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nodule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7초

파종기와 재배방법에 따른 논 재배 콩의 품종별 생장분석 (Effect of Planting Date and Cultivation Method on Soybean Growth in Paddy Field)

  • 조준형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1-204
    • /
    • 2006
  • 파종시기와 포장조건을 달리한 콩의 논 재배 시 R2와 R5 시기의 생육반응과 R5 시기의 수량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 품종들의 경장에 있어서 R2와 R5 시기 모두 단작 시험구가 맥후작 시험구보다 긴 경향을 보였다. 파종 시기와 재배법 모두를 고려해 보면 단작의 경우 평휴 재배가 그리고 맥후작의 경우 고휴재배에서 다소 긴 경향을 보였다. 근류의 형성은 평휴보다 고휴재배에서 많았고, 파종기 및 재배 방법에 상관없이 황금콩이 가장 높았다. 단작 보다 맥후작 시험구에서 공시 5품종 모두 콩 생육기 진전에 따른 엽면적 증가 뚜렷하였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 생산량에 있어서 맥후작 보다 단작 시험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생육기간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재배 방법 별로는 지상부 건물중이 평휴에서 높았던 반면 지하부 건물중은 고휴재배에서 보다 양호하였다. 이러한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은 T/R율에 영향을 주는데, 재배 방법별로는 평휴조건이 T/R율이 높았으며, 파종시기별로는 단작의 T/R율이 맥후작보다 높았다. 태광콩, 대원콩, 황금콩은 R2 시기에는 단작의 T/R율이 높았던 반면, R5 시기에는 맥후작의 T/R율이 높았는데, 이는 이들 품종이 생육기 진전됨에 따라 지하부 생육이 지상부 생육에 비해 미약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등숙기인 R8 시기에서 협수는 조생종인 화엄풋콩이 가장 적었고, 소립종인 은하콩이 가장 많았고,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평휴보다는 고휴에서 그리고 단작구보다 맥후작 파종구에서 협수가 많은 경향이었다. 조생종인 화엄풋콩이 맥후작에서 등숙이 낮았고, 황금콩과 은하콩은 단작구보다 맥후작에서 등숙율이 높았다. 수량성은 품종간 차이가 있는데 대원콩과 태광콩에서는 6월 19일 파종이 5월 25일 파종에 비해 수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

싸리(Lespedeza bicolor Turcz.)의 공생 질소고정활성과 생육환경요인의 변화 (Changes of Nitrogen-Fixation Activ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Growth in Lespedeza bicolor Turcz)

  • 송승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317-322
    • /
    • 1992
  • 형제봉 서쪽 사면에 소나무와 혼생하는 싸리군집의 생육기간중 공생근류의 질소고정활성의 계절변화와 환경요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근류는 1년생으로서 그 활성은 최대생장기인 6월중에 최대치 $120\;\mu\textrm{M}\;C_2H_2{\cdot}nodule\;g\;fw^{-1}{\cdot}hr^{-1}$이었고, 생육휴지기에는 활성이 소실되었다. 질소고정활성에 대한 최적의 pH, 온도 및 산소농도는 각각 중성, $30^{\circ}C$ 및 18 Kpa $O_2$의 호기상태였으며, 토양수분의 stress는 1.5 Mpa에서 56%의 활성감소를 보였으며, ${NO_3}^{-}와\;{NH_4}^{+}$ 1 mM 처리는 각각 85%와 12%의 활성저해를 보였다. 토양환경은 약산성으로 질소, 인 및 유기물함량이 빈약하였고 잎의 엽면적과 엽록소함량은 각각 $440-483\;\textrm{cm}^2{\cdot}g^{-1}와\;33-32\;$\mu\textrm{g}\;chl{\cdot}g^{-1}$이었다. 잎, 뿌리 및 줄기의 질소함량은 각각 46, 19 및 $11\;mgN{\cdot}g\;dw^{-1}$, 인은 4.2, 1.2 및 $0.6\;mg{\cdot}g\;dw^{-1}$이었고, 각 기관별 질소와 인의 분배율은 잎에서 60, 59%, 뿌리에 73, 70% 그리고 줄기에 22, 26%이었다.

  • PDF

알팔파와 베치의 추출물 및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 (Allelopathic Influence of Alfalfa and Vetch Extracts and Residues on Soybean and Corn)

  • 정일민;김기준;김광호;안종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95-305
    • /
    • 1994
  • 본 실험은 alfalfa 와 vetch의 추출물과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실시 되었다.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영양생장기 때에 수확된 alfalfa 와 vetch를 건조시켜 추출물을 얻었고 또한 이들 잔기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하여 콩과 옥수수의 생육을 검토 하였고, 콩에 대해서는 근류균의 착생정도를 조사 하였다. 1. 발아시험에서는 롱과 옥수수의 발아율, 유근의 생장, 무게 등이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억제 되었으며, 최고 억제정도는 추출물 농도 20%에서 발생되었다. 추출물에 대하여 콩이 옥수수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alfalfa의 추출물이 vetch의 추출물보다 더 억제적이었다. 2. Alfalfa와 vetch를 silica sand에 혼합하여 콩과 옥수수의 간장, 엽면적, 지상부의 생육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콩의 간장, 업면적, 지상부 생육은 alfalfa처리에서 더 억제적 이었으며, 옥수수의 생육은 vetch 처리에서 촉진 되었다. 3. Alfalfa와 vetch처리가 모두 콩 뿌리혹의 형성을 억제시켰는데 alfalfa처리가 vetch의 처리보다 뿌리혹의 형성을 더 억제 시켰다. 4. Alfalfa와 vetch의 추출물과 잔기의 처리는 옥수수보다는 콩의 발아와 생육에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므로 콩 재배의 경우에는 이들 잔기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 PDF

고온하에서 질소시비가 근류균을 접종한 Alfalfa의 생육부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EFFECT OF NITROGEN AND AGE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 SEEDING ON GROWTH AND NODULATION WHEN GROWN UNDER A HOT ENVIRONMENT)

  • 김무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30
    • /
    • 1987
  • 영양액을 사용한 고온하의 Growth chamber에서 근류균을 접종한 Alfalfa의 수양시기별 작물명부위에 대한 실표시비의 영향에 관한여 미국 University of Nevada에서 실험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과 그장에 대한 실표시비의 효과는 높이 인정되었으나 근장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없는 다소의 증가을 보였다. 실표시비의 작물의 용접과 건물수량은 무실표구에 비하여 2배이상의 증가를 보여 실표시비의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근류의 착생수에 있어서도 실표시비의 효과가 인정되었으나 전구 공히 근류균의 활동이 미흡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들은 Alfalfa 분배시 소량의 실표시비의 장려를 암시하는 것 같다.

  • PDF

온도(溫度)가 땅콩근류균(根瘤菌)의 근류형성(根瘤形成) 경합(競合)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Soil Temperature on Growth and Nodulation Competition of Bradyrhizobium sp. Strains in the Rhizosphere of Peanut)

  • 이상복;최윤희;소재돈;김무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97-203
    • /
    • 1993
  • 항생제 내성변이 균주 HCR-46 $str^{r}cep^{r}$과 CB756 $str^{r}rif^{r}$를 종자피복방법(種子被覆方法)으로 땅콩에 접종(接種)하여 3처리(處理)의 온도(溫度)에 생육(生育)시켜 근권(根圈)에서 접종균주(接種菌株)의 밀도(密度)와 근류형성(根瘤形成) 경합(競合)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접종균주(接種菌株)는 땅콩의 생육(生育)과 함께 증식(增殖)되었고 식물체(植物體) 뿌리 g당(當) 증식속도(增殖速度)는 파종후(播種後) 10~15일(日) 사이에 가장 빨랐다. 온도간(溫度間) 증식속도(增殖速度)는 $28^{\circ}C$>$34^{\circ}C$>$22^{\circ}C$순(順)이었으며 접종균주간(接種菌株間)에는 HCR-46 $str^{r}cep^{r}$ 균수(菌洙)가 CB756 $str^{r}rif^{r}$ 균주(菌株)보다 $22^{\circ}C$$28^{\circ}C$에서는 더 높았고, $34^{\circ}C$에서는 비슷하였다. HCR-46 $str^{r}cep^{r}$ 및 CB756 $str^{r}if^{r}$ 균주(菌株)를 단일접종시(單一接種時) 처리(處理)한 모든 온도(溫度)에서 근류(根瘤)의 대부분이 각 균주(菌株)에 의하여 점유(占有)되었으나, 2개(個) 균주(菌株)를 혼합접종시(混合接種時)에는 $22^{\circ}C$$28^{\circ}C$에서는 HCR-46 $str^rcep^r$ 균주(菌株)에 의한 근류(根瘤) 점유율(占有率)이 CB756 $str^{r}rif^{r}$에 비(比)하여 월등(越等)히 높았고 $34^{\circ}C$에서는 2균주(菌株)가 비슷한 비율(比率)로 점유(占有)하였다. 식물체(植物體) 건물중(乾物重), 근류형성능(根瘤形成能),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대체로 $28^{\circ}C$>$34^{\circ}C$>$22^{\circ}C$순(順)이었으며, CB756 $str^{r}if^{r}$ 균주(菌株)보다 HCR-46 $str^{r}cep^{r}$ 또는 이들 2개혼합(個混合) 균주(菌株) 접종(接種)이 더 높았다.

  • PDF

석회(石灰)와 인산시용(燐酸施用)이 대두식물체중(大豆植物體中) Amide태(態) 및 Ureide태(態) 질소(窒素)와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의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Lime and Phosphate Application on Amide and Ureide Nitrogen of Soybean Plants and Soil Microorganisms)

  • 고재영;유인수;이상규;서장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9-76
    • /
    • 1991
  • 토양(土壤)의 pH, 유기물(有機物), 유효인산함량(有效憐酸含量)과 양(陽)이온 치환용량(置換容量)이 낮은 신개간지(新開墾地) 야산토양(野山土壞)에 석회(石灰) 및 석회(石灰)+인산(燐酸)을 시용(施用)하고 대두(大豆)를 pot재배(栽培)하여 대두(大豆)의 생육(生育), 식물체중(植物體中)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 amide태(態)및 ureide태질소(態窒素)와 근류수(根瘤數) 및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 등(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석회(石灰)+인산시용(燐酸施用)으로 대두(大豆)의 초장(草長), 경태(徑太)등은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현저(顯著)히 증가(增加)되었으며, 특(特)히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의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과 토착(土着) 근류(根瘤)의 무게는 처리간(處理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2. 식물체중(植物體中) amide태질소(態窒素)의 시간별(時期別) 농도변화(濃度變化)는 파종(播種) 후(後) 45일(日)에는 대조구(對照區)〉석회(石灰)>석회(石灰)+인산(燐酸) 순(順)이었고, 개화기(開花期)에는 석회(石灰)+인산(燐酸)〉석회(石灰)>대조구(對照區) 순(順)이었다. 3. 식물체중(植物體中) ureide태질소(態窒素)는 엽중(棄中)의 농도(濃度)가 파종후(播種後) 45일(日)때에는 대조구(對照區)>석회(石灰)>석회(石灰)+인산(燐酸) 순(順)이었고, 개화기(開花期)에는 석회(石灰)+인산(燐酸)>석회(石灰)>대조구(對照區) 순(順)이었다. 그러나 줄기에서는 그 반대(反對)의 순(順)으로 나타났으며 각(各) 시기 모두 치리간(處理間) 유의(有意)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4. 미생물(微生物)의 활성(活性)은 석회(石灰)와 인산(燐酸)의 시용(拖用)으로 토양(土壤) pH, 유효인산(有效憐酸) 및 치환성(置換性) 염기함량(鹽基含量)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높아졌다. 5. 개화기(開花期) 엽중(葉中)의 amide태질소(態窒素)는 대두생육(大豆生育), 토양중(土壤中) Al 및 Fe함량(含量)과는 부(負)의 상관을 ureide태질소(態窒素)와 대두생육량(大豆生育量)과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식물체중(植物體中) Al 및 Zn함량(含量)과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 PDF

토양산도에 따른 대두생육반응의 품질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 of Growth Response to Soil Acidity in Soybean)

  • 이홍석;정병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7-77
    • /
    • 1987
  • 토양산도의 차이가 대두품종의 생육 및 수량과 근류의 착생 및 활력 등에 미치는 영향을 추구하는 동시에 내산성 품종의 생리생태적 특성을 분명히 하고자 토양산성에 대한 생육반응을 달리하는 장백콩외 5개 품종을 공시하여 토양 pH 5와 7의 2수중에서 폿트 및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 절수, 총건물중 및 지상부 건물중 등으로 본 생육정도는 전반적으로 토양 pH가 낮을 때 감소되었으나 장백콩, 봉의 및 외알콩 등에서는 토양산도간 차이를 인정할 수 없거나 작은 편이었다. 2. 엽면적지수 및 개체당 엽면적도 토양 pH가 낮아지면 전반적으로 현저히 감소하였는데 그 정도는 품종 및 생육시기에 따라 다르며 특히 장백콩에서 토양산도간 차이가 작게 나타났다. 3. 엽중의 엽록소함량도 토양 pH가 낮으면 모든 생육시기에 걸쳐 전공시품종에서 감소하였는데 토양산도간 차이는 폿트시험에서는 봉의 및 외알콩에서, 그리고 포장시험에서는 단엽콩. 장백콩 및 외알콩등에서 각각 작게 나타났다. 4. 뿌리의 활력은 모든 품종에서 토양산도에 따른 고의적 차이를 인정할 수 없으며 전반적으로 생육중기에 활력이 높고 생육의 진전과 더블어 감소하였다. 5. 근류의 착생 및 활력도 토양 pH가 낮으면 대부분의 경우에 감소하였는데 그 정도는 품종에 따라 다르고 특히 봉의와 외알콩에서는 토양산도에 따른 근류착생의 차이가 작은 편이었고 단엽콩. 장백공, 장단백목은 근류의 활력 및 그의 토양산도간 차이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줄기 콩의 allantoin 질소함량은 전반적으로 개화성기에 최고에 이르고 생육의 진전과 더불어 현저히 감소하였는데 품종간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장백콩. 장단백목 및 황금콩 등에서 많은 편이었고 토양 pH가 낮아지면 모두 감소하였는데 그 정도는 특히 장백콩에서 작은 편이었다. 7. 엽중의 질소, 인산. 칼슘 및 마그네지움 함량등은 토양 pH가 낮으면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는데 그 정도는 질소 및 칼슘 함량에서 크고 그 밖의 성분에서는 작게 나타났으며 토양산도에 따르는 차이는 질소함량은 폿트시험의 경우에는 장백콩에서 개화성기 이후에 작게 나타났고 칼슘함량은 장백콩 및 봉의에서 그 차이가 현저하였다. 그러나 포장시험에서는 이와 같은 경향이 현저하지 않았다. 8. 수량구성요소중 개체당 협수 및 입수는 토양 pH가 낮은 경우에 크게 감소하였고 그 정도는 또한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어 단엽중과 황금콩에서 코고 장백콩, 봉의 및 외알콩 등에서 작았다. 그러나 협당 입수와 100입중은 토양산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9 종실수량은 품종. 토양산도간 및 이들의 상호작용에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어 황금콩은 각 토양pH 수준에서 다른 품종에 비하여 가장 다수이었고 단엽콩과 장단백목은 pH 7 수준에서는 다른 품종에 비하여 다수이었으나 pH 5 수준에서는 황금콩이외의 품종에서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토양산도간 차이는 장백콩에서는 거의 볼 수 없고 봉의와 외알콩에서는 미미하였으며 그 밖의 품종에서는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10. 수량과 수량구성요소간의 상관은 개체당입수와 협당입수가 수량과 유의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특히 토양 pH 5 수준에서 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개체당 협수는 pH 5 수준에서는 수량과 유의적 상관을 보였으나 pH 7 수준에서는 유예적 상관을 인정할 수 없었다. 11. 종실중의 단백질 함량도 토양 pH가 낮은 경우에 현저히 떨어졌는데 그 정도는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장백콩. 장단백목 및 외알콩 등에서는 그 차이가 별로 없었다. 12. 시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체로 토양 pH가 5인 산성조건에서는 영양생장이 억제되어 경장, 절수, 건물중, 엽면적 및 엽록소함량간 등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근류의 착생과 활력도 떨어져 줄기 중의 allantoin 질소함량이 낮아지는 한편 엽중의 질소, 인산, 칼슘 및 마그네지움 등의 함량도 떨어뜨려 결실률과 재체당 입수를 감소시키므로서 감수를 초래하고 아울러 종실중의 조단백함량도 떨어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산성조건에 의한 생육과 근류의 착생 및 활력의 감소와 그에 따른 allantoin 질소 및 주요 성분함량과 수량의 감소 등이 장백콩에서는 거의 없거나 적게 나타나 내산성품종의 특성을 잘 나타내었고 봉의와 외알콩도 산성조건에서 안정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関)한 연구(硏究) -II. 상이(相異)한 토양(土壌)에서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근류(根瘤)의 발달양상(発達樣相) 및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関)한 연구(硏究) (Studies on Symbiotic Nitrogen Fixation in Soybean -II. Seasonal Changes of Nodule Development and N2-Fixing activities of Rhizobium japonicum to the Different Varieties of Soybean under Different Soils)

  • 류진창;이상규;이혁호;홍종운;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4-91
    • /
    • 1983
  •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Rhizobium japonicum)의 유효(有効)한 활용(活用)을 위(為)하여 토양(土壌)이 상이(相異)한 조건(條件)에서 품종별(品種別) 근류(根瘤)의 발달양상(発達樣相)과 질소고정능(窒素固定能)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져 pot 및 실내실험(室內実験)을 통(通)하여 몇 가지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석회암토양(石灰岩土壌)에서는 콩파종후(播種後) 60일경(日頃)에 최대한(最大限) 유형성량(瘤形成量)을 보였으나, 신개간지토양(新開墾地土壌)은 파종후(播種後) 80일(日)까지도 근류형성량(根瘤形成量)이 증가(増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2.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근류착생량(根瘤着生量)은 육우(陸羽) 3호(号)와 H-25는 60일(日), 그리고 육우(陸羽)3호(号), Hill 및 광교(光敎)는 파종후(播種後) 70일(日)까지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増加)되었으며, 특(特)히 유효근류(有効根瘤)는 대두품종(大豆品種)에 관계(関係)없이 파종후(播種後) 20일경(日頃)부터 근류(根瘤)가 형성(形成)되어 60일(日)까지 지속(持続)되었음. 3. 토양별(土壌別) 근류(根瘤)에 의(依)한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은 파종후(播種後) 20일(日)에는 신개간지(新開墾地) 0.012mg/본(本)에 비(比)해 석회암토양(石灰岩土壌)에서는 0.112mg/본(本)으로 높았다. 그러나 생육일수(生育日数)가 경과(経過)됨에 석회암토양(石灰岩土壌)보다 신개간지토양(新開墾地土壌)에서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이 많았으며, 제일(第一) 높은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을 보인 시기(時期)는 파종후(播種後) 50~60일경(日頃)이었다. 4.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은 H-25 > 수원(水原) 63호(号) > Hill=육우(陸羽)3호(号) > 광교(光敎) 순(順)이었으며 대두(大豆) 1작기간중(作期間中)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을 반당(反当) (11,000본립모(本立毛))으로 환산(換算)하면 8.2~13.3kg/10a정도(程度)였다. 5. 순수분리배양(純粹分離培養)한 각균주(各菌株)의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은 (in vitro) A62-1 > 수원(水原)63호(号) > Hill > 광교(光敎) > 육우(陸羽) 3호(号)의 순위(順位)였으며 분리균주(分離菌株)의 아세치렌환원력(還元力)이 높았던 품종(品種)에서 근류(根瘤)에 의(依)해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도 많았다.

  • PDF

축적인산(蓄積燐酸) 유효화(有效化)에 미치는 규산(珪酸)과 퇴비(堆肥)의 시용효과 (Effects of Silica and Compost Application on the Availability of Accumulated Phosphate in Paddy and Upland Soils)

  • 이춘희;전성건;신원교;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1-286
    • /
    • 1990
  • 인산함량(燐酸含量)이 높은 논과 밭토양(土壤)에서 시비인산(施肥燐酸) 대신 규산(珪酸)과 퇴비(堆肥)를 10a당 200kg와 2,000kg을 시용(施用)하고 동진(東津)벼와 백운(白雲)콩을 재배시(栽培時) 인산(燐酸)의 유효도(有效度), 잔존량(殘存量) 및 시비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土壤)의 유효인산(有效燐酸) 증가량(增加量)은 규산(珪酸)+퇴비구(堆肥區)가 대조구(對照區)보다 60ppm 정도(程度) 많았고 규산(珪酸)과 퇴비(堆肥)에 의한 증가율(增加率)은 밭보다 논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게 높았다. 2. 식물분의 인산흡수량(燐酸吸收量)은 규산(珪酸)+퇴비구(堆肥區)가 대조구(對照區)보다 현저히 많았고 그 차이(差異)는 볏짚보다 콩경엽에서 더 컸다. 3. 인산흡수(燐酸吸收)는 토양(土壤)의 철함량과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였고 토양환원(土壤還元)과 콩 뿌리혹 수와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4. 토양(土壤)의 인산잔존비(燐酸殘存比)는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가 80%, 인산시용구(燐酸施用區)가 100% 정도(程度)되었고 규산시용(珪酸施用)으로 인산축적(燐酸蓄積)이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5. 벼 수량(收量)은 인산시용(燐酸施用)과 무시용(無施用) 간(間)에 차이(差異)가 없었고 콩 수량(收量)은 인산시용구(燐酸施用區) 무시용(無施用)보다 5% 감수(減收)되었다.

  • PDF

Rhizobium meliloti TAL1372에서 섬유소분해효소 유전자 클로닝 (Clonig of CM-cellulase Gene of Rhizobium meliloti TAL1372 in Escherichia coli)

  • 박용우;임선택;강규영;윤한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313-319
    • /
    • 1995
  • 본 실험은 알팔파(Medicago sativa) 근류균인 Rhizobium meliloti TAL1372 균주에서 섬유소분해효소의 활성을 확인하고 이 유전자를 크로닝하기 위해 코스미드 벡타인 pLAFR3를 사용하여 유전자 은행을 만들었다. 이 유전자 은행으로 부터 분리한 1,000개의 형질 도입체에서 CM-cellulase(carboxymethylcellulase) 활성이 있는 클론(pRC8-71) 하나를 분리하였으며 30kb 크기의 R. meliloti DNA 단편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CM-cellulase 유전자의 발현 산물을 native PAGE 법에 의하여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약 45kD 정도의 크기로 추정되었으며 pRC8-71로 부터 Tn5 변이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30kb 단편 내에서 CM-cellulase 유전자의 위치는 제한효소 KpnI에 의해 절단되는 약 3kb 단편에 존재하였다. 표시교환 변이법에 의해 야생균주 R. meliloti TAL1372로부터 cellulase 무생산 변이체를 얻어 근류형성 정도를 실험한 결과 CM-cellulase유전자가 근류형성에 관련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