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se bengal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18초

Rose Bengal의 광촉매 반응에 의한 $I_2$의 생성 (Formation of $I_2$ by a Photocatalytic Reaction of Rose Bengal)

  • 윤길중
    • 분석과학
    • /
    • 제9권1호
    • /
    • pp.72-77
    • /
    • 1996
  • 감응제 rose bengal과 초감응제 $I^-$를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쎌을 이용하여 태양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전환할 때 광전류는 안정화되고 지속적이지만 장시간의 광조사시에는 서서히 감소한다. 염료용액을 분광학적 및 전기화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rose bengal과 $I^-$의 광촉매 반응에 의하여 $I_2$가 생성되고 $I_2$가 빛이 없는 조건하에서도 rose bengal과 반응하여 염료 농도를 감소 시키는것이 확인되었다.

  • PDF

상이동 촉매 기법(phase transfer catalyst)을 이용한 rose bengal 시약의 최적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Composition of Rose Bengal Reagent using Phase Transfer Catalyst)

  • 오수진;차원진;최다운;홍성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45-252
    • /
    • 2018
  • 상이동 촉매기법을 기반으로 한 rose bengal 시약은 중성이나 염기성 용액에서 녹지 않는 난용성 염을 형성하는 칼슘을 타겟팅하는 시약으로, 물에 젖은 검체에서 잠재지문 현출시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어 최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선행연구에서는 rose bengal 시약으로 현출된 지문의 형광 특성을 관찰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제시된 시약의 제조법 또한 최적 현출 조건인지 검토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rose bengal 염료의 최대방출형광을 바탕으로 rose bengal염료와 상이동촉매제(Tetrabutylammonium)의 농도를 달리하여 최적의 시약 조성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rose bengal과 상이동촉매제의 농도가 각 0.01 M: 0.008 M일 때 가장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형저서동물에서 효율적인 DNA 추출 방법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DNA Extraction Method in Meiofauna)

  • 이승한;백진욱;이원철
    • 환경생물
    • /
    • 제29권3호
    • /
    • pp.138-143
    • /
    • 2011
  • 이번 연구에서는 중형저서동물의 생태학적 연구에 사용하는 Ludox와 Rose Bengal을 처리하였을 때, 고정액의 종류에 따른 DNA (mtCOI)의 추출 효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저서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 s.l.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였으며, 99% 에탄올과 4%포르말린의 두 종류의 고정액을 사용한 뒤 이들을 각각 대조구로 삼았다. 그리고 (1) Ludox HS40, (2) Rose Bengal, (3) Ludox HS40+Rose Bengal을 각각 시료와 반응시킨뒤, mtCOI 유전자를 추출하였다. 이후 PCR을 진행하고 산물을 전기영동하여 유전자의 증폭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은 30회 반복하여 실험간의 결과를 비교 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의 경우에는 대조구를 포함한 (1), (2), (3)의 실험 모두에서 96% 이상의 효율을 보였지만, 포르말린의 경우에는 대조구에서 27% 증폭되었으며, (1)과 (3)에서 약 3%, (2)에서 약 7%만 증폭되어 두고 정액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연구를 통해서 99% 에탄올이 중형저서동물에서 DNA를 추출하는 데 적합한 고정액임을 확인하였다.

Study on iodine Labelling (II) Efficient of Labelling Rose Bengal, Hippuran, and Human Serum Albumin in Small Scale

  • Kim, Jaer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권3호
    • /
    • pp.186-193
    • /
    • 1972
  • Rose $Bengal-^{131}$ /I, $Hippuran-^{131}$ /I, $H.S.A-^{131}$ /I 등을 효과적으로 합성하기 위해 표지 반응액의 pH, 염의함량, 반응액중의 완충용액의 부피 및 합성장치등에 따르는 표지 반응수율을 검토하였다. Rose $Bengal-^131{ }$I 및 $Hippuran-^{131}$ /I 의 반응수율은 PH 5.6에서, $H.S.A-^{131}$ /I 반응수율은 pH 8.5에서 각각 가장 좋았다. 반응액중에 함유된 염은 $Hippuran-^{131}$ /I의 생성반응을 크게 저해 시켰으며 H.S.A.의 표지수율은 어느 범위안에서 오히려 약간 향상시켰다. Rose $Bengal-^{131}$ /I 나 $Hippuran-^{131}$ /I 를 소규모 합성할 경우는 밀폐된 용기가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더 높은 표지수율과 좋은 재현성을 얻을 수 있는 반응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이에 따라 환원제가 함유된 국산 $Na^{131}$ /I를 사용하더라도 Rose $Bengal-^{131}$ /I과 $Hippurn=^{131}$ /I의 표지수율을 높일 수 있었다.

  • PDF

Rose Bengal 감응 광전류에 미치는 Urea의 영향 (Effect of Urea on the Rose Bengal Sensitized Photocurrent)

  • 윤길중;강성철;김강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00-605
    • /
    • 1990
  • 광전기화학쎌, ITO/SnO$2$/rose bengal, NaClO$4$/Pt을 이용하여 들뜬 rose bengal로부터 박막 반도체 SnO$2$의 전도띠로 주입되는 전류의 크기를 조사하였다. 초감응제로써 urea를 첨가하여 광조사 시간의 경과에 따라 광전류는 증가하다가 일정시간 후에는 계속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Urea를 포함하고 있는 염료용액을 분광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광화학 반응으로 염료의 농도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지만 염료회합(dye aggregation)이 전류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감응제 Rose Bengal과 초감응제 Thiourea의 광촉매 반응 (Photocatalytic Reaction of Sensitizer, Rose Bengal and Supersensitizer, Thiourea)

  • 윤길중
    • 분석과학
    • /
    • 제9권1호
    • /
    • pp.62-71
    • /
    • 1996
  • 광전기화학쎌을 사용하여 염료 감응법으로 태양에너지의 전기적 에너지 전환효율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초감응제 thiourea를 포함하는 rose bengal 감응 광전류의 크기는 thiourea가 존재할 경우 5배 이상이었으나 장시간에 걸친 광조사는 전류를 감소시켰다. 광조사 전후 염료 용액의 변화를 분광학적으로 조사한 결과 광촉매작용에 의하여 용액 중에서 염료가 광표백되고 불용성의 침전이 형성되어 그 결과 용액으로부터 염료가 사라져 광전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 PDF

Rose Bengal 과 Thiourea 의 광촉매 이합체화 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tocatalytic Dimerization of Rose Bengal and Thiourea)

  • 윤길중
    • 분석과학
    • /
    • 제12권3호
    • /
    • pp.209-217
    • /
    • 1999
  • Rose bengal과 thiourea로 각각 감응 및 초감응된 광전류의 감소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염료용액을 분광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광조사 전후 감응용액의 흡수 및 형광 스펙트럼을 분석하므로서 RB와 TU사이에 일어나는 광촉매 이합체화 반응 기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두 염료분자가 이루는 쌍극자 모멘트의 기하학적 배열은 사각이었으며, 이들 사이의 각도는 $124^{\circ}$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Rose Bengal과 Allylthiourea의 광촉매 이합체화 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tocatalytic Dimerization of Rose Bengal and Allylthiourea)

  • 윤길중;함은정;김강진
    • 분석과학
    • /
    • 제11권1호
    • /
    • pp.20-28
    • /
    • 1998
  • 감응제인 rose bengal과 초감응제인 allylthiourea를 포함하고 있는 광전기화학 전지를 이용하여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때, 광전류가 지속성이 없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광조사 전후의 염료 용액을 형광 및 흡수 분광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감응제와 초감응제 사이에 광촉매 이합체화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합체를 구성하는 각 분자의 기하학적 쌍극자 배열은 사각임을 확인하였다.

  • PDF

간담도질환(肝膽道疾患)에 있어서 $^{131}I$-Rose Bengal 및 $^{198}Au$ 교질(膠質)의 혈중소실율(血中消失率)의 진단적(診斷的) 의의(意義)에 관(關)한 연구(硏究) (Diagnostic Significance of the Blood Disappearance Rate of $^{131}I$-Rose Bengal and of $^{198}Au$ colloid in Hepatobiliary Diseases)

  • 전영균;고창순;한심석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18
    • /
    • 1971
  • The liver function test was performed by means of two radioisotope tracer techniques in 20 normal subjects and in 63 patients with hepatobiliary diseases. The blood disappearance rates of $^{131}I$-rose bengal and of $^{198}Au$ colloid were determined by external counting method. The hepatocellular function and the hepatic blood flow were estimated from the observed data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ventional liver function test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an blood disappearance half time of $^{131}I$-rose bengal was $6.6{\pm}0.63$ minutes in normal control, $17.7{\pm}6.93$ in cirrhosis of the liver, $16.6{\pm}4.80$ in acute hepatitis, and $14.7{\pm}3.46$ in obstructive jaundice. It was markedly prolonged in the hepatobiliary diseases as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hepatobiliary diseases. 2. The mean blood disappearance half time of $^{198}Au$ colloid was $4.0{\pm}0.66$ minutes in normal control, $9.8{\pm}3.42$ in cirrhosis of the liver, $4.4{\pm}0.82$ in acute hepatitis, and $5.0{\pm}1.42$ in obstructive jaundice. The difference between cirrhosis of the liver and normal contr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 definite difference among acute hepatitis, obstructive jaundice, and normal control. The mean blood disappearance rate constant (K value) was $0.177{\pm}0.028/minute$ in normal control. In cirrhosis of the liver, it was markedly decreased which was suggestive of the reduced hepatic blood flow. 3. The ratio of $^{131}I$-rose bengal blood disappearance half time to $^{198}Au$ colloid disappearance half time was $1.68{\pm}0.20$ in normal control, $1.82{\pm}0.31$ in cirrhosis of the liver, $3.80{\pm}0.82$ in acute hepatitis, and $3.01{\pm}0.54$ in obstructive jaundice. The ratios in acute hepatitis and obstructive jaundice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in normal control and cirrhosis of the liver. 4.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blood disappearance half time of $^{131}I$-rose bengal and that of $^{198}Au$ colloid in cirrhosis of the liver. 5. In cirrhosis of the liver, the blood disappearance half times of $^{131}I$-rose bengal and of $^{198}Au$ colloid were inversely correlated to the serum albumin level. In acute hepatitis, there was a goo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blood disappearance half time of $^{131}I$-rose bengal and the serum transaminase activities. In obstructive jaundice, the blood disappearance half time of $^{131}I$-rose bengal was correlated to the serum bilirubin level.

  • PDF

혈청지질의 광산화 반응에 미치는 인삼추출물의 영향 (The Effect of Ginseng Extracts on Photooxidation in Serum Lipid)

  • 백태홍;천현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234-238
    • /
    • 1989
  • In the presence of a photosensitizer, rose bengal, phooxidatlon in serum total lipids has been studied and the effects of ginseng water extract and saponins on it have reviewed. In the presence of rose bengal, serum total lipids undergo photooxidation and produce lipid hydroperoxides. On the other hand, ginseng water extract and dial saponins largely inhibit photooxidation and decrease the amount of lipid hydroperoxides in serum total lipi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