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dge part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5초

외부형태 및 해부학적 형질에 의한 큰참나물의 분류학적 위치 (Taxonomic position of Cymopterus melanotiligia (H. Boissieu) C.Y. Yoon based on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s)

  • 윤창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53-265
    • /
    • 2001
  • 한국산 큰참나물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형질 및 엽연부와 분과의 횡단면을 조사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밝혔다. 이를 토대로 하여 종의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고 분포도를 작성하였으며, 근연 속과의 한계를 명확히 하였다. 큰참나물은 엽연부가 아래로 급격히 돌출하여 ridge 가 형성되고, 분과에서 한쪽은 2개의 측륵과 2개의 중간배륵, 다른쪽은 2개의 측륵과 1개의 배륵이 날개상으로 발달하는 비대칭적 특징을 보여 Angelica s.l.와는 구별되며, Cymopterus 속에 포함되는 것이 타탕하다.

  • PDF

사탕무우의 붕소결핍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oron Deficiency in Sugar Beet)

  • Im, Hyong Bin;Ung Kyu Lim;Kyong Sik Tscho
    • 환경위생공학
    • /
    • 제5권1호
    • /
    • pp.1.2-6
    • /
    • 1990
  • 사탕무우 품종 Mirabo를 공시하여 수경과 포양실험을 통하여 나타는 B결핍증 식물체의 해부학적 및 전현적 관찰을 하였다. B결핍증에 걸린 사탕무우에 있어서는 수경또는 포양에서 다 같이 B함량이 매우 적었다. B결핍증의 증상진행은 우선 엽병의 표면쪽 기부에 흑갈색 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그 후 유엽록과 생장점 근처가 검게 괴사하였고, 엽신이 심하게 오그라졌으며, 생장이 거의 정지되었다. 나중에는 표면쪽 엽병 기부의 표피와 그 밑의 유조직이 괴사하였다. 그리고 유엽록 조직의 괴사와 붕괴는 점차 확대되어 갔다. B결핍증을 나타낸 사탕무우의 전현적 관찰에서는 그와 같은 식물의 엽록체는 붕괴하기 시작하였으며 다량의 전분과 Osmophilic granules가 보였다. 그리고 특히 어떤 엽록체 안에는 격자를 가진 다면체의 결정체가 발견되었다.

  • PDF

총의치 교합면 형태가 하악골 응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분석적 연구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MANDIBULAR STRESSES UNDER COMPLETE DENTURES WITH VARIANT ARTIFICIAL TEETH FORMS AND OCCLUSAL PATTERNS)

  • 이철규;김창회;김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51-384
    • /
    • 1993
  • Complete denture occlusion must be developed to function efficiently and with the least amount of trauma to the supporting tissues. For the preservation of supporting tissues, it is imperative to reduce to a minimum the functional stress induced by dentures. The magnitude of the horizontal component of functional stress contributed by various occlusal teeth forms has not been studied.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occlusal teeth forms on the mode of distribution of the stresses in the mandibular tissue, and the displacement of lower dentures during the variant functional movement of mandible for this study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was used. FEM models were created using commercial software Super Sap for IBM 32 bit computer. The model was composed of 3380 brick elements and 4346 nod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gnitude of stress was similar between two models in centric occlusion, in the case of anatomic model, the stress was concentrated on the buccal side of alveolar ridge beneath the bicuspids. 2. During the protrusive movement, the increasing of stress from the posterior to anterior part of mandible was seen in the case of anatomic model. 3. During the lateral movement, the stress of anatomic model was greater than that of nonanatomic model. 4. The stress of anatomic model was concentrated on the anterior region of residual ridge during the lateral movement. 5. In the case of anatomic model the anterior part of denture was displaced severely at the centric and lateral position, but the denture of nonanatomic model was displaced minutely at the protrusive and lateral position.

  • PDF

봉화 면산습지의 형성과정 (Formation Processes of Myeonsan Wetland in Bongwa)

  • 손명원;백충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5-45
    • /
    • 2016
  • Aiming to elucidate the formation processes of Myeonsan wetland around the ridge from Myeonsan peak to Seokgae pass, this paper analyzes the geomorphic,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wetl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ly, resistant bedrock and big boulders distributed on the riverbed of the small channel from the wetland to Seokgaecheon have played a role as a temporary base level. At the upstream part above this point, a wide and shallow depression was formed and developed into a wetland. There was a gorge covered with boulders at downstream part. Secondly, owing to the obstacles at the outlet of wetland, deposits on bed tend to be downstream coarsening. Finally, deposits show weak acidity of pH 5.0~5.7. The source of wetland water is groundwater containing rich Ca and Na. Trees in the wetland help much more Ca accumulated. And deposit biotite and amphibole contained rich Mg have been weathered in the wetland.

울릉도 너도밤나무림의 미세지형별 생태적 특성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Micro-Topographies of Beech forest in Ulleung Island)

  • 한상학;윤충원;송주현;김호진;이정은;윤이슬;유윤서;이상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86-694
    • /
    • 2019
  • 본 연구는 울릉도 너도밤나무림의 동태변화를 통한 유지기작을 연구하기 위하여 알봉분지에서 성인봉 사이 소능선부, 사면상부 및 계곡부를 포함한 너도밤나무가 우점하는 임분 1ha(20m×20m, 25개소)를 대상으로 흉고직경급 분포, 중요치, 종조성 분석을 통해 미세지형별 너도밤나무림의 임분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너도밤나무림 전체에서 흉고직경급 10cm 미만에서는 소능선부와 사면상부가 계곡부에 비하여 개체수가 많이 나타났으며, 흉고직경급 10-25cm에서는 소능선부의 개체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흉고직경급 25-45cm에서는 사면상부, 45cm 이상의 계곡부의 개체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모든 지형에서 흉고직경급 10cm 미만의 너도밤나무가 다수 분포하고 있는 것은 종자번식이 아닌 영양번식 또는 교란에 의한 맹아갱신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표종 분석결과 소능선부에서는 솔송나무, 만병초, 호자덩굴, 섬벚나무, 마가목, 큰두루미꽃 등 8종이, 계곡부에서는 풍게나무, 관중, 난티나무, 섬노루귀, 말오줌나무, 큰연영초, 공작고사리, 황벽나무 8종이 유이하게 나타났다.

구내 신연장치를 이용한 치조골 신연에 미치는 잠복기의 영향 (EFFECT OF THE LATENCY PERIOD ON ALVEOLAR RIDGE DISTRACTION USING THE INTRAORAL DISTRACTION DEVICE IN DOGS)

  • 오유근;오희균;유선열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4호
    • /
    • pp.324-331
    • /
    • 2001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tency period on alveolar ridge distraction using the intraoral distraction device. Nine adult mongrel dogs of either sex, weighing about 15kg, were used. They were divided into 3-day, 5-day, and 7-day groups according to the latency period. The left upper and lower premolars and first molars were extracted. Twelve weeks after the extraction, an osteotomy was performed and the distraction device was applied. After the latency period, the distraction was applied at a rate of 1.2mm for 8 days. The distraction device was left in place for 2 weeks to allow consolidation and was then removed. The animals were sacrified at 8 weeks after completion of distraction and were examined macroscopically, radiographically, and histologically. After completion of the distraction, the alveolar crest protruded prominently, showing the vertical augmentation of the alveolar bone. Soft tissues were broken down after the 6th day of distraction in 3-day latency group, and premature union occurred on the 7th day of distraction in the 7-day latency group. The average distance was $9.40{\pm}0.3mm$ in 3-day latency group, $9.35{\pm}0.1mm$ in 5-day latency group, and $8.85{\pm}0.1mm$ in 7-day latency group. In the radiograph taken at 8 weeks after distraction, there was slight bone resorption around the medial and distal edges of the alveolar bone segment, and a new bone deposition was observed in the neighboring alveolar crest area in all groups. Fibrous tissues were present in a part of the buccal cortical bone area of the distraction gap, and the woven and lamellar bones were observed in the distracted gap. There were bony bridges in the distraction gap in all animals examin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optimal time of latency period on alveolar ridge distraction using the intraoral distraction device is about 5 days in dogs, and about 7days in human beings.

  • PDF

심해 및 표층 지자기 자료를 이용한 라우분지 북동부의 열수 분출구 및 해저 지각 구조 연구 (The Study of Hydrothermal Vent and Ocean Crustal Structure of Northeastern Lau Basin Using Deep-tow and Surface-tow Magnetic Data)

  • 곽준영;원중선;박찬홍;김창환;고영탁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1호
    • /
    • pp.81-92
    • /
    • 2008
  • Fonualei Rift and Spreading Center(FRSC)와 Mangatolu Triple Junction(MTJ) 칼데라는 활동성 후호분지인 라우(Lau)분지 북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FRSC에서는 심해 견인 및 표층 자력탐사가 수행되었으며, 심해 견인 자력탐사에서 나타나는 해저 지형과 자력계 고도 사이의 거리 변화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 Guspi의 상향연속법을 이용하여 동일한 고도에서 측정한 값으로 변환하였다. Parker and Huestis의 역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양지각의 자화를 계산하였고, 이로부터 심해저 열수 분출구 탐사와 해저지각 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FRSC의 심해 견인 자력탐사 결과 해령에서 주로 나타나는 최대 4.5 A/m의 Central Anomaly Magnetization High(CAMH)가 관측되었으며, 남남서-북북동으로 추정되는 해령의 방향은 라우분지 내 주요 확장축의 방향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FRSC에서는 열수 분출구로 의심되는 - 4.0 A/m의 저자화이상이 발견되었다. MTJ 칼데라$(174^{\circ}00'W\;15^{\circ}20'S)$에서는 표층 자력탐사만이 수행되었고, 남남서-북북동 방향으로 함몰된 화륜과 중앙에서 나타나는 CAMH를 통해 칼데라 중심에 활동성 확장축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 정소 구성세포의 미세구조와 기능 (Ultrastructure and Role of Somatic Cells in Macrobrachium nipponense Testis)

  • 김대현;강정하;한창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03-407
    • /
    • 2000
  • 징거미새우의 정소는 간췌장의 배면 측상부에서 심장사이에 위치하며, 한 쌍의 소엽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소엽의 선단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소엽은 수많은 세정관이 결합조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세정관은 생식세포와 지주세포가 밀착되어 있는 생식세포대를 제외한 부분은 낮은 입방상피에 의해 내강이 형성되어 있고, 세정관의 제일 바깥은 단층편평상피로 둘러싸여 있다. 세정관 사이에는 결합조직 외에 Leydig cell-like cell도 관찰된다. 단층편평상피세포는 얇은 측면으로 연결되어 있고 종종 이웃한 세포와 포개져 있다. 지주세포는 생식세포에 비해 그 수가 현저히 적고, 대부분 생식세포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지주세포의 세포질은 기저판과 접해 있어 기저면과 생식세포 사이는 지주세포의 원형질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지주세포의 핵은 대부분 각져 있고, 크고 현저한 인이 핵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낮은 입방상피세포는 세정관의 기저판과 접하고 있는 기저면과 일부는 생식세포대와 내강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입방상피세포의 세포질에서는 횡 방향의 크리스테가 발달된 미토콘드리아, 층상구조의 조면소포체 그리고 Golgi 복합체들이 매우 발달되어 있다. 그리고 조면소포체와 Golgi 복합체의 볼록한 형성면 사이에는 전이소낭이, Golgi 복합체의 성숙면에서는 분비소낭이 관찰되며, 상피세포의 선단에 수많은 홈들이 존재하는 점으로 보아 exocytosis에 의해 내강으로의 물질 분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북동태펑양 크라리온-크리퍼톤 균열대 사이 한국 망간노듈개발지역-1의 탄성파층서 및 퇴적작용 (Acoustic Stratigraphy and Sedimentary Processes in the KONOD-1 Area between the Clarion and Clipperton Fracture Zones, Northeastern Equatorial Pacific)

  • 정갑식;한상준;김성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4-40
    • /
    • 1988
  • 해양연구소는 1983년에 한국 망간 노듈개발지역으로 선정된 태평양 북동 척도대의 크라리온-크리퍼톤 균열대사이에서 망간 노듈시료, 코아퇴적물시료를 비롯하여 3.5kHz음파탐사, 에어-건 음파탐사 그리고 지자기탐사등을 설시하였다. 에어-건 음파탐사기록에 의하면, 이 지역에서의 퇴적층은 이 지역내의 DSDP 163 지역 시추결과와 대비될 수 있는 2 내지 3의 층단위로 나뉠수 있다. 최상부 층단위 (Unit I)는 음파특성상 투명하며 후 올리고세에서 중기 에오세까지의 지올라이트 크레이와 방산충 연니로 이루어져 있다. 층단위 IIA는 음파총리가 확연하지만 하부로 갈수록 투명해지고 퇴적물은 팔레오세부터 초기 에오세까지의 방산충 연니로 이루어져 있으며 처어트층과 지올라이트 크레이가 협재되어 있다. 층단위 IIB는 음파 기저면 (해양 현무암) 위에서 음파총리가 뚜렷하고 고화된 백악기의 프린트-처어트질 Nannofossil백악으로 이루어 져있다. 층 단위 I과 IIB는 Line Islands 층군을 이루고 층군 IIB는 명명되어 있지 않다. 전체의 퇴적층과 층단위 I은 Line Islands Ridge 근처를 제외하고는 북쪽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는데, 이는 신생대 동안 척도대 CCD의 변화와 태평양판이 북쪽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이다. 판이 퇴적율이 높은 적도대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동안 판이 침강함에 따른 CCD의 변화는 DSDP 시추공 163 퇴적물의 성분이 퇴적시대에 따라 변하도록 하는 요인이 되었다. 후백 악기의 퇴적층(층단위 IIB)는 적도 남쪽 CCD상부 깊이에서 형성 되었고, 층단위 IIA는 팔레오신동안 태평양 판이 CCD 깊이보다 더 깊은 심도로 급격히 침강한 결과이며 단지 서경 149도 서쪽에서만 나타난다. 층단위 IIA와 I은 판이 에오신초기부터 각각 척도지역을 통과하는 동안 또는 통과후에 형성되었다. 한국 망간노듈 개발지의 남쪽에서는 층단위 I이 크리퍼톤 균열대에 의해 동쪽으로 흐르도록 조절되는 남극 저층수의 한 지류에 의해 재분포되어 있는데 이 저총수의 활동은 지질시대의 상당 기간(최소한 에오세중기부터) 동안 작용하였다. 또한 Hawaiian Ridge에서 크라리온 균열대에 이르는 약 350Km에 달하는 거리에 터어바다이트층이 나타나는데, 이 층은 Hawaiian Ridge에서 직접 발생한 저탁류에 의한 것이다.

  • PDF

한국산 가자미과 어류의 미설골의 형태에 관하여 (MORPHOLOGY OF UROHYAL BONES OF PLEURONECTIDAE FISHES IN KOREAN WATERS)

  • 김용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21-127
    • /
    • 1972
  • 한국산 가자미과어류의 미설골의 형태를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특질을 가지고 있음을 알았다. 1. 좌골부선단의 위치가 속 또는 종에 따라 달리하고 있는데, 주부의 선단에서 각을 이루는 부분까지의 거리의 1/2(Platichthys 및 Cleisthenes), 앞쪽에서 1/3(Eopsetta 및 Tanakius), 뒷쪽에서 1/4(Verasper 및 Dexistes), 동일위치 (Limanda, Clidoderma, Glyptocephalus 및 Microstomus), 2배의 거리 (Kareius 및 Pleuronichthys)에 있는 것등으로 나누어지며 , 좌골부선단의 모양은 절두형인 것(Eopsetta, Verasper, Limanda, Platichthys, Tanakius 및 Glyptocephalus), 끝이 뾰족하고 위로 향한 것(Kareius, Pleuronichthys, Clidoderma 및 Microstomus), 끝이 뾰족하며 앞으로 향한 것(Cleisthenes 및 Dexistes)등 세가지형으로 나누어진다. 2. 분문돌기는 발달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고 그 모양도 다양하다. 비교적 큰 것에 속하는 것(Eopsetta, Verasper, Platichthys, Tanakius, Kareius 및 Dexistes), 작은 것(Pleuronichthys 및 Clidoderma), 막대기 모양인 것(Glyptocephalus), 보통인 것(Limanda, Microstomus 및 Cleisthenes)등 의 네가지로 나누어지며, 모양은 상연이 둘로 갈라져 날개 모양을 한 것(Eopsette, Verasper, Limanda, Platichthys, Tanakius, Glyptocephalus, Kareius, Pleuronichthys 및 Clidoderma), 끝이 뾰족한 것 (Microstomus 및 Cleisthenes), 절두형에다 내연이 발달한 것(Dexistes) 등 세가지로 나누어진다. 3. 주부와 좌골부가 만드는 각도는 Pleuronichthys, Clidoderma, Microstomus의 반타원형을 제외하고는 $30^{\circ}$에서 $60^{\circ}$까지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