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le-playing analog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역할놀이 비유 활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Clas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장진화;이형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67-27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based clas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e experimental group and one control group of 4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to perform a prior investig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the science process skill. Then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science lessons that were based on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and the control group attended the traditional science lessons based on the text book and teacher's guide. After conducting lessons, a post investigation was performed for each group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produc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class was more effective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than the traditional science class. And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class was more effective to learners in the high-level group, which made a scores above the average in prior investig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whereas it was little effective to those in the low-level group. Second,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class was effective to enhance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than the traditional science class. And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class was more effective to the learners' in the high-level group than those in the low-level group.

열전달에 대한 역할놀이 비유활동 구성 및 수행과정에서 초등학생이 겪는 어려움 (Difficul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for Concept Learning of Heat Transfer)

  • 장재철;나지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063-107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열전달에 대한 역할놀이 비유활동 수행과정에서 초등학생이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1명을 선정하여 역할놀이 비유활동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수업, 교과서에 제시된 방법으로 교과 수업, 개념에 대응되는 비유표현을 만들고 시연하는 역할놀이 비유활동을 하였다. 수업이 끝난 후에 간단한 설문과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초등학생들이 역할놀이 비유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과학 개념 외적인 표현에 집중하거나, 과학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비유를 표현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학생들은 비유 상황을 표현하는 표현력이 부족하거나 비유 대응 관계 설정이 어려웠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고, 장소가 협소하여 구성한 역할놀이 비유를 표현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다. 둘째, 학생들은 활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활동 경험이 부족해서 활동 수행에 어려움을 겪었다. 셋째, 학생들은 선호 역할이 충돌하거나 원하지 않는 역할을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역할 선정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넷째, 모둠원이 활동에 집중하지 않거나 역할을 불이행하고 방관자적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모둠 활동에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다섯째, 일방적인 의견 전달, 의견 충돌, 제시된 의견 부족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화학 개념학습에서 역할놀이 비유가 대응 관계 이해도 및 대응 오류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the Role-playing Analogy in Chemistry Concept Learning on Mapping Understanding and Mapping Errors)

  • 김경순;양찬호;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898-909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화학 개념학습에서 역할놀이 비유가 대응 관계 이해도 및 대응 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비유추론 능력에 따라 조사하였다. 중학교 1학년 학생 151명을 비교 집단과 '원 안에서 달리기' 역할놀이 비유를 사용한 처치 집단으로 배치하였다. 목표 개념인 '기체의 부피와 압력의 관계'에 대한 각 집단별 수업을 진행한 후, 바로 다음 차시에 대응 관계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4주 후에 파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대응 오류를 범한 학생들의 대응 과정을 조사하기 위해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역할 놀이 비유는 학생들의 비유 추론 능력에 관계없이 대응 관계 이해 및 대응 관계 이해 파지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 오류에서도 역할놀이 비유를 사용한 처치 집단 학생들이 비교 집단 학생들보다 대응 오류의 빈도가 낮았다. 그러나 두 집단의 학생들 모두 유사한 대응 오류를 범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들의 비유 추론 능력에 따른 대응 오류 유형별 빈도 차이는 없었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과학 수업에서 비유의 사용 방식이 학생들의 개념학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ethod Using Analogy on Students' Concept Learning)

  • 양찬호;김경순;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1044-1059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과학 개념학습에서 비유의 사용 방식이 학생들의 비유 추론 능력에 따라 개념 이해와 대응 관계의 이해 및 파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비유 사용 방식에 따른 대응 오류의 양상을 비교하였다. 또한, 역할놀이 비유 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중학교 1학년 152명을 두 집단에 배치하여 처치 집단에서는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에 대한 체험 중심의 역할놀이 비유 수업을, 비교 집단에서는 교사 설명 중심의 비유 수업을 진행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비유 추론 능력에 관계없이 역할놀이 비유 활동을 사용한 수업이 교사 설명 중심의 비유 수업보다 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효과적이었으며, 목표 개념과 비유물의 대응 관계를 오래 기억하도록 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유 사용 방식에 따라 학생들이 범하는 대응 오류의 양상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역할놀이 비유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대응 관계 이해도 파지 검사에서 대응 오류의 빈도가 더 낮았다. 학생들은 역할놀이 비유 활동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었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응답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활동에 대한 흥미도가 높았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화학 개념 학습에서 역할놀이 비유 활동의 효과 (The Influences of Role-Playing Analogy in Chemistry concept Learning)

  • 노태희;변순화;전경문;권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6-253
    • /
    • 2003
  • 이 연구에서는 역할놀이 비유 활동의 효과를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개념 응용력, 학습 동기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서울시의 남녀공학 중학교에서 1학년 4학급을 선정하여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에 무선배치하고 '분자의 운동'에 대하여 4차시 동안 수업을 시시하였다. 처치 집단은 역할놀이 비유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 집단은 전통적 수업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념 이해, 개념 응용의 파지, 그리고 학습 동기 중 자신감에서 처치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개념 응용과 학습 동기 중 주의집중 및 관련성 영역에서 수업 처치와 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개념 응용력 검사의 경우 처치 집단의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통계 집단의 학생들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주의집중 및 관련성 검사에서는 처치 집단의 남학생들이 통제 집단의 남학생들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 하였다.

학생 중심 비유를 사용한 예비과학교사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 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Lessons Using Student-centered Analogies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김민환;김성훈;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2호
    • /
    • pp.99-110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이 학생 중심 비유를 사용한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사범대학에 재학중인 6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교육 실습에서 학생 중심 비유를 사용하도록 한 후, 수업 계획 과정과 수업을 관찰하고 수업 전후에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지속적 비교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물리적 비유와 역할놀이 비유를 사용할 때 예비교사들은 비유 활동의 방법과 규칙을 명확히 안내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고, 일부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에게 비유 활동의 결과를 예측해보도록 하였다. 역할놀이 비유를 사용한 수업에서 예비교사들은 학생들 중 일부에게만 역할을 부여하였고, 목표 개념을 설명할 때 어려움을 겪었다. 비유 생성을 사용한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생성한 예상치 못한 비유를 다루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학생들의 비유 생성을 돕기 위해 비유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헨리 제임스의 『비둘기의 날개』 : 자유와 정체성의 문제 (Henry James's The Wings of the Dove: Free Self and Identity)

  • 김경아
    • 영미문화
    • /
    • 제9권1호
    • /
    • pp.27-50
    • /
    • 2009
  • Henry James tries to describe minutely in The Wings of the Dove the process in which a bad faith grows, is practiced in one's self, and spreads to a society. Through this fictional specificity, he embodies an analogy between a bad faith and social role-playing. That is, he shows, through the main characters such as Milly Theale and Merton Densher, how self interacts with the other and a society. In this interaction, there is some essential element, namely,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 self identity and a social role-model, which James describes very meticulously. Therefore, the characters are depicted as seeking to define self identity and eventually distorting it. Thus, The Wings of the Dove can be seen as a tragedy in which the characters who have this wrongly distorted self identity come to experience its effects. The distorted self identity appears to function as a social role. Milly distorts her true self identity by internalizing a dove-image for it. This results in a bad faith. Moreover, the American girl Milly utilizes it as a convenient social role-model which makes it easy for her to interact and engage with the others in the European society. Merton also evades adventurous and painful self-reflection and self-criticism by sticking to the mannerisms of gentlemanship and imitates the sublimity which Milly shows him. Thus, Milly and Merton clearly omit self-inspection and self-inquiry for the contact between a free self and a society, which is essential to obtain social objectivity, namely, intersubjectivity.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사용 수업에 대한 PCK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CK for Lessons Using Analogies)

  • 김민환;김성훈;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41-456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사용 수업 설계를 PCK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사범대학에서 교육 실습에 참여한 3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과학교육에서의 비유에 대한 워크숍을 실시한 후 교육 실습에서 비유 사용 수업을 실행하도록 하였다. 교육 실습에 참관하며 예비교사들의 수업을 관찰하였고, 예비교사들이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에서 비중 있게 다루는 비유에서만 대응 관계와 비공유 속성을 다루었고, 이 과정이 교사 중심적으로 이루어졌다. 예비교사들이 교육과정을 벗어나는 개념을 포함한 비유를 수업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예비 교사들은 비공유 속성이 학생들의 오개념과 관련이 크다고 생각하였으나 비공유 속성을 다룰 때는 학생들의 의견에 폐쇄적인 모습을 보였다. 비유를 활용한 평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는 높지 않았고, 물리적 비유나 역할놀이 비유와 같은 학생 중심의 비유를 사용할 때 평가가 상대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과학교사 교육과정과 관련된 함의를 논의하였다.

딥러닝을 이용한 언어별 단어 분류 기법 (Language-based Classification of Words using Deep Learning)

  • 듀크;다후다;조인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11-414
    • /
    • 2021
  • One of the elements of technology that has become extremely critical within the field of education today is Deep learning. It has been especially used in the area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with some word-representation vectors playing a critical role. However, some of the low-resource languages, such as Swahili, which is spoken in East and Central Africa, do not fall into this category.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s a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ere systems and computational algorithms are built that can automatically understand, analyze, manipulate, and potentially generate human language. After coming to discover that some African languages fail to have a proper representation within language processing, even going so far as to describe them as lower resource languages because of inadequate data for NLP, we decided to study the Swahili language. As it stands currently, language modeling using neural networks requires adequate data to guarantee quality word representation, which is important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tasks. Most African languages have no data for such processing. The main aim of this project is to recognize and focus on the classification of words in English, Swahili, and Korean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low-resource Swahili language. Finally, we are going to create our own dataset and reprocess the data using Python Script, formulate the syllabic alphabet, and finally develop an English, Swahili, and Korean word analogy data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