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ck anchor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6초

채석장 사면의 안정성 검토 및 보강대책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stability and reinforcement method of cut slope at quarry)

  • 박춘식;최준삼;서효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677-685
    • /
    • 2009
  • 연구대상 사면에 대해 정밀한 현장조사 및 안정성 검토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구 대상 사면의 붕괴 원인은 암석 자체의 풍화, 근본적으로 내재해 있는 단층, 과다한 발파로 인한 균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2. 해석 결과 연구 대상 사면은 평면파괴의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한계평형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보강력을 결정하였다. 4. 보강대책으로는 Rock Anchor, Rock Bolt, 구배완화를 비교 검토한 결과 구배완화가 연구 대상 사면에 가장 적합한 공법이라고 판단되었다.

  • PDF

Study on large tonnage pile foundation load test system and field test of long rock-socketed pile

  • Zhang, Xue-feng;Ni, Ying-sheng;Song, Chun-xia;Xu, Do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1권6호
    • /
    • pp.565-570
    • /
    • 2020
  • Large tonnage pile foundation load test system is designed in this paper by using pre-stressed technique to optimize the design of anchor pile reaction beam system, in which project pile can be successfully taken as anchor pile.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cracks and excessive deformations of the prestressed anti-force device designed in this study have not occurred, and the prestressed tendons of the anchor pile ensure that the anchor pile will not be pulled and fractured, and the prestressed tendons can be reused, thus ensuring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test. This test method can directly test bearing capacity of long rock-socketed piles, and analysis bearing behaviors from test results of sensors which embedded in the pile. Through test studied, authors summarized the vertical bearing characteristics of long rock-socketed piles and the main problems t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during design and construction, and provided reliable solutions.

인장력을 받는 락앵커의 최적 설계법 (An Optimum Design Method for Rock Anchors Subjected to Tension)

  • 함희원;김현기;조남준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147-1153
    • /
    • 2009
  • The failure modes of rock anchors subjected to tension can be defined as follows: tensile failure of tendon, shear failure on tendon-grout interface, shear failure on grout-rock interface and tensile failure of rock. This study proposes a design method to induce the rock anchor systems to avoid the brittle failure by ensuring the minimum embedded length of rock anchors. Pull-out test results of full-scale rock anchor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in predicting the design conditions expecting the ductile tendon failure.

  • PDF

평면파괴가 예상되는 사면의 보강대책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Reinforcement Method of Cut Slope Expected Plane Destruction)

  • 이동엽;박춘식;김병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022-1028
    • /
    • 2008
  • From the result of precise field investigation and stability examination for the rock slope, following results were acquired. 1. The weathering rock itself, existing fault zone and underground water complexly effect cut slope so that plane destruction may appear by fault zone. 2. The reinforcement force was decided by the result of limit equilibrium. 3. For rock cut slope, the Rock Bolt was judged as the most proper method to the cut slope as comparing/analyzing Rock Anchor, Rock Bolt and method after relaxing the slope.

  • PDF

암반에 근입된 부착형 앵커의 거동특성 (I) - 태안지역 편마암 - (Behavior of Bond-type Shallow Anchors in Rock Masses ( I ) - Metamorphic Rock (gneiss) at Taean Test Site -)

  • 김대홍;이대수;천병식;김병홍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2호
    • /
    • pp.45-5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태안지역에서 총 30회 수행한 암반앵커 현장시험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대상암반은 편마암으로써 풍화가 심한 것부터 신선한 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시험앵커의 깊이는 $1{\sim}4m$로 설치하였다. 앵커는 SD4O-D51mm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파괴가 일어나기 전에 암반파괴가 먼저 일어나도록 유도하여 암반의 인발지지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많은 시험에서 파괴는 극한하중까지 이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암반파괴형상은 암반이 들어올려지면서 방사상으로 균열이 발달하는 형상을 나타내었다. 시험결과, 암반앵커의 인발지지력은 암반의 종류, 암질, 앵커의 정착깊이, 앵커텐던의 인장강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시험을 통해 암반앵커시스템의 인발지지력을 지배하는 주요파라메터들을 도출하고 이에 대해 논하였다.

무한사면에서의 사면붕괴와 보강대책 사례연구 (A Case Study about the Slope Collapse and Reinforcement Method on the Infinite Slope)

  • 유병옥;홍정표;전종헌;이태선;민경남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6권2호
    • /
    • pp.146-155
    • /
    • 2006
  • 연구지역은 고속도로 신설구간에 형성된 대절토 무한사면으로 불연속면을 따라 사면파괴활동이 시작되었다. 보강은 락앵커 공법을 시공하여 상부구간 안정화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앵커보강 하부구간에 대규모 붕괴가 추가 발생하였고 이후 2차례 더 진행되었다. 붕괴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여 잔류전단강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붕괴지반의 앵커력 확보를 화인하기 위하여 앵커인발시험을 실시하고 앵커설계에 반영하였다. 앵커는 붕괴면의 굴곡이 심하고 연경의 변화가 심한 지반상태를 고려하여 계단식 옹벽과 조합하여 앵커력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한 지진하중의 주기특성에 따른 그라운드 앵커의 거동 (Behaviour of Ground Anchor According to Period Characteristic of Seismic Load Using Numerical Analysis)

  • 오동욱;정혁상;윤환희;이용주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8권6호
    • /
    • pp.635-650
    • /
    • 2018
  • 최근 국내에 발생된 지진으로 인해 더 이상 한반도가 지진으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이 많은 사람들에게 각인되었다. 경주와 포항에서 발생된 지진은 그 동안 국내에서 내진설계에 기준으로 고려한 지진의 특성과 상이하게 나타났고, 그에 따른 내진설계 방법에 대한 연구 또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지진하중에 대한 고려는 주로 기존 상부 구조물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그에 따른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지반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공된 네일, 록볼트, 그라운드 앵커 등과 같은 지중구조물에 대한 지진하중으로부터의 구조적 안정성에 대한 고려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풍화암에 정착된 그라운드 앵커에 대해 정하중이 작용할 때와 지진하중이 앵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정하중에 의한 영향은 현장 인장시험 결과로, 지진하중 영향은 수치해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그 결과, 앵커에 긴장력 도입으로 인한 반력판의 침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로 인한 앵커의 축력 감소가 발생하였다. 또한 지진하중에 의해 앵커 정착부의 변위가 증가하였으며, 정착부 길이가 길수록 장주기 지진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Analysis of stability control and the adapted ways for building tunnel anchors and a down-passing tunnel

  • Xiaohan Zhou;Xinrong Liu;Yu Xiao;Ninghui Liang;Yangyang Yang;Yafeng Han;Zhongping Ya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5권4호
    • /
    • pp.395-409
    • /
    • 2023
  • Long-span suspension bridges have tunnel anchor systems to maintain stable cables. More investigations are required to determine how closely tunnel excavation beneath the tunnel anchor impacts the stability of the tunnel ancho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adjacent tunnel's excavation on the stability of the tunnel anchor, a large-span suspension bridge tunnel anchor is utilised as an example in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approach. In order to explore the deformation control mechanism, orthogonal tests are employed to pinpoint the major impacting elements. The construction of an advanced pipe shed, strengthening the primary support. Moreover,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grouting reinforcement of the surrounding rock, have a significant control effect on the settlement of the tunnel vault and plug body. However, reducing the lag distance of the secondary lining does not have such big influence. The greatest way to control tunnel vault settling is to use the grout reinforcement, which increases the bearing capacity and strength of the surrounding rock. This greatly minimizes the size of the tunnel excavation disturbance area. Advanced pipe shed can not only increase the surrounding rock's bearing capacity at the pipe shed, but can also prevent the tunnel vault from connecting with the disturbance area at the bottom of the anchorage tunnel, reduce the range of shear failure area outside the anchorage tunnel, and have the best impact on the plug body's settlement control.

부착형 암반앵커기초의 인발지지력 평가 (Uplift Capacity for Bond Type Anchored Foundations in Rock Masses)

  • 김대홍;이용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0호
    • /
    • pp.147-16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국내 몇몇 시험현장에서 수행한 총 54회 단일앵커시험과 4회 실규모 앵커기초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시험결과, 암반앵커의 인발에 대한 파괴메커니즘은 암종 및 암질, 근입깊이, 불연속면의 특성, 텐던의 강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량한 암반내 얕은 앵커의 경우(정착심도 1.0m 이하) 대부분 그라우트-암반 부착파괴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깊이를 증가시키면 암반파괴를 유도할 수 있다. 반면에, 얕은 앵커기초라 하더라도 암반상태가 좋으면 부착파괴가 아닌 암반파괴의 형태를 보인다. 한편 실내부착강도 시험결과는 표면부터 진행성파괴가 나타나며 점차 아래로 전파된다. 이때 측정된 텐던-그라우트 부착강도는 그라우트 일축압축강도의 약 $18{\sim}25%$로 나타났으며, 방식 쉬이스로 인한 부착강도의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연구결과로부터 암반앵커시스템의 인발지지력을 지배하는 주요 파라메터를 결정하고 적용 암반의 분류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인발에 대한 암반앵커기초의 지지력을 평가할 수 있는 간편화된 절차를 제안하였다.

대도시 기존 사면의 안정화 연구 (A Study of the Existing Slope Stability in a Big City)

  • 이수곤;양홍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5-272
    • /
    • 2001
  • Excavation in a big city is different from excavation in a local area because construction methods and stability are directly connected in a loss of life. Especially, estimate of rock mass slope stability is excuted by more detail and safty work. In this study, we are made reserches in rock mass slope stability and safety method that the slope is closed by elementary school in a big city. The result of many field study and numerical analysis is shown up direct reinforcement used to anch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