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hardness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5초

토지이용별 전국 농경지 토양물리적 특성 (Soil Physical Properties of Arable Land by Land Use Across the Country)

  • 조희래;장용선;한경화;조현준;유진희;정기열;조광래;노안성;임수정;최승출;이진일;이원근;안병구;김병호;김찬용;박준홍;현승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44-352
    • /
    • 2012
  • 시설재배지는 주로 하성평탄지 등 평평한 지형에 분포하며, 밭과 과수원은 곡간 및 선상지, 구릉지 및 산악지, 산록경사지 등 경사지에 분포한다. 논은 곡간 및 선상지, 하성평탄지, 하해혼성평탄지 등 비교적 완만한 경사에 위치한다. 이처럼 토지이용별로 분포하는 지형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토지이용별로 물리성 기준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설재배지는 배수 및 양수분의 수직이동에 유의하여야 하며, 경사지는 침식과 양분유출에 대비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토지이용별로 토양 물리성 평균은 다음과 같다. 시설재배지는 표토심이 16.2 cm, 표토에 대한 물리성은 항목별로 경도 9.0 mm, 용적밀도 1.09 Mg $m^{-3}$, 유기물함량 29.0 g $kg^{-1}$, 심토에 대한 물리성은 항목별로 경도 19.8 mm, 용적 밀도 1.32 Mg $m^{-3}$, 유기물함량 29.5 g $kg^{-1}$ 이었다. 뿌리가 얕게 뻗는 작물에 대해서 표토심이 낮고 용적밀도가 높은 값을 보였다. 밭은 표토심이 13.3 cm, 표토에 대한 물리성 은 항목별로 경도 11.3 mm, 용적밀도 1.33 Mg $m^{-3}$, 유기물 함량 20.6 g $kg^{-1}$ (표토), 심토에 대한 물리성은 항목별로 경도 18.8 mm, 용적밀도 1.52 Mg $m^{-3}$, 유기물함량 13.0 g $kg^{-1}$ 이었다. 작물별로 물리성 평균치는 엽채류 < 과채류 < 장근채 ${\fallingdotseq}$ 단근채 순으로 값을 보였다. 과수원은 표토심이 15.4 cm, 표토에 대한 물리성은 경도 16.1 mm, 용적밀도 1.25 Mg $m^{-3}$, 유기물함량은 표토 28.5 g $kg^{-1}$, 심토에 대한 물리성은 경도 19.8 mm, 용적밀도 1.41 Mg $m^{-3}$, 유기물함량 15.9 g $kg^{-1}$ 이었다. 조사지점이 가장 많았던 과수 배는 표토심 14.4 cm, 경도 16.4 mm (표토), 19.7 mm (심토), 용적밀도 1.23 Mg $m^{-3}$ (표토), 1.40 Mg $m^{-3}$ (심토) 으로 평균에 근접한 값을 보였으며, 포도는 표토심 17.0 cm 경도 16.7 mm (표토), 20.0 mm (심토), 용적밀도 1.31 Mg $m^{-3}$ (표토), 1.45 Mg $m^{-3}$ (심토) 로 비교적 큰 값을 보였다. 논은 표토심 이 17.5 cm, 표토에 대한 물리성은 항목별로 경도가 15.3 mm, 용적밀도가 1.22 Mg $m^{-3}$, 유기물 함량은 23.5 g $kg^{-1}$, 심토에 대한 물리성은 항목별로 경도 20.3 mm, 용적밀도 1.47 Mg $m^{-3}$, 유기물 함량 17.5 g $kg^{-1}$ 이었다. 토지이용별로 용적밀도 평균치는 시설재배지 < 논 < 과수원 < 밭 순이었으며, 용적밀도 값의 분포는 표토는 1.0~1.25 Mg $m^{-3}$에서 가장 많았으며, 심토는 밭토양과 논토양은 1.50 Mg $m^{-3}$ 이상에서 50% 내외, 과수원토양은 1.35~1.50 Mg $m^{-3}$에서 40%로 가장 많았고, 시설재배지는 1.0~1.50 Mg $m^{-3}$에 고루 분포하였다. 토성 (속)별로는 대체로 식질에서 작은 값을 보였고, 미사식양질과 사질에 큰 값을 보였다. 토지이용과 토성에 따라 물리성 차이가 분명하였으며,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토양 물리성 관리 기준을 설정하여 건전한 작물생육 환경을 유지하고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밭토양(土壤) 물리성(物理性)과 고추 생육(生育)과의 상관(相關) 연구(硏究)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pepper Fields and Plant Growth)

  • 조인상;허봉구;김리열;조영길;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05-208
    • /
    • 1987
  • 고추 재배지(栽培地)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 적정(適定) 범위(範圍)와 지력판정(地力判定)을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저 전국(全國) 주요(主要) 고추 주산단지내(主産團地內) 94개(個) 포장(圃場)에서 포장환경(圃場環境), 토양(土壤)의 물리화학성(物理化學性) 및 생육(生育)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고추 재배토양(栽培土壤)은 전체(全體)의 72%가 사질(砂質) 토양(土壤)이었다. 고추 작황(作況)이 양호(良好)할수록 작토심(作土深), 유효토심(有效土深) 및 근권심(根圈深)이 깊었고 가비중(假比重)과 경도(硬度)는 낮았다. 고추 생육(生育)에 적당(適當)한 토양(土壤) 삼상(三相) 범위(範圍)는 고상(固相) 50%이하(以下), 액상(液相) 15%이상(以上), 기상(氣相) 20%이상(以上)이었다. 고추 생육(生育)은 작토심(作土深), 유효토심(有效土深), 근권심(根圈深), 경도(硬度), 가비중(假比重), 유효인산(有效燐酸)과 높은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고추 작황(作況)을 저해(沮害)하는 요인(要因)은 유효토심(有效土深)>가비중(假比重)>작토심(作土深)>경도(硬度)>경사(傾斜)의 순(順)이었다.

  • PDF

폭약(爆藥)에 의(依)한 과수원토양(果樹園土壤)의 물리성개량(物理性改良)에 관(關)한 연구 (The effect of Dynamite Explosion on Physical Properties of Orchard Soil)

  • 유순호;고광출;조영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1-66
    • /
    • 1979
  •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이 심근성작물(深根性作物) 재배(栽培)에 극(極)히 불량(不良)한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을 개량(改良)하여 우량과원(優良果園)으로 조성(造成)할 수 있는 손쉽고도 경제적(經濟的)인 방법(方法)을 찾기 위하여 저구릉지(低丘陵地)에 많이 분포(分布)되어 있는 전남식양토(全南埴壤土)에 대하여 1m 깊이에서 폭파처리하여 토양물리(土壤物理) 성화(性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아래와 같다. 1. 무처리구의 물리성(物理性)은 가비중(假比重), 경도(硬度)가 과도(過度)하게 크고 공극률(孔隙率) 및 기상이 근신장(根伸張)에 상당한 저해를 줄 정도로 낮았다. 이런 현상(現象)은 표토(表土)보다 심토(深土)에서 더욱 심(甚)하였다. 2. 화약폭파는 토양(土壤)을 파쇄시키고 균열을 만들어 줌으로서 가비중(假比重)과 경도(硬度)를 낮추고 공극량(孔隙量) 특히 대공극(大孔隙)을 늘려주는 효과가 크다고 인정(認定)되었다. 3. 물리성(物理性)을 적정수준(適正水準)으로 개량(改良)하는 효과범위는 폭약 두개를 사용(使用)한 경우 60cm 깊이에서 1m 반경이고 80cm 깊이에서는 30cm 반경이었다. 그러나 폭약 3개를 사용(使用)할 경우는 80cm 깊이에서도 1m 반경까지도 적정수준(適正水準)으로 물리성(物理性)이 개량(改良)되었다. 4. 파쇄 및 균열된 정도는 두개 사용시(使用時)는 불균일(不均一) 하였으나 3개 사용시(使用時)는 효과범위내에서 균일(均一)한 물리성(物理性) 분포(分布)를 나타내어 더욱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5. 폭약 2개를 사용(使用)하였을 경우 폭속(爆速)이 4,000m/sec, 폭발위력(爆發威力)이 50%인 초안폭약의 효과가 폭속(爆速)과 위력(威力)이 각각 5,000m/sec, 60%인 Gelatin 폭약보다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감초, 황기 추출물로 블랜칭 처리한 신선편이 연근의 갈변 억제 (Browning inhibition of fresh-cut lotus roots by blanching in Glycyrrhiza glabra L. and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extracts)

  • 김한빛;정헌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1-156
    • /
    • 2014
  • 신선편이 연근의 갈변을 저해하기 위해 감초, 황기 추출물로 블랜칭 처리하여 색도, 경도, DPPH radical 소거능, pH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갈변의 지표인 색도 $50^{\circ}C$ 값의 결과, 감초 또는 황기 추출물을 처리한 구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경도의 경우 모든 구에서 유의적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모든 구에서 저장 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감초 추출물 처리구의 활성이 가장 높게 유지되었다. pH는 저장 기간에 따라 모든 구에서 감소하였으나 대조구가 가장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의 경우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처리구의 함량은 증가하고 대조구는 그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처리구 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감초와 황기 열수 추출물의 블랜칭 처리가 신선편이 연근의 품질 열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갈변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장재 및 저장온도에 따른 건조 연근의 품질특성 (Effect of Packaging Materials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Dried Lotus Root (Nelumbo nucifera G.))

  • 권오흔;류정아;강동균;최소영;이혜련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777-783
    • /
    • 2010
  • 본 연구는 건조 연근을 포장방법(PE 필름, PP 필름, 마대, 종이봉투)과 저장온도(-5, 0, 10, $20^{\circ}C$)를 달리하여 품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분함량, 경도변화, 색도를 조사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수분의 함량은 PE, PP 포장재에서 종이봉투 및 마대 처리구 보다 수분함량이 높았으며,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수분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한편, 마대와 종이봉투 포장재는 온도에 따 시료간의 수분함량 차이에 있어서 PE와 PP의 포장재와 달리 큰 차이를 나타냈다. 색상은 $-5^{\circ}C$에 저장한 마대 및 종이봉투는 저장 330일까지 h값이 안정적인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0, $10^{\circ}C$, $20^{\circ}C$에서 저장한 마대, 종이봉투 포장재는 안정적이지 못한 경향을 나타냈다. 경도는 온도에 의해 약간 차이가 나지만 PE와 PP포장재가 다른 포장재보다 경도 값이 높았으며 또한 부패현상, 갈변반응 억제도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가열조리에 따른 올리고당 첨가 식품의 특성 및 당 안정성 비교 (Physical properties and sugar composition stability of food containing different oligosaccharides)

  • 신장호;이재은;장진희;한정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59-465
    • /
    • 2019
  • 설탕을 대체하여 프락토올리고당과 이소말토올리고당을 첨가당으로 딸기잼, 연근조림, 멸치볶음 세 시료를 일반 가정의 조리조건에서 조리한 후, 첨가당의 종류에 따른 식품의 물리적 특성 및 조리식품에서 올리고당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수분함량은 올리고당 첨가시료가 설탕첨가 시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올리고당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색도는 딸기잼과 연근조림의 경우, 프락토올리고당 첨가시료에서 조리 후 적색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세 시료 모두 올리고당 첨가군이 설탕첨가 시료보다 낮은 경도를 보였는데, 이는 첨가당의 수분함량 뿐 아니라 가열 후 수분의 증발 및 결정화정도에 따른 수분 보유력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올리고당을 첨가하여 조리할 경우, 올리고당의 체 내에서의 유익한 효과 이외에도 저작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한 메뉴 개발 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리 후 올리고당의 안정성을 비교했을 때 딸기잼과 멸치볶음에서 프락토올리고당의 함량은 조리 전에 비해 약 1/2로 감소하였으나 이소말토올리고당은 세 시료 모두 조리 전과 차이를 보이지 않아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잼, 볶음 및 조림류 같이 일반 가정에서 고온 가열조리 시에는 이소말토올리고당을 사용하는 것이 올리고당의 기능성 효과를 얻는 데에 바람직할 것이다.

화력발전용 저압터빈 최종 단 블레이드에 대한 파손 연구 (Study for Fracture in the Last Stage Blade of a Low Pressure Turbine)

  • 이길재;김재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0권4호
    • /
    • pp.423-428
    • /
    • 2016
  • 저압터빈 최종 단 블레이드는 응축 증기 내 농축된 불순물에 의해 조성되는 부식환경 하에서, 고속회전에 따른 높은 응력이 부가되어 응력부식 균열에 의한 파손이 빈번히 발생된다. 이러한 가혹 환경 하에서 블레이드의 안정적 사용을 위해서 내식성과 고 강도 특성 등을 갖춘 12% Cr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을 널리 적용한다. 본 논문은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작된 최종 단 블레이드가 정상운전 중 갑작스럽게 파손되어, 원인진단을 위해 파손 및 건전 블레이드를 대상으로 기계적 물성, 파단면 및 미세 조직 검사를 수행한 결과를 기술한 내용이다. 파손된 블레이드의 기계적 물성 시험결과 재질 사양서 기준에 비해 충격치는 낮고 경도는 높은 전형적인 재질 취성화 특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파단면 검사결과 가지(branch)형태의 균열이 입계를 따라 진전하였고, 표면에서 Cl, S 등의 부식성분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블레이드의 파손원인은 응력부식 균열임을 알 수 있었다.

전자빔 조사에 의한 고구마의 발아관련 효소의 활성과 식품특성 변화 (Change of Sprouting-related Enzymes Activities and Foo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weetpotato Root (Ipomea batatas Lam.)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 임성진;송미선;이경애;조재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4호
    • /
    • pp.267-272
    • /
    • 2012
  • 고구마의 식품특성에 변화 없이 발아를 억제할 수 있는 물리적 처리법으로 전자빔의 적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전자빔 조사 후 12와 $25^{\circ}C$에 저장된 모든 대조구와 전자빔이 조사된 중간층(7-12 cm)과 하층(12-17 cm)에 위치하는 고구마는 저장 후 6주와 4주에 각각 발아가 시작되었다. 12와 $25^{\circ}C$에 저장된 고구마의 발아율은 저장기간의 경과, 조사선량의 감소, 전자빔과 고구마 간 간격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고 발아율은 12와 $25^{\circ}C$ 저장 후 8주에서 각각 대조구 11.2-12.4와 70.5-74.2%, 전자빔 조사구 8.6-11.3과 42.7-48.7% 이었다. 한편, $4^{\circ}C$에 저장된 모든 고구마와 전자빔 조사 후 12와 $25^{\circ}C$에 저장된 상층(0-7 cm)에 위치한 고구마의 발아는 peroxidase와 indole acetic acid (IAA) oxidase의 활성증가로 인해 완전히 억제되었다. 또한 전자빔이 조사된 모든 시료는 경도, pH, 당도, 중량감소, vitamin C 함량 및 ${\beta}$-carotene 함량에 있어서 대조구와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고구마를 박스에 포장하기 전 0.1 kGy 이상의 전자빔 조사 시 $25^{\circ}C$에 저장하여도 식품특성에 변화 없이 발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포장재 필름으로 개별포장한 수삼의 저장 중 관능특성 및 화학성분 변화 (Changes in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nstituents of Raw Ginseng Roots Individually Packaged in a Soft Film During Storage)

  • 김지혜;구난숙;김은희;손현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145-150
    • /
    • 2002
  • 50 g내외의 4년근 수삼을 물로 세척한 후 한 뿌리씩 산소투과도가 낮은 기능성 연포장재 필름 주머니(ONY/LDPE/L-LDPE; 200$\times$300 mm, 90 $\mu\textrm{m}$)에 넣고 밀봉하여 $25^{\circ}C$에서 보관기간별로 수삼의 외관품질 변화를 조사하고 외관품질이 양호하게 유지된 정상 수삼, 곰팡이가 발생한 수삼 및 연화가 일어난 수삼의 관능특성과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수삼의 외관품질은 주로 연화에 의하여 불량해졌으며 보관 20일째에는 불량률이 전체의 75%에 달하였다. 연화가 일어난 수삼은 정상 수삼에 비하여 경도가 약하였고 끈적거리는 정도가 강하였으며 자극적인 냄새와 신 냄새가 매우 강하였고 단 냄새, 신맛 및 단맛이 비교적 강했던 반면에 인삼 냄새, 신선한 냄새는 매우 약하였고 쓴맛은 비교적 약하였다. 한편 연화가 일어난 수삼은 경도와 pH가 정상 수삼보다 낮았고 수분과 일반성분의 함량은 정상 수삼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또, 연화가 일어난 수삼의 diol계 사포닌성분 함량 및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비(USFA/SFA)는 정상 수삼보다 낮았고 수용성 펙틴질 함량은 정상 수삼보다 높았다.

팔공산자연공원에서의 등산로 및 야영장 이용이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 (Use Impacts of Trail and Campsite on Natural Environments in Mt. Palgong Natural Park)

  • 권태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34
    • /
    • 1990
  • 팔공산자연공원 동화사지구의 등산로 및 야영장의 훼손실태와 그 주변토양 및 식생환경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최대깊이, 등산로물매 및 노면의 토양경도는 이용강도가 높은 바위골등산로가 수수골보다 컸으나 나지노출폭에서만 이용강도의 영향이 인정되어다. 2. 등산로의 훼손형태는 암석노출 42%, 종침식 20% 및 뿌리노출 18% 등의 순으로 토양침식이 상당히 진행되고 있었으며, 건전한 지점은 33%이었다. 3. 등산로경계부에서 임내로 갈수록 토양경도는 데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토양 pH, 토양함수량 및 유기물 함량 등은 변화경향이 일정하지 않았다. 팔공산 자연공원의 등산로주변 토양환경에 대한 이용영향이 아직 심각한 정도는 아니었다. 4. 등산로 주변의 식생구조의 변화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이용형태에 따라 경향을 구분할 수 있었으나, 인위적 간섭이 뚜렷한 조사지에서 종수, 개체수 및 종다양도 등은 영향범위의 파악에 유의한 인자였다. 특히 이용이 통제된 수수골에서는 식생구조가 회복되는 곳도 있었다. 5. 바위골야영장이 수수골야영장보다 파괴정도가 심했고 피해도 3등급 이상의 비율도 각각 91.8%, 44.5%였다. 야영장내 수목훼손형태는 뿌리노출 63%, 수간상처 43% 및 가지손상 30%의 순이었고 훼손목의 거리별 출현빈도는 이용객의 영향범위 파악에 유의한 기준이었다. 6. 생장량비교조사에서 야영장내 수목생장은 비야영장에 비해 적었고 5년전에 비해서도 현재의 생장이 떨어지고 있었다. 7. 야영장주변에서 식생환경에 대한 이용간섭의 범위가 토양환경에 비해 넓었고 이용에 따른 종구성의 이질화가 매우 심하였다. 야영장으로부터 잠재적 영향을 포함한 이용간섭의 영향범위는 바위골 야영장에서 70∼90m, 수수골 야영장에서 20∼30m이었다. 8. 야영장주변에서의 인위적 간섭에 대한 내성수종은 조록싸리, 개옻나무, 산딸기, 노박덩굴, 단풍나무 등으로 파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