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classification system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8초

중국 두만강 하류 유역의 습지 분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etlands - Cases on the Watershed of Tumen River downstream in China -)

  • 주위홍;김귀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50
    • /
    • 2002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wetland distribution and type-specific classification features with a focus on Tumen River downstream in China by adjusting and improv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used in Korea with a reference to international wetland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ir criteria & methods. In this study, wetland types were determined based on hydrology, vegetation, and soil conditions, which are the most basic elements of wetlands. Also, topography analytical map, vegetation analytical map, and soil analytical map for wetland classification were developed and used based on currently available topography map, vegetation map, and soil map. In addition, codes were defined based on topography, location, hydrology, and vegetation. The result shows that, in the Tumen River downstream, wetlands are often found near natural revetment and terrace land & river-bed lakes. In the discovered wetlands, riverine, lacustrine, and inland wetlands were mostly found at system level. Riparian and human-made wetlands were also identified. At a sub-system level, perennial and seasonal wetlands were found to a similar degree. At a class level, perennial open water, herbal plants, and shrubs were mostly found and sandy plain, hydrophytes, and forest tree types were also observed. An overall detailed classification shows that a total of 17 wetland types were found and a large distribution of sand dunes and river-bed lakes, which are scarce in Northeast Asia, indicates that other rare wetland types such as palustrine seasonal sand plain wetland and lacustrine seasonal sand plain wetland may be discovered.

지형 인자를 이용한 하천분류 체계의 적용성 검토 (Examination into the Applicability of the River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Geomorphological Criteria)

  • 이찬주;이두한;김규호;우효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1-11
    • /
    • 2004
  • 본 연구는 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한 하천 정비 기법에 응용될 수 있는 기존의 외국 하천 분류 체계를 소개, 검토하고 하천의 형태를 표현하는 지형 인자를 이용하여 하천 분류 체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발된 분류 체계는 지류의 유입이 없는 하도 구간을 분류 단위로 하였으며 1) 하도의 제약도를 반영하는 곡저폭지수, 2) 평면형을 반영하는 사행도와 3) 하상 재료를 기본적인 지형 인자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분류 체계는 전체 24개 유형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하천 유형별로 하곡 지형, 주요 하상 지형, 유수의 지형형성작용 및 교란 요소를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하천 분류 체계를 이용하여 청미천과 임진강의 하도 구간별 특성을 설명하고 Rosgen 분류 체계와 비교함으로써 본 분류 체계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BIM 기반의 하천 유지관리를 위한 하천분야 BIM 표준분류체계 적용방안 (A Method to Apply the BIM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River Field for BIM-based River Maintenance)

  • 남정용;주재하;홍정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147-154
    • /
    • 2023
  • 하천시설물은 정보의 관리주체가 국가하천과 지방하천 등에 따라 달라서 통합되어 관리되지 못하고 있는 점, 설계 및 시공 단계의 정보화 축적이 미흡하여 시설물 정보의 망실이 우려되는 점 등 하천분야로 BIM 도입을 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재해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유지운영단계에서의 시설물 정보 활용 수준 역시 상당히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하천시설물의 효과적인 유지운영을 위해서는 표준분류체계에 따라 시설물 정보를 정리함으로 데이터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효율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하천분야의 시설물 특성을 고려하여 하천분야의 BIM 정보모델 도입과 3차원 기반의 하천시설의 효율적인 유지운영 전환을 위한 BIM 표준분류체계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위성영상을 활용한 하천환경 평가 세구간 설정 (Determination of Stream Reach for River Environment Assessment System Using Satellite Image)

  • 강우철;최훈;장은경;고동우;강준구;여홍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4호
    • /
    • pp.179-19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하천환경 평가체계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는 하천 유형화 및 세구간 설정 작업을 위해 위성영상의 활용방안을 검토하였다. 국내 하천 환경 평가체계의 경우 하천 유형화 결과에 따라 저수로 폭의 10배 또는 20배를 기준으로 평가 세구간을 설정하기를 제안한다. 연구수행을 위해 청미천 본류를 대상으로 하천 관련 기본자료들을 이용하여 하천 유형화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이후 위성영상에 최적분류법을 적용하여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였다. 위성영상의 경우 10 m 해상도의 개방형 자료인 Sentiel-2를 이용하였으며, 다양한 유량 조건을 고려하기위해 총 4개의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였다: 2018년 2월 2일 (일유량 = 2.39 m3/s), 5월 23일 (일유량 = 15.51 m3/s), 6월 2일 (일유량 = 3.88 m3/s), 7월 7일 (일유량 = 33.61 m3/s). 토지피복분류 결과로부터 저수로 폭을 획득하였으며, 결과를 통해 하천환경평가를 위한 세구간을 설정하였다. 세구간 설정 결과는 하천 환경 물리적 지표 중 소의 다양성, 사행도, 하천횡단 형상, 하천횡단구조물에 대한 평가를 통해 검토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하천환경 평가시스템을 위한 세구간 설정에 위성영상을 활용하는 경우 유량 조건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RIVER HEALTH FOR THE ENVIRONMENTAL WATER QUALITY MANAGEMENT

  • Carolyn G. Palmer;Jang, Suk-Hwan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3권4호
    • /
    • pp.259-267
    • /
    • 2002
  • South Africa has developed a policy and law that calls and provides for the equitable and sustainable use of water resources. Sustainable resource use is dependent on effective resource protection. Rivers are the most important freshwater resources in the country, and there is a focus on developing and applying methods to quantify what rivers need in terms of flow and water quality. These quantified and descriptive objectives are then related to specified levels of ecological health in a classification system.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methodology, where, fer each river, and each river reach, the natural condition and the present ecological condition are described, and a level/class of ecosystem health is selected. The class will define long term management goals. This procedure requires each ecosystem component to be quantified, starting with the abiotic template. A modified flow regime is modelled for each ecosystem health class, and the resultant fluvial geomorphology and hydraulic habitats are described. Then the water chemistry is described, and the water quality changes that are likely to occur as a consequence of altered flows are predicted. Finally, the responses to the stress imposed on the biota (fish, invertebrates and vegetation) by modified flow and water quality are predicted. All of the predicted responses are translated into descriptive and/or quantitative management objectives. The paper concludes with the recognition of active method development, and the enormous challenge of applying the methods, implementing the law, and achieving river protection and sustainable resource-use.

  • PDF

자연친화적 하천사업 및 통합적 유역 관리를 위한 새로운 수환경 분류법 및 자료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New Classification Criteria and Database Code of Water Environment for Nature-Friendly River Work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shed)

  • Noguchi, Masato;Kang, Sang Hyeok;Kim, Joon Hyun;Nishida, Wataru;Fujisaki, Nobuhito
    • 환경영향평가
    • /
    • 제7권2호
    • /
    • pp.103-112
    • /
    • 1998
  • 일본에서는 자연친화형 하천사업을 많이 시행하고 있다. 바람직한 수환경을 보전하고 복원하기 위해서는 하천내외의 생태계에 대한 수질기준을 정립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지표를 사용한 수질 분류 방법을 개발하여 나가사키현의 혼묘하천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이러한 수질 분류를 위하여, 수정된 오염물 지표 분류법을 제안하였다. 비교적 단순한 방법이지만, 가장 많은 종에 대한 3가지 지표만으로 수질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하천유역의 통합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생태계 자료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자료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을 사용하여 건전한 수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각종 생태계 자료를 쉽게 취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사용하여 수질자료를 개선하고, 시민들의 의식을 고양하며, 하천관리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일본에서는, 자연친화적 하천복원사업에 있어서 시민들의 의식 및 행동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PDF

진위천 단위유역의 유량-수질 특성 및 하천 등급화 평가 (Evaluation of Discharge-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River Grade Classification of Jinwi River Unit Basin)

  • 조용철;최진우;노창완;권필상;김상훈;유순주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6호
    • /
    • pp.704-716
    • /
    • 2018
  • 본 연구는 진위천 단위유역의 수질오염총량제도에 따른 유량 및 수질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목표 수질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질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총량 지점을 선정하여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진위천 단위유역의 2014년부터 2016년까지 14개 총량 지점을 대상으로 유량 및 수질 특성, 통계 분석, 유달부하량 및 유달부하 밀도 산정, 하천 등급화 등을 평가하였다. 진위천 단위유역의 유량은 평균 $22.411m^3/s$이고 황구지천의 유량이 32.8%를 차지하였으며 지류 하천에 따른 공간적으로 수질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 결과 오산천과 황구지천은 유기오염 간접지표 및 계절적 요인, 성은천은 유기오염 간접지표 요인, 관리천은 계절적 요인이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달부하량 산정 결과 HG-3 지점에서 6,470.4 BOD kg/day, 6,846.7 TN kg/day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달부하 밀도는 HG-4 지점에서 $220.9BOD\;kg/day/km^2$, $22.4TP\;kg/day/km^2$로 높게 나타났다. 하천 등급화 방법을 이용한 진위천 단위유역의 수질 개선이 우선으로 필요한 총량 지점은 HG-3 지점으로 나타났다.

하천유역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호우시의 최적 수문예측시스템 (The Optimal Hydrologic Forecasting System for Abnormal Storm due to Climate Change in the River Basin)

  • 김성원;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93-2196
    • /
    • 2008
  • In this study, the new methodology such as support vector machines neural networks model (SVM-NNM) using the statistical learning theory is introduced to forecast flood stage in Nakdong river, Republic of Korea. The SVM-NNM in hydrologic time series forecasting is relatively new, and it is more problematic in comparison with classification. And, the multilayer perceptron neural networks model (MLP-NNM) is introduced as the reference neural networks model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SVM-NNM. And, for the performances of the neural networks models, they are composed of training, cross validation, and testing data, respectively. From this research, we evaluate the impact of the SVM-NNM and the MLP-NNM for the forecasting of the hydrologic time series in Nakdong river. Furthermore, we can suggest the new methodology to forecast the flood stage and construct the optimal forecasting system in Nakdong river, Republic of Korea.

  • PDF

습지 유형 분류 체계별 습지 분류 특성 -두만강과 한강을 사례로- (Wetlands Classifying Characteristics by Wetland Classifying Systems - Cases on the Tu-men River and Han River -)

  • 주위홍;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52-161
    • /
    • 2006
  • This study is the primary study for analyzing the classifying characteristics of river wetlands in Korea and China. It is the first step for constructing the wetlands inventories and establishing the wetland conservation strategies in North-Eastern Asia. The case study sites are Han-river which is the representative river of Korea and Tu-men river which is flowing on the borderline of 3 nations, China, North Korea and Russia.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types of wetlands of Han-river in Korea and Tumen-river in China were classified by the methods of Koo(2002) which is focused on the topography and hydrology and Zhu(2002) which is emphasized the vegetation and habitats. 2. There are three features which are hydrology, topography and soil cover, and vegetation to classify the wetlands into each types. 3. According to the two wetland types by Koo and Zhu, classification system, wetlands in the case study area(Han river and Duman river) were classified by types. 4. In Koo's classifying system(2002), lots of Riverine, Lacustrins and Flat wetlands are found because the topographical and hydrological features are emphasized. On the contrary in Zhu's system(2002), there are lots of Palustrine wetlands because of emphasizing the vegetation. 5. By the topographic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ites, there are more wetland types in the lower Tumen r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