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se bengal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5초

부루셀라병 다두이환 목장의 혈청항체가 조사 (A serological survey on large outbreak of bovine brucellosis in dairy farm)

  • 김상윤;김정화;김대원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9-167
    • /
    • 1999
  • This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serological confirmation on large outbreak of bovine brucellosis in two dairy farms. Serological tests were performed by the plate agglutination test, tube agglutination test,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complement fixation, ,test(CFT) and rose bengal plate test(RBPT). Total 200 heads(134 heads in farm A and 66 heads in farm B) were tested. The primigravida and positive group have been raised separately in the farm A and both group have been raised together in the farm B.. The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Positive ratios in positive herds of farms by the tube agglutination test were 68.3% in farm A and 53.2% in farm B. 2. Seroconversion to brucella was observed in the primigravidas group in farm B, but was not observed in the primigravidas group in farm A. 3. All calves born in positive herd were serologically negative at time of test. 4. Positive ratio of ELISA in farm A was higher than that of tube agglutination test. 5. Number of positive reactors by the CFT, RBPT in farm A were equal to those of tube agglutination test.

  • PDF

QUENCHING OF TYPE II PHOTOSENSITIZER IN THEIR TRIPLET STATES BY $\alpha$-TOCOPHEROL VIA AN ELECTRON TRANSFER REACTION

  • Boo, Yong-Chool;Lee, Keum-Pyo;Jung, Jin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5권3호
    • /
    • pp.125-129
    • /
    • 1998
  • Occurrence of an electron (or H atom equivalent to one electron plus H+) transfer from $\alpha$- tocopherol $\alpha$(TOH) to a number of photosensitizers in theri triplet states were investigated by monitoring the ESR signal of $\alpha$-chromaoxyl radical ($\alpha$(TO.) in ethanolic solutions of $\alpha$TOH and the sensitizers under continuous illumination. Every sensitizer molecule examined, such as protocholorophyllide (Pchl), hematoporphyrin and rose bengal which are generally regarded as efficient type II photosensitizers and thus have long-lived triplet states, was fou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an electro transfer reaction with $\alpha$TOH even under air-saturation conditions, generating $\alpha$TOH complex as an intermediate in a fashion of Michaelis-Menten type of reaction. For the reaction of $\alpha$TOH with triplet Pchl, the rate law was derived by applying the steady approximation for the binary complex, triplet Pchl-$\alpha$TOH , which turned out to be well consistent with the kinetic data.

  • PDF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에 관한 연구(II)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Jeju Native Plant Extracts(II))

  • 박수남;김진영;양희정;이근하;전소미;안유진;원보령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5-173
    • /
    • 2007
  • 선구 연구로부터 저자들은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보호 효과에 대한 결과의 일부를 이미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나머지 37종의 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미백 그리고 주름생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DPPH)을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으로 인한 luminol의 화학발광을 이용한 소거 활성, 사람 적혈구를 대상으로 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활성산소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측정으로는 각각 tyrosinase,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free radical의 소거 활성($FSC_{50}$)은 소귀나무 수피(Myrica rubra, 5 ${\mu}g/mL$),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 8 ${\mu}g/mL$)에서 높게 나타났고, 활성산소 소거 활성($OSC_{50}$)은 상수리나무 잎(Quercus acutissima)과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에서 0.009 ${\mu}g/mL$로 높게 나타났으며, 세포보호 효과(${\tau}_{50}$)는 50 ${\mu}g/mL$에서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 895 min), 버드나무 줄기(Salix koreensis, 640 min)에서 크게 나타났다. 200 ${\mu}g/mL$에서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소귀나무 수피(Myrica rubra, 77.8%),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버드나무 줄기(Salix koreensis, 76.2%)에서 큰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광대싸리 수피, 소귀나무 수피, 상수리나무 잎, 버드나무 줄기, 동백나무 잎/줄기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제조를 위한 원료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에 제품화를 위하여 좀 더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면역조직 화학법 및 단백질체 변화 분석을 통한 한우에서 발생한 브루셀라증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ovine Brucellosis in Korean Native Cattle by Means of Immunohistochemistry and Proteomics)

  • 장성준;도선희;기미란;홍일화;박진규;조유정;박상준;김태환;곽동미;정규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3-160
    • /
    • 2010
  • 면역조직 화학법 및 단백질체 변화 분석을 통한 한우에서 발생한 브루셀라증의 특성 본 연구는 브루셀라증 감염 소 혈청으로부터 분리한 항 브루셀라 면역글로블린 항체를 이용하여 조직 면역 염색을 통한 브루셀라증 진단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고 병의 발생과 관련한 기능적 진단 마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Rose-Bengal test에 대해 양성 반응을 나타내어 브루셀라증으로 진단된 17개의 케이스와 음성 반응을 나타낸 19개의 대조군 케이스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실에서 분리한 항 브루셀라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반응에서 간의 중심 소엽에 위치한 간세포의 세포질, 신장의 사구체 및 관 상피에서 강한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감염된 소의 간과 비감염 대조군의 간의 2차원 전기 영동법에 의한 단백질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발현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5개의 단백질 스팟과 반대로 대조군에 비해 발현량이 현저히 감소한 5개의 단백질 스팟을 선별 하였다. 이 중 카탈라아제와 3-hydroxyacyl-CoA dehydrogenase의 발현 증가는 브루셀라증에 의한 장독 쇼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증가에 대한 방어적 반응으로 사료 되었다. 결론적으로, 항 브루셀라 면역글로불린 항체는 감염 조직의 감별 진단을 위한 좋은 진단 재료 임과, 더 나아가 단백질체학 분석을 통해 브루셀라증 진단 및 병리 연구를 위한 새로운 마커 단백질을 제시하였다.

레스베라트롤의 세포보호 및 항산화 효과 (Cellular Protective Effec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Resveratrol)

  • 조나래;박수아;전소하;하지훈;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4권5호
    • /
    • pp.483-48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레스베라트롤의 산화적 손상대한 세포 보호 효과와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레스베라트롤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은 ($FSC_{50}$) $103{\mu}M$로 나타났다. 루미놀화학발광법을 이용하여 $Fe^{3+}-EDTA/H_2O_2$계에서 레스베라트롤의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 소거활성은($OSC_{50}$)을 평가하였다. 레스베라트롤은 $0.042{\mu}M$로 나타나 비교물질로 사용한 L-ascorbic acid ($0.405{\mu}M$)보다 9.6배 우수한 활성산소 소거활성을 보였다. 또한 레스베라트롤은 지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alpha}$-tocopherol보다 우수한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독성 조사에서 레스베라트롤은 $50{\mu}M$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HaCaT 세포에 $800mJ/cm^2$의 UVB 또는 $30{\mu}M$의 rose-bengal을 처리하였을 때, 레스베라트롤은 농도의존적으로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항하여 세포를 보호하였다. 그러나 10 mM의 $H_2O_2$를 처리한 경우에, 레스베라트롤은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의 결과들은 레스베라트롤이 항산화능 및 세포보호 효과를 통해서 피부 노화를 예방하고 개선하는데 있어 이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여뀌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Persicaria hydropiper L. Extracts)

  • 김은희;김정은;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3-30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여뀌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주름 효과를 통한 항노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여뀌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에서 $5.23\;{\mu}g/mL$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여뀌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은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0.40\;{\mu}g/mL$)이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여뀌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여뀌 추출물의 경우 $1\;{\sim}\;10\;{\mu}g/mL$의 농도에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측정으로는 각각 tyrosinase 및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aglycone 분획($8.90\;{\mu}g/mL$) 에서,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도 aglycone 분획($2.37\;{\mu}g/mL$)에서 가장 큰 저해활성을 나타났다. 여뀌 추출물중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e 분획에 대한 실험 결과로부터 항산화,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유치원의 실내환경에서 공기중 미생물 수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Monitoring of Airborne Microbial Concentrations in Kindergartens)

  • 황광환;이아미;신현진;김종설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53-259
    • /
    • 2003
  • 미생물학적 실내공기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울산에 위치한 3곳의 유치원을 대상으로, 2002년 4월에서 2003년 1월에 걸쳐 계절별로 공기 중의 미생물 농도를 결정하였다. 미생물의 포집에는 충돌식 공기 채취기를 사용하였으며, 세균수는 Staphylococcus medium과 plate count agar, 진균수는 dichloran rose bengal chloramphenicol aga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Staphylococcus medium에서 생장한 세균의 평균 농도는 827.0 MPN/㎥ 로 83.5~4,149.1 MPN/㎥의 범위였으며, plate count agar의 경우는 평균이 580.3 MPN/㎥로 50.0~2,636.0 MPN/㎥의 범위였다. 계절별 평균값은 여름이 가장 높았고, 가을, 봄, 겨울의 순이었으며, 세균의 집락수와 실내온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계절에 따라 그람양성의 구균은 전체 세균 집락의 45.6~61.0%, 그람음성의 막대균이 8.5~20.6%를 차지하였으며, Micrococcus spp.가 가장 우점하였다. 진균의 농도는 평균이 660.8 MPN/㎥로 0~1,887.5 MPN/㎥의 범위였으며, 계절별 평균값은 여름이 가장 높았고, 겨울이 가장 낮았다. 실내외 공기의 진균 집락으로부터 Penicillium spp.와 Aspergillus spp.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는 계절에 따른 미생물 농도의 변이와 학교의 실내환경에서 bioaerosol의 허용수준을 결정함에 있어 이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초등학교 실내환경에서 공기 중 세균과 진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Indoor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 김나영;김영란;김민규;조두완;김종설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93-200
    • /
    • 2007
  • 울산 소재 초등학교 3곳의 교실과 복도에서, 배양가능한 공기중 세균과 진균의 농도를 조사하고, 이들 미생물을 분리한 후 동정하였다. 세균과 진균의 포집에는 충돌식 공기 채취기를 사용하였으며, 세균수와 진균수의 측정에는 각각 plate count agar와 dichloran rose bengal chloramphenicol agar를 사용하였다. 학기 중 세균 농도는 교실에서 $168{\sim}3,887MPN/m^3$ 복도에서 $168{\sim}6,339MPN/m^3$의 범위였으며, 진균 농도는 교실에서 $34{\sim}389MPN/m^3$, 복도에서 $91{\sim}507MPN/m^3$의 범위로, 상황과 학교에 따른 측정값의 편차는 세균에서 진균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분리한 세균의 84%는 그람양성으로 관찰되었는데, 전체 시험한 세균의 61%는 Micrococcus 속으로, 이중 75%는 M. luteus로 확인되었으며, Staphylococcus속은 전체의 10%수준이었다. Micrococcus 속의 주요 발생원은 사람으로 생각되며, 함유한 색소나 높은 세포벽 함량 등의 생리적 특징이 이들 세균의 공기중 생존력을 높이는 것으로 추측된다. 포집한 시료로부터 15속의 사상성 진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ladosporium 속, Aspergillus 속, Penicillium속 등이 분리한 진균의 69%를 차지하였다. 1개 학교의 교실에서는 Stachybotrys속이 검출되었는데, 이 속의 S. chartarum은 많은 진균독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독소생산과 관련이 깊은 Aspergillus 속, Penicillium속, Stachybotrys 속에 대한 종 수준에서의 동정, 분리한 진균의 독소생산능력, 공기중 진균독소 검출 및 진균 농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등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쇠뜨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I) (Evaluation of Antioxidant Potential of Extract/Fractions of Equisetum arvense (I))

  • 박수남;양희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1-6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쇠뜨기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182.04{\mu}g/mL$) < ethylacetate 분획(54.50) <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14.13)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총항산화능은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OSC_{50}$, $3.54{\mu}g/mL$) < 50 % 에탄올 추출물(0.80) < ethylacetate 분획(0.006) 순으로 ethylacetat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쇠뜨기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5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sim}100{\mu}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ethylacetate 분획에서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추출물은 $10{\mu}g/mL$ 농도에서 $\tau_{50}$이 161.10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쇠뜨기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광화학적 허혈성 뇌졸중 모델에서 사심탕(瀉心湯)의 뇌세포 손상 보호효과 (The Protective Effects of Sasim-tang on the Brain Cell Damage in Photothrombotic Ischemia Mouse Model)

  • 강백규;윤종민;문병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72-586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sim-tang (SST) on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a photothrombotic ischemia mouse model. Methods : Photothrombotic ischemia was induced in stereotactically held male Balb/c mice using rose bengal (10 mg/kg) and cold light. The target of photothrombotic ischemic lesion was 1 mm anterior to bregma and 3 mm lateral to midline with 2 mm in diameter, which are decreased by oral administration of SST. Results : SST protected ischemic death of brain cells through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and catalytic activation of caspase-3 protease in photothrombotic ischemia mouse model.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ST can have protective effects on brain cell damage in a photothrombotic ischemia mouse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