Preschool Child Observation Record (COR) for Korean Children)

  • 신나리;오정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309-337
    • /
    • 2013
  • 본 연구는 루브릭 형태로 개발된 유아 평가 중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받은 미국 하이스코프 재단의 유아용 Child Observation Record-II를 국내 유아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타당화하여 유아관찰기록척도(K-COR-II)로 명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대전, 경기 및 충북에 소재한 8개 어린이집의 만 3세부터 만 6세 유아 255명과 담임교사 32명을 대상으로 2개월 이상의 관찰 후 K-COR-II를 사용하여 평정을 실시하였고, 공인타당도 확보를 위하여 K-CDI를 함께 실시하였다. 신뢰도와 문항양호도 검중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상관분석과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 및 AVE와 개념신뢰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K-COR-II 각 항목의 내용타당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판별타당도 분석 결과 하위영역 간의 차별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확인적 요인분석과 AVE 및 개념신뢰도 지수 산출 검토 결과 집중타당도는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K-CDI를 이용한 공인타당도 결과 각 영역 간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관찰자간 신뢰도와 영역별 항목간 내적합치도 또한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판단되어 신뢰도 또한 확보되었으며, 각 문항별로 상 하 집단 간의 유의한 평균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문항변별도 또한 만족스러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타당화된 K-COR-II가 유아교육 및 보육현장에서 유아의 발달 수준을 가늠하는데 활용가능한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판단되었다.

프로젝트 기반 수업으로서의 조경설계 교과목 수업계획서 분석과 개선방안 (Analysis of Syllabi for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Courses as Project-Based Classes and Improvement Strategies)

  • 김아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1-65
    • /
    • 2016
  • 조경교육의 핵심인 설계 교과목의 설계도라고 볼 수 있는 수업계획서는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방법과 효과를 진단할 수 있는 중요한 매체이다.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의 2, 3학년 수준 조경설계 교과목의 수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설계교육의 현 실태를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수와 학생 사이의 계약서이자 학습활동 과정의 설계도와 학습 도구로서의 수업계획서 기능 제고가 절실하다. 둘째, 수업계획서에서 담아야하는 정보의 양을 늘리고 서술의 구체성을 높여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켜야 한다. 셋째, 스튜디오 수업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수업계획서의 세부 항목 개발과 상세한 서술이 필요하며 타 과목과의 관련성 속에서 설계스튜디오의 통합적 측면을 조망해줄 필요가 있다. 넷째, 설계수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전통적인 텍스트 중심 외의 다양한 수업 매체와 온라인 방식의 도입을 통해 쌍방향 소통 수업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다섯째, 수업계획서 구성 요소들 간의 상호 연관성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수업목표와 평가기준간의 관련성, 교재 및 참고문헌과 주차별 수업활동과의 관련성이 구체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을 상세하게 제시하고,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도입하여 평가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제고해야 한다.

수학과 서술형 평가의 문항개발 사례 연구 - 4-나 단계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scriptive Problems in Grade 4 Mathematics)

  • 홍지연;김민경;노선숙;권점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335-352
    • /
    • 2008
  • 본 연구는 수학과 서술형 평가에 관한 문항개발 사례 연구로서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평가문항과 평가기준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평가문항과 평가기준의 개발절차를 마련하고 초등학교 4-나 단계의 각 단원에 해당되는 구체적인 서술형 평가 문항과 그에 대한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 과정에서 문항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서술형 평가 문항과 평가기준을 초등학교 4학년 학급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집단미술치료가 학습장애 청소년에게 미치는 효과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중심으로- (An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Adolesc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Focusing on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Sociability -)

  • 임현희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31-23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improving students self-esteem and sociability by conducting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focused on thre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ttending B middle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 located in K county.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wo hours once a week (Friday) at B middle school during special education class from May 2, 2014 to July 18, 2014. Methods. For the tools of studying, Self-esteem and social strip forms/rubrics were filled, by students', before and after and data processing was inspected, paired t-Test using the SPSS / WIN (Ver.18.0) for quantitative analysis. Also, on the basis of content, analyzed data of the individuals' self-esteem social changes are shown in graph format. In addition, this qualitative study shows before and after of dynamic house, tree, person (K-H, T, P), dynamic family (KFD), dynamic school life of search phase (4-6 sessions) significant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sociability in adolesc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fluenced by conducting a Group Art Therapy Program.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Program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showing that self esteem average is 2.04 before Group Art Therapy Intervention but self esteem average is 2.92 after Group Art Therapy Intervention. Second, as a result of social strip pre-post, there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self esteem pre-post result, although, post examination's average level was enhanced after Group Art Therapy Program in difference examination.(p>.05).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indicated pre-post change of Students' pre-post dynamic house, tree, person (HTP), dynamic family (KFD), a dynamic school daily life (KSD), students' famil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concept shows statistical significant changes. Conclusio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Group Art Therapy Program shows effective improvement in students'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learning disabilities. However, a future study on larger and more diverse group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re advised to be conduct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디자인씽킹 기법을 활용한 중학교 가정교과 의류 업사이클링 소품제작 수업개발 (Instructional Development of Making Upcycle Clothing Accessories for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lasses Applying the Design Thinking Technique)

  • 유명숙;이예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3-187
    • /
    • 2021
  • 본 연구는 창의성 함양을 위해 중학교 1학년 의생활 부분 중 '의복관리와 재활용' 단원을 중심으로 디자인씽킹 기법을 활용하여 가정교과 의류 '업사이클링' 소품 제작 수업을 개발 및 적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교수체제개발 모형인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를 활용하였고 디자인씽킹 과정은 관련 지식 이해, 공감, 문제 정의(관점공유) 및 아이디어 생성, 프로토타입 제작, 테스트, 실물 제작의 단계를 적용하였다. 교사 13인으로 구성된 전문가의 자문 결과도 개발과 평가 과정에 반영하였고, 학생들의 피드백을 활용해 학습목표의 달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디자인씽킹 기법을 활용하여 10차시의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 학습자료, 평가 루브릭을 완성하였다. 또한, 수업참여 학생들의 피드백으로부터 다양한 의복 재활용 방법 탐색을 통한 윤리적 책임감 향상, 창의적이고 친환경적인 의생활 실천, 의류 실습 용구의 안전한 사용 방법 습득, 사고력, 공감능력,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패션에 대한 진로 탐색과 심미적인 것에 대한 관심 확장이 성취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과학적 논증과정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The Development of Rubrics to Assess Scientific Argumentation)

  • 양일호;이효정;이효녕;조현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3-220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과학적 논증과정 평가를 위한 루브릭을 개발하는 것이다. 루브릭의 개발을 위해 과학교육에서의 논증과정과 관련된 문헌의 분석을 통해 루브릭의 개발 절차및 평가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루브릭 개발의 일반적인 절차를 따라서 논증과정 평가의 기준을 형식, 내용, 태도의 세 가지 범주를 문헌을 통해 도출하였다. 형식의 범주에는 전체의 구성, 주장, 근거, 결론의 하위 기능으로 세분화하였고, 내용의 범주에는 이해, 신빙성, 추론으로 하위 기능을 세분하였으며, 태도의 범주에는 참여도와 개방성을 하위 기능으로 정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각각의 하위기능의 평가에 대한 기준을 구체적인 5단계로 제시하였다. 문헌 연구를 토대로 개발된 평가 루브릭은 과학 교육 전문가 1인과 동료 연구자들의 정기적인 세미나를 통해 점검 받았다. 개발된 초기의 루브릭은 과학교육 전문가 4인에게 의뢰하여 문제점 및 개선점에 대한 검증을 받아 다시 수정되었으며, 최종 완성된 루브릭은 과학교육 전문가 4인에게 타당도를 검증받아 내용타당도지수 0.96으로 높게 나타났다. 개발된 루브릭을 통해 학생들의 논증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있고, 논증과정 프로그램 개발과 논증과정 평가를 위한 기준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