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pening of peach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복숭아 품종에 따른 세포벽 성분과 Polygalacturonase 활성 비교 (Comparison of the Cell Wall Components and Polygalacturonase Activity in Peach Types)

  • 송준희;손미애;김미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1-115
    • /
    • 1992
  • To examine ripening in peach types, cell wall contents and polygalacturonase activity were compared in Changbang, Daegubo and Yumyung peaches. Among peach types, the hardness of Daegubo was the lowest. Yumyung peach had the highest content of alcohol-insoluble substances and Changbang peach of cell wall. The contents of total and insoluble pectic substances were little different between Changbang and Yumyung peach, while the lowest in Daegubo. Daegubo peach had the highest activity of polygalacturonase, Changballg and Yumyung peach in succession.

  • PDF

Amygdalin Contents in Peaches at Different Fruit Development Stages

  • Lee, Suk-Hee;Oh, Angela;Shin, Seo-Hee;Kim, Ha-Na;Kang, Woo-Won;Chung, Shin-Ky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2권3호
    • /
    • pp.237-240
    • /
    • 2017
  • Amygdalin contents of the seeds, endocarps, and mesocarps from three peach cultivars (i.e., Stone Peach, Hikawa Hakuho, and Bakhyang) were measured at three stages of fruit development (stone-hardening, fruit enlargement, and ripening). The peach samples were dried and defatted with a Soxhlet apparatus, reflux extracted with methanol, and analyzed using reverse 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During all fruit development stages, the amygdalin contents in the seed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endocarps and mesocarps. The amygdalin contents of the Stone Peach were comparatively higher than the Hikawa Hakuho and Bakhyang (P<0.05). Further, the amygdalin contents during ripening were very low or not detected. Overall, the amygdalin contents of the three peach cultivar samples (seed, endocarp, and mesocarp) increased until the fruit enlargement stage and either remained constant or decreased during ripening.

Embryo Rescue Efficiency Affected by Developmental Stages of Embryo and Medium Composition in Early-Ripening Peach (Prunus persica)

  • Sewon Oh;Byeonghyeon Yun;Se Hee Kim;Sang-Yun Cho;Namhee Jung;Kyung Ran Do;Kang Hee Cho;Hyun Ran Kim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63-269
    • /
    • 2024
  • Embryos of early-ripening peaches could not achieve physiological maturation or undergo abortion before harvest. Embryo rescue is an effective strategy to rescue embryos from early-ripening peaches. Thus, the curr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developmental stage and optimal medium composition for embryo rescue in early-ripening peach. Development of open-pollinated 'Yumi' fruit was investigated from 20 to 90 days after full bloom (DAFB) to explore period occurring endocarp hardening. After endocarp hardening, embryo development was observed by light microscopes. Shoot and root meristems were observed at 65 DAFB and embryo size rapidly increased at 75 DAFB. Embryos collected at 75, 80, 85, and 90 DAFB were cultured on four media based on Driver and Kuniyuki (DKW) medium. Germination rate of embryos cultured on four media gradually increased from 75 to 90 DAFB and reached 100% at 90 DAFB. Notably, M3 medium (0.5 DKW supplemented with 6-benzylaminopurine (BAP) 1.0 ㎎/L) display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at 75 and 80 DAFB stages. Growth and development of shoot and root were pronounced in plantlet cultured at 90 DAFB stage. While delayed shoot growth was evident in plantlets cultured at 75, 80, and 85 DAFB stages, this retardation could be overcome through the application of growth regulators, particularly in M3 and M4 (0.5 DKW supplemented with BAP 1.0 ㎎/L and indole-3-butyric acid 0.5 ㎎/L) media. Remarkably, roots of plantlet grown in M4 medium exhibited limited elongation. In conclusion, germination rate of embryo and growth of embryo cultured plantlet can be enhanced by collecting seeds from early-ripening 'Yumi' at the 90 DAFB stage and conducting embryo culture using the M3 medium.

과일 내의 pectin 함량 및 성숙도에 따른 pectin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Chemical and Gelation characteristics of Pectins Obtained from Ripened and Unripened Crabapples)

  • 문수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39
    • /
    • 1981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termine the pectin contents of various fruits(Cherry, strawberry, plum, peach, apricot, apple, crabapple)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roperties of pectin and pectin gel during crabapple ripening. Methoxyl content, molecular weight and intrinsic viscosity were measured in ripened and unripened crabapples. In order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pectin gel, percent sag was measured by exchange Ridgelimeter, hardness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jellies were measured by a penetrometer and a texturometer.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ectin contents of various fruits were 1.16% for cherry, 3.17% fir strawberry, 4.29% for plum, 5.51% for apricot, and pectin contents of peaches and apples varies depends on varieties from 4.54% to 5.61% to 6.52, respectively. The pectin contents of unripened and ripened crabapple wee 9.21% and 9.84%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pectin content increased with fruit maturity. 2. The methoxyl contents, which was 6.61%~6.95%, was very low and it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fruit ripening. Further, a decrease in acetyl content, intrinsic viscosity, molecular weight occurred during the ripening of crabapples. 3. The percent sag of crabapple jellies increased with fruit maturity from 5.26% to 5.79%, and the corresponding jelly grade decreased in ripened crabapple. 4. The hardness of jellies determined by a penetrometer was 79.15 pp.U. for ripened crabapple jelly, 90.62 pp.U. for unripe ned crabapple jelly. 5. In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gels measured by a texturometer, the gels made from unripened crabapple were shown to have the highest values in hardness, cohesiveness, adhesiveness and gumminess.

  • PDF

Aminoethoxyvinylglycine 처리시기가 복숭아 '장택백봉'의 유통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arvest aminoethoxyvinylglycine spraying time on fruit quality of 'Nagasawa Hakuho' peach (Prunus persica Batsch) during shelf-life)

  • 왕무화;이욱용;오광석;이은구;안영직;황용수;천종필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4호
    • /
    • pp.503-509
    • /
    • 2012
  •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harvest spray of aminoethoxyvinylglycine (AVG) on fruit quality of 'Nagasawa Hakuho' peach (Prunus persica Batsch). The efficacy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AVG (75 and 150 mg/L), which inhibits the ethylene biosynthesis, was evaluated under field conditions. Treatments were performed 21, 14 and 7 days before harvest, respectively. Fruit weight, flesh firmness, soluble solids content, acidity, ethylene production, respiration rate and skin color difference were determined at harvest time and during shelf-life at $25^{\circ}C$.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appropriate timing of AVG spraying was 21 days before harvest at the concentration of 75 mg/L as shown higher firmness at harvest time and lower ethylene production and respiration rate during shelf-life. Spraying of AVG during near harvest period (14 to 7 days before harvest) inhibited fruit growth slightly, independent of concentration and did not affect fruit quality in 'Nagasawa Hakuho' peach.

복숭아 수확후 오존수 침지처리가 품질신선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zone Treatment on the Quality of Peach after Postharvest)

  • 조재욱;김임수;최충돈;김일두;장상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54-458
    • /
    • 2003
  • 경북지방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는 생과용 복숭아를 이용하여 수확후 오존수 침지처리가 복숭아 품질신선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가용성고형물은 처리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처리후 15일째는 무처리구와 오존수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산도의 변화에서는 무처리구에 비해 오존수 침지처리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오존수처리후 10일째와 15일깨 모두 처리구보다 낮게 나타났고, 경도는 각 처리별로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졌는데 저장 15일째는 무처리구와 오존수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색상의 변화는 각 처리별로 과육의 색이 처리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조금 어두워졌고 채도(b)는 연한 황색에 가까운 경향이었다. 저장기간에 따라 처리구와 무처리구 사이의 L, a, b값 모두 유의적 차이가 보이지 않았었는데 부패율에서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상온저장 10일경에는 무처리구 26.3%에 비해 오존수처리는 19.0∼21.6%로 조금 낮았고, 저장 15일째 역시 무처리구에 비해 오존수처리구의 경우 10.7∼16.0% 낮은 부패율을 나타났다.

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홍백'의 유통 중 품질에 미치는 수확 후 처리 효과 (Effect of Postharvest Treatments on Fruit Quality of 'Hong Bak' Peach during Shelf Life)

  • 서정석;황용수;천종필
    • 농업과학연구
    • /
    • 제36권2호
    • /
    • pp.147-158
    • /
    • 2009
  • '홍백' 복숭아를 대상으로 저장 및 유통 중 품질 향상을 위한 1-MCP처리 방법과 4종의 선도 유지제 처리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홍백' 복숭아의 적정 1-MCP 농도는 1000ppb였고 경도유지 및 착색지연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당도 및 산도의 변화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유통온도에 따른 1-MCP와 에틸렌 제거제의 효과를 보면 $20^{\circ}C$ 저장의 경우에 비하여 $30^{\circ}C$ 저장의 경우 1-MCP 처리의 긍정적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1-MCP 처리가 고온에서의 유통과정 중 품질유지가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1-MCP와 선도유지를 위한 박스 내 충진물질의 복합처리 효과를 검토하여 본 결과 1-MCP와 카본세라믹 복합처리구의 경우에서 가장 높은 경도유지효과를 나타내어 실용성이 인정되었다.

  • PDF

복숭아 품종별 성숙정도에 따른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간의 상관관계 (In vitro correlation and analysis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by fruit ripening of peach cultivars)

  • 정경미;김산영;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38-64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의 품종인 미황, 가납암백도 및 천홍을 성숙정도에 따라 미숙과와 성숙과로 분류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간의 상관관계 등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염증 및 산화스트레스와 관련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고자 수행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품종 모두 성숙과에 비해 미숙과에서 함량이 많았고, 미숙과 중에서는 천홍이, 성숙과 중에서는 미황이 유의성 있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미숙과 천홍에서 가장 높았고, 성숙과에서는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 의해서는 미황이 유의성 있게 높았으나 FRAP과 CUPRAC 측정에서는 3품종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RAW 264.7 세포에서는 미황 미숙과 추출물이 약 30%의 NO 생성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고, 가납암백도 미숙과는 약 29%, 천홍 미숙과는 약 20%의 저해활성을 보이지만, 복숭아 성숙과 3품종에서는 NO 생성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3품종 모두 성숙과에 비해 미숙과에서 저해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따른 항산화 활성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고도의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항염증 활성과 항산화 활성, 항염증 활성과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한국산(韓國産) 주요과실류(主要果實類)의 화학성분(化學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매실, 복숭아, 포도, 사과 및 배의 주요품종별(主要品種別) 계절적(季節的) 비휘발성(非揮發性) 유기산(有機酸) 및 당(糖)의 함량변화(含量變化)-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ajor Fruits in Korea -On Non-volatile Organic Acid and Sugar Contents of Apricot (maesil), Peach, Grape, Apple and Pear and its Seasonal Variation-)

  • 이동석;우상규;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4-139
    • /
    • 1972
  • 한국산(韓國産) 주요(主要) 과실류(果實類)로 미숙(未熟) 및 완숙(完熟)의 매실, 복숭아, 포도, 사과 및 배의 주요(主要) 품종별(主要品種別) 비휘발성(非揮發性) 유기산(有機酸) 및 당(糖)의 계절적(季節的) 비휘발성(非揮發性) 유기산(有機酸) 및 당(糖)의 함량변화(含量變化)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비휘발성(非揮發性) 유기산(有機酸)은 gas chromatography법(法)으로 당(糖)은 thin layer chromatography법(法)으로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기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1) 이들 과실중(果實中)의 비휘발성(非揮發性) 유기산(有機酸)은 oxalic, fumaric, succinic, maleic, tartaric 및 citric acids 이고 함량(含量)은 $0{\sim}3430mg/100g$이었다. 2) 위과실(果實)에 함유(含有)된 유기산(有機酸) 중(中) malic acid가 $18{\sim}3430mg/100g$로 가장 많다. 매실(梅實)에 함유(含有)된 10.8mg/100g를 제외(除外)하고는 oxalic acid가 가장 적었다. 3) 일반적(一般的)으로 모든 비휘발성(非揮發性) 유기산(有機酸) 함량(含量)은 성숙(成熟)과 더불어 그 양(量)이 감소(減少)되었다. 단 열외(列外)로서 사과 및 배의 각(各 ) 일품종(一品種)에서는 증가(增加)하였다. 4) Glucose 및 fructose는 모든 과실중(果實中)에 다량(多量) 함유(含有)되어 있으며 maltose와 sucrose는 소량(小量)씩 함유(含有)되었다.

  • PDF

1-MCP 및 수확 후 처리가 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장호원황도' 저장 유통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MCP and Storage Condition on Shelf Life and Quality of 'Janghowon Hwangdo' Peach (Prunus persica Batsch))

  • 천종필;서정석;김명선;임병선;안영직;황용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585-592
    • /
    • 2010
  • 복숭아 '장호원황도'에 있어 저장, 유통 중 품질 향상을 위한 1-MCP 처리 및 에틸렌제거제 처리효과를 검토하였다. 1-MCP를 $1.0{\mu}L{\cdot}L^{-1}$ 농도로 처리하였던 경우 8일간의 상온 유통 중 경도유지 및 착색지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완숙과에 비하여 성숙과에서 1-MCP 처리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1-MCP를 $0.5{\mu}L{\cdot}L^{-1}$ 농도로 처리하였던 경우에는 품질유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1-MCP를 0.5 및 $1.0{\mu}L{\cdot}L^{-1}$로 처리하였던 경우 과실의 에틸렌 발생을 억제하였는데 호흡률 저하는 $1.0{\mu}L{\cdot}L^{-1}$ 처리구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저온저장 중 1-MCP 처리와 에틸렌제거 처리 효과를 비교한 결과, 처리 효과가 저장 5일 후까지만 1-MCP를 처리한 과실의 경도가 높게 유지되었고 에틸렌 제거제 처리의 경우 성숙과의 경우에만 단기적 경도 유지효과를 보여주었다. 저온저장 중 에틸렌제거를 실시하였던 경우 성숙과에서 저장 초기에 경도 감소를 지연하는 효과를 보였으나 완숙과에서는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1-MCP 처리 과실에 대한 박스 내 에틸렌제거제 복합처리는 과실의 경도유지효과를 나타내어 상온유통 5일 후 성숙과의 경우 1-MCP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약 2배 경도가 높아 실용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