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s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25초

일반계 및 다수계 현미와 백미의 무기질 함량 (Mineral Contents of Japonica and J/Indica Brown and Milled Rices)

  • 김성곤;한양일;김을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85-290
    • /
    • 1990
  • 일반계(34품종)와 다수계(25품종) 쌀의 무기질 함량은 현미에서는 인과 마그네슘, 백미에서는 철과 망간만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무기질의 변이계수는 현미와 백미 모두 다수계 품종이 일반계 품종보다 낮았다. 일반계 현미의 칼슘, 마그네슘, 철, 구리, 망간 및 아연의 함량은 백미와 높은 정의 상관을 보엿으나, 다수계 현미의 경우에는 칼슘, 구리, 망간 및 아연은 높은 정의 상관을, 철은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무기질 끼리의 상관관계는 현미보다 백미에서 일반계와 다수계 품종간에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 PDF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경북 주요 브랜드 쌀의 품질 분석 (Analysis of Grain Quality of Commercial Brand Rice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Rices in Gyeongbuk Province, Korea)

  • 김세종;안덕종;원종건;박소득;최충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spc호
    • /
    • pp.44-46
    • /
    • 2008
  • 경북지역에서 생산 유통되는 브랜드 쌀의 품질 분석을 통해 고품질 쌀 생산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분석시료로는 경북 시군에서 추천한 2006-2007년도 브랜드 쌀 26종을 사용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6.5%이하가 46.2% (12종), 6.6%-7.0%는 23.1%(6종)로 비교적 낮아 단백질 함량은 양호하였다. 완전립율은 95% 이상이 7.7%(2종), 90-94%는 15.4%(4종)이었으며 89% 이하가 76.9%(20종)로 품질이 다소 낮았으며 분상질립은 다소 높아 완전립율과 분상 질립 개선이 필요하다. DNA 분석에 의한 품종 혼입율 분포는 1-10%가 46.2%(12종), 11-20%는 34.6%(9종)로서 순도 80% 이상이 80.8%로서 매우 양호하였다.

품종별 현미의 수화와 취반에 관한 연구 (The Hydration Properties and the Cooking Qualities of Various Brown Rices.)

  • 박혜우;우경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5-40
    • /
    • 1991
  • Five-brown-rice-variety, Akibare, Odaebyeo, Taebaegbyeo, Nonglim Na 1 and Hankangchalbyeo, was prepared and examinated the hydration kinetics and the cooking qualities. Before the hydration the L/W ratio of raw Taebaegbyeo was the biggest value among the five brown rices. The water uptake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soaking time. During the hydration water uptake of high yielding brown rices was bigger than those of traditional brown rices among the nonglutenious varieties but waxy brown rices were not. Generally volume increase constant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water uptake constant, which were different a little with brown rices was hydrated which was inversed proportional to the water uptake degree. According to the instrumental result using the rheometer of cooked brown rice with increased soaking times that was decreased the hardness and was increased the adhesiveness. The sensory evaluation test indicated that the hardness and the stickiness value of cooked brown rices were proper after 15-hour-soaking time and it was identical result to the instrumental result using the rheometer.

  • PDF

Pasting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s Harvested in Korea

  • Chung, Hyun-Jung;Lim, Seung-Tai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4호
    • /
    • pp.231-235
    • /
    • 1999
  • Three black rices(Suwon 415, Iksan 427 and Sanghaehyanghyeolla) harvested in Korea were examined in their pasting characteristics, and minor nutrients(vitamins and minerals) in comparison to those of a brown rice (Dongjinbyo), whereas Iksan 427 and Sanghaehyanghyeolla were waxy rices(0.4 and 0.6%, respectively). Iksan 427 and Sanghaehyanghyeolla showed similar viscosity pattern with significantly low pasting temperatures and viscosity. Brown rice showed higher pasting viscosity and pasting temperature than black rices, and its viscosity pattern was similar to Suwon 415. Brown rice and Suwon 415 displayed higher hardness but lower adhesiveness of their gels. Black rices contained more non-carbohydrate components and dietary fiber than brown rice. From the amino acid analysis, black rices contained more acid amino acids (aspartic and glutamic acids) than brown rice. Among the black rices, Suwon 415 had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essential amino acids(4.3%). Black rices also contained higher amounts of vitamin B complexes (thiamin, riboflavin and niacin) and minerals(K, Mg and Ca) than brown rice. Sanghaehyanghyeolla showed an exceptionally high amount of Ca (12mg%).

  • PDF

현미 및 백미의 수분흡수속도와 취반속도의 비교 (Comparison of Hydration and Cooking Rates of Brown and Milled Rices)

  • 송보현;김동연;김성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211-216
    • /
    • 1988
  • 현미를 Satake 시험 도정기로 무게비로 도감율이 8%가 되도록 도정하여 백미를 얻고, $30^{\circ}C$에서의 현미와 백미의 수분흡수속도를 비교하였다. 확산계수는 다수계 품종이 일반계 품종보다 컸으며, 침지 초기에서의 현미의 확산계수는 겨층에 의하여 좌우되었다. 현미와 백미의 확산계수의 차이를 보면 백미는 현미에 비하여 일반계인 천마벼는 144배, 서남벼는 107배, 섬진벼는 109배, 다수계인 가야벼는 87배, 원풍벼는 75배, 이리 362호는 74배의 큰 값을 보였다. 현미 및 백미를 $110^{\circ}C$에서 취반하는 경우 취반 완료 시간은 품종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취반속도 상수는 백미가 현미보다 $1.8{\sim}1.9$배 정도 빨랐다.

  • PDF

취반 방법과 도정정도에 따른 멥쌀과 찹쌀의 난소화성 전분 함량 변화 (Effect of Cooking Methods and Degree of Milling on the Enzyme-Resistant Starch Content of Nonwaxy and Waxy Rice)

  • 이영은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49-56
    • /
    • 2003
  • The effects of cooking methods on the total dietary fiber(TDF) and enzyme-resistant starch(RS) contents of nonwaxy and waxy milled and brown rices were investigated. The TDF contents of raw rices were 3.77% for nonwaxy brown, 3.41% for waxy brown, 1.37% for nonwaxy milled and 1.14% for waxy milled rices. The TDF contents were higher in brown rices than milled ones and slightly higher in nonwaxy than waxy on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aw and cooked rices with. automatic electric cooker and automatic pressure cooker. The TDF contents of cooked rices did not show any increase, but that of waxy milled ones rather slightly decreased by cooking. The RS contents analyse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utomatic electric cooking and automatic pressure cooking. The RS contents of cooked rices were 0.05∼0.06% for nonwaxy milled, 0.09∼0.12% for nonwaxy brown, 0.07∼0.08% for waxy milled, 0.11∼0.13% for waxy brown, which showed higher RS content in brown than milled ones, and in waxy than nonwaxy ones. The ratios of RS/TDF were 4.1∼4.2% for nonwaxy milled, 2.8% for nonwaxy brown, 7.5∼8.9% for waxy milled, 3.6∼3.7% for waxy brown, which showed that the higher the TDF contents, the less the contribution of RS to the TDF.

  • PDF

Development of SNP marker set for discriminating among Korean rice varieties and imported rice in Korea

  • Park, Seul-Gi;Lee, Hyo-Jeong;Lee, Keon-Mi;Baek, Man-Kee;Park, Hyun-Su;Shin, Woon-Chul;Nam, Jeong-Kwon;Kim, Choon-Song;Kim, Bo-Kyeong;Cho, Young-Cha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54-154
    • /
    • 2017
  •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of the Korean rice market, this study was focused on establishment of database for discriminating the Korean rice varieties and imported brand rices using DNA markers. In this study, the SNP markers were developed us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between the reference sequences of japonica and them of 40 brand rices which collected in Australia, China, Thailand, United States and Vietnam. The developed SNP markers were screened to a total of 360 rices including 320 Korean rice varieties and 40 imported brand rices. We selected polymorphic markers among Korean bred rive varieties and imported brand rices. The selected markers were classified into 3 grades. The markers of A grade produced DNA band in 360 rices of 30~40%, B grades produced in 40~60%, and C grades produced bands over 60% rices. First, we tried to set-up the discriminating system using the minimum SNP markers of A grade. Especially, a set of sixteen SNP markers could identify among Korean bred rice varieties and imported brand rices. Additionally, some SNP markers like NSb for Pib gene, JJ80-T for Pi5 and YL155/YL87 for Pita which linked to resistance genes to blast were used to fingerprinting system. These markers were set-up as multiplex set for enhancing the identification efficiency among rice varieties. Finally, the selected SNP markers would be used to the fluidigm assay to construct the database for elaborate discrimination of rice varieties.

  • PDF

글루탐산 용액 처리에 따른 발아현미 중의 감마-아미노낙산 및 일부 아미노산 함량변화 (Changes in the Levels of $\gamma$-Aminobutyric Acid and Some Amino Acids by Application of a Glutamic Acid Solution for the Germination of Brown Rices)

  • 오석흥;김수화;문연정;최원규
    • KSBB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49-53
    • /
    • 2002
  • GABA가 고함유된 발아현미를 생산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고자 현미발아시 통상적인 물발아구 외에 젖산발아구, glutamic acid발아구로 나누어 발아 이전의 현미와 GABA 및 일부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5 mM glutamic acid 용액을 발아에 사용한 경우 가장 높은 GABA 함량 증진을 보여 시료 g당 및 시료 추출물 중의 단백질 mg당 증가정도가 발아하지 않은 현미에 비해 각각 8배와 12배로 나타났다. 또한 glutamic acid 발아구는 물발아나 젖산발아시 현저히 감소되던 serine의 함량을 오히려 증진시켰다. 모든 발아구에서 GABA 및 alanine 함량이 증진된 것과 는 반대로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 함량은 현저히 감소 하였다. 이는 발아 과정에 의해 glutamic acid는 GABA로 aspartic acid는 alanine으로 전환된 것에 기인된 것이라 여겨진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현미발아시 glutamic acid액을 사용하면 기능성 물질인 GABA 함량을 현저히 증진시키며, serine의 감소를 막을 수 있어 기능성이 보강된 발아현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도 밭재배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he Growth and Yield of Paddy Rice in the Upland Cultivation)

  • 윤상현;김용재;최원열;안장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
    • /
    • 1976
  • 논, 밭 양조건하에서 수륙도를 재배하여 생육과 수량을 비교하였다. 수도는 영남조생과 유신을, 육도는 하다상고구와 다찌미노리를 공시하했으며 처리내용은 무관개표준비, 관개표준비, 관개질소증비의 3구는 밭에, 관수표준비구는 논에 설치하여 1975년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도는 논조건하에서 현미 수량이 많았고 유신은 $10^{a}$ 당 431.7kg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육도는 논보다 밭에서 증수하였다. 2. 밭조건하에서 질소 증비에 의한 증수는 수도의 영남조생과 유신은 인정되나, 육도 2품종은 증수를 인정할 수 없었다. 3. 영남조생과 유신의 출수기는 논조건하에서 보다 밭조건하에서 약 1주일 늦었다. 4. 고중은 수도는 논, 밭조건하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육도는 논보다 밭에서 많았다. 5. 10cm간 수수는 논ㆍ밭 어느 조건하에서도 수도가 많고 육도는 논, 밭조건하에 의한 차이를 인정할수 없었다. 6. 등숙비율과 천립중은 육도가 수도보다 논, 밭 어느 조건하에서도 컸으며 논과 밭의 비교에서는 수륙도 모두 논조건하에서 컸다. 7. 수도는 논에서, 육도는 밭에서 일수립수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8. 엽신의 질소함량은 전생육기간을 통하여 공히 논조건하에서 보다 밭조건하에서 많았다.

  • PDF

유색미 색도 및 영양특성의 품종간 변이 (Varietal Variation of Pigmentation and Some Nutritive Characteristics in Colored Rices)

  • 고희종;원용재;차건완;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00-607
    • /
    • 1996
  • 벼 에서 유색미의 이용성을 검토하고자 갈색, 적색, 자색, 흑색 등의 현미색을 가진 품종들에서 몇가지 색소관련 특성 및 영양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색미의 색소는 종피~과피에 침적되어 있었으며, bulk로 정백시에는 백미에도 그 일부가 잔존하였다. 2. 유색미의 현미 1 g당anthocyanin함량은 갈색 및 적갈색미 1.63~17.62 $\mu\textrm{g}$, 적색미 3.56~11.10 $\mu\textrm{g}$, 자색미 28.11~401.22 $\mu\textrm{g}$, 흑색미 665.98 $\mu\textrm{g}$ 이 었다. 3. 분석된 유색미 중 DZ 78에서 단백질함량이 가장 높았다. 아미노산 조성에서는 보통미와 유색미간, 배아를 제거한 현미와 백미간에 특별한 경향이 없이 대체로 비슷하였다. 4. 유색미의 vitamin 함량을 화청벼와 비교하여 볼 때 $B_1$는 L $K_1$B-4-12-1-1과 DK 1에서 다소 증가했다. $B_2$는 L $K_1$B-2-1-1과 L $K_1$B-4-12-1-1의 배아를 제거한 현미에서 월등히 증가하였다. 5. 조사된 양이온 $K^{+}$, $Mg^{2+}$, $Ca^{2+}$, F $e^{2+}$의 함량은 대부분 유색미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여 색소침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